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호 영기(南湖永奇)의 가사 창작과 모연의도의 문학적 형상화

        최형우 ( Hyung Woo Choi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5 어문론총 Vol.65 No.-

        19세기 불교 사찰은 국가로부터 억압을 받으면서도 그 세를 확장하고자 각종 불사를 행하였다. 1855년에 시작된 수도산 봉은사의 화엄경 판각 및 판전 중건불사는 이러한 움직임의 일환으로 이루어졌으며, 남호영기에 의해 주도되었다. 남호영기는 이러한 불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모연(募緣)활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하였는데, 이러한 모연활동을 위하여 <광대모연가>, <장안걸식가>를 창작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광대모연가>, <장안걸식가>에는 남호영기의 불사를 위한 모연의도가 문학적으로 표출되고 있는데, 동일한 목적을 위하여 창작된 두 작품이라 할지라도 각기 다른 형태로 형상화되어 있어 주목할 만하다. <광대모연가>는 작품 전반부의 화자를 대중에게 밀착시켜 공감대를 넓히고, 후반부 화자를 통하여 모연의도를 직접 제시하는 형태로 모연의도를 형상화하고 있다면, <장안걸식가>의 경우 주된 모연의 공간이 되는 한양 성내의 경물을 다양하게 언급함으로써 일반 대중들과의 공감대를 극대화시키는 방향으로 모연의도를 형상화하였다. 이러한 모연의도는 결국 불사를 위한 사찰의 물적, 인적 경제력의 확보라는 현실적인 문제와 직결되는 것이다. 대규모 불사를 성공적으로 행하기 위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경제력은 필수적인 조건인데,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당시 널리 유행하던 가사의 창작과 향유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였을 것이다. 남호영기가 창작한 두 편의 가사는 이러한 큰 규모의 불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여야 했기 때문에 각각 효과적인 방식으로 모연의도를 형상화하였던 것이다. 19th centrey, Buddist temple was oppressed from government, but acted many religious works for expanding congregation. It was representative example that Namho-Yeonggi(南湖永奇) published 『Hwaomkyung(華嚴經)』 and constructed structure for keeping printed editions. Namho-Yeonggi got involved in missionary work, for these works were concluded successfully. For missionary work, he makes two poems, <Gwangdaemoyeonga(廣大募緣歌)> and <Jangangulsikga(長安乞食歌)>. So two poems were reflected about Namho-Yeonggi’s consciousness, but two poems have different method of figuration about his consciousness. <Gwangdaemoyeonga> express consciousness directly through change of narrator. In contrast <Jangangulsikga> express consciousness indirectly through descripting about inside of Hanyang-city. This Consciousness in connection as acquiring the economy about doing religious works successfully. Gasa(歌辭) is effective for many people was enjoyed this style at that time. Two poems that Namho-Yeonggi created have different method of figuration about his consciousness, because he must have the economy power for publishing Hwaomkyung(華嚴經) and constructing structure for keeping printed editions.

      • KCI등재

        조선후기 종교가사의 갈등 해결 논리와 문학 교육적 가치

        최형우(Choi, Hyung-woo) 국어교육학회 2021 국어교육연구 Vol.- No.75

        본 논문은 조선후기 종교가사에 담긴 갈등에 대한 해결 논리를 확인하고, 이것을 문학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주목하였다. 본 논문에서 주목하고 있는 종교가사는 지금까지 문학 교육 현장에서 거의 활용되지 못하였다. 이는 이 작품군들이 기본적으로 강한 종교성을 표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당시 종교가 사회 구성원들에게 종교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는 점과 당대의 문화 전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다는 점을 고려하여 보면, 종교가사 역시 문화적 산물로 중요한 의미가 있으며, 교육적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 주목한 가사는 불교가사, 천주가사, 동학가사이다. 이 작품들에는 한국사회에서 발생하였던 다양한 갈등들에 대한 각각의 해결 논리들을 담고 있으며, 특히 갈등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현실, 초월적 차원의 두 가지로 제시하고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이러한 갈등 해결 논리는 현대 사회의 갈등 상황에도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하며, 그렇기 때문에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 역시 더 다양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들을 전제로 중·고등학교 교육과 연결된 대학 교육을 설계하고, 여기에 종교가사가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resolution methods about periodic conflict in religious gasa(歌辭) and feasibility of literature education. Until now, academics of pedagogy did not attention to religious gasa(歌辭), because these literary works inhere stron religious sentiment. But religious gasa(歌辭) are not only religious products but also cultural products. So This study pay attention to cultural code in religious gasa(歌辭) and search about applicability of literature education. Religious gasa(歌辭), being up for discussion, be created by religions at late Chosun dynasty, such as Buddhism, Catholic, Donghak(東學). These religions has had a major effect on society at late Chosun dynasty. Also These religions paid attention to conflict situations in society, and presented how to manage these conflicts. Especially religious gasa (歌辭) proposed two methods that are practical and transcendental solutions about various conflict situations. These literary works give different mplications, so need to use these literary works educationally. This study suggest a possibility about using these literary works in the secondary curriculum and university education.

      • KCI등재

        <반야용선가(般若龍船歌)>의 천도의식 표출과 연행문화적 의미

        최형우 ( Choi Hyung-woo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7 어문론총 Vol.71 No.-

        본 논의는 불교가사 <반야용선가>를 대상으로 하여 이 작품에 주도적으로 나타나는 `천도의식`의 표출 방식과 이를 통해 본 이 작품 계열의 연행문화적 의미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반야용선가>는 아직 연구사에서 크게 주목된 적이 없는 작품이지만, 우리나라의 영가(靈駕) 천도 문화와 관련하여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어 주목할 만한 작품이다. 이 작품이 불교 의례 가운데 연행되었던 <회심곡>과는 동일한 주제의식을 다루고 있으면서도 서로 다른 방식으로 의식을 표출하고 있다는 점에서 불교의 문화 활동이 단선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반야용선가> 계열 사설은 영가 천도의 발원적 사설과 용선 도해의 묘사적 사설이 결합하는 방식으로 구조화되었다. 사설이 상호 결합되는 양상에 따라 여러 이본의 형태들이 만들어졌으며, 이러한 이본들이 다시 무속과 결합하면서 무가의 사설로도 향유되는 등 폭넓은 문화 활동의 제재로 활용되었다. 특징적인 것은 이들 작품의 사설이 단순히 불교적 천도의식을 표출하는 차원에서 벗어나 있다는 점이다. 발원적 사설은 납음오행 사상을 틀로 삼아 구성되었으며, 묘사적 사설은 용선의 모습과 이 용선이 영가를 태워 극락으로 향하는 모습의 표현에 집중하고 있다. 결국 이러한 사설의 구성은 재(齋)의식에서 연행된 대표적인 작품인 <회심곡>과 마찬가지로 영가의 천도라는 주제의식을 표출하고 있으면서도 연행 현장, 연행 과정에 더욱 밀착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불교가사의 연행은 해당 의식에 모인 대중들의 흥미와 지식 수준 등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회심곡>의 경우 이러한 대중들에게 직접 교시적 목소리를 표출하는 방식을 활용하였다면, <반야용선가>는 대중들에게 천도의식을 직·간접적으로 형상화하는 방식을 활용한 것이다. 이러한 방식의 활용은 결국, 대중들의 흥미를 끌고, 주제의식을 보다 쉽게 전달하는 효과를 의도한 것이었으며, 이러한 효과는 무가(巫歌) <용선가>의 유행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expression of Chundo(薦度)-consciousness commonly employed in < Banyayongsun-ga(般若龍船歌) >, and used this to elicit the meaning of playing-culture. Though < Banyayongsun-ga(般若龍船歌) > does not draw the attention of academia, it is an important piece of literature because it encompasses the meaning of Buddhist Chundo(薦度) culture. This work expresses the consciousness―the meaning of Chundo(薦度) regarding souls―that has a similar meaning but is expressed differently in < Hoesimgok(回心曲) >. These facts indicate that Buddhist cultural activity was not conducted linearly. < Banyayongsun-ga(般若龍船歌) > is structured by combining praying lyrics of Chundo(薦度) regarding souls and lyrics that describe Yongsun(龍船) crossing the Erebus. Different versions were constructed by combining the modality of these lyrics. These different versions combine shamanism, so this work was utilized in various cultural activities, for instance, Buddhist funeral ceremonies, shamanism, etc. It is recognized for displaying more meanings besides the enlightened periods of Chundo(薦度)-consciousness. For example, praying lyrics contain the principle of Five Elements(納音五行), while describing lyrics focus on the description of the scene. Finally, the composition of these lyrics reflects the performance venue and procedure, including Chundo(薦度)-consciousness. Playing of Buddhist Gasa(佛敎歌辭) especially is influenced by interest and knowledge in Buddhism at a performance venue. < Hoesimgok(回心曲) > employs methods to express the enlightened voice, while < Banyayongsun-ga(般若龍船歌) > employs methods to display an image or provide a talk. These methods are intended to attract public interest and present subject consciousness in a less complicated manner. However, the praxis of lyric-composition methods is unable to combine shamanism and facilitate the trend through Shamanic-song.

      • KCI등재

        18-20세기 나옹가사의 유행과 사설 변이의 문화사적 의미

        최형우 ( Choi Hyung-woo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20 어문론총 Vol.86 No.-

        본 논문은 18-20세기 나옹이 창작한 것으로 기록된 가사 사설을 분석하여, 그것이 가지는 문화사적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18-20세기에는 <서왕가>를 비롯하여 나옹화상이 창작한 것으로 기록된 가사 사설들이 유행하였다. 나옹화상이 14세기 인물이기 때문에 수세기가 지난 시점에 나옹화상의 가사가 유행하였다는 것은 상당히 주목해 볼 만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사설들이 실제로 유행한 18-20세기를 주목하고, 이 시기 나옹가사 사설의 변이와 그것이 가지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본 논의에서는 조선 후기 사찰 구성원들이 나옹화상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에 대해 주목하고, 이를 바탕으로 나옹가사 사설의 변이 양상을 살폈다. 결국, 이러한 나옹가사의 유행과 전승은 18-20세기 나옹가사의 전승과 유행은 당대 사찰 구성원들의 고민과 의지가 담긴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나옹화상의 이름을 빌은 것은 전대부터 이어져왔던 가송과 관련한 나옹화상의 위상은 물론, 급변하는 사회에서 불교가 요구받았던 사회적인 역할과 활로에 대한 고민이 복합적으로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lyrics recognized as created by Naong (懶翁) and revealed the meaning of traditional culture. In the eighteenth to the twentieth century, the lyrics recognized as created by Naong (懶翁), such as < Seowang-ga (西往歌) >, < Sungwean-ga (僧元歌) >, and < Sudo-ga (修道歌) >, were renowned in the late Choseon dynasty. However, I think that these lyrics were not created by Naong. Therefore, I aimed to determine why these lyrics were famous from the eighteenth to the twentieth century. To achieve this purpose, I paid attention to the recognition of Temple people about Naong in the late Choseon dynasty, and the changing aspects of the Naong lyrics over time. By analyzing the lyrics, I derived the cultural meaning reflected about the motions of Buddhism’s school ties establishment and effort toward popularization. These lyrics implied the Temple momber’s active response to the changing times from the eighteenth to the twentieth century

      • KCI등재

        <기우목동가>, <진여자성가>의 십우도(十牛圖) 문화 수용과 문학적 변용 연구

        최형우 ( Choi Hyung-woo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7 어문론총 Vol.74 No.-

        본 논문은 이전 시기 한국에 유입되어 조선조에 지속적으로 유행하였던 十牛圖문화에 직접적 영향을 받은 국문시가 2작품을 대상으로 十牛圖문화 수용 방식과 이에 대한 문학적 변용을 논의한 것이다. 十牛圖는 선불교의 참선 수행 과정을 10개의 그림과 게송으로 표현한 것으로 사상, 종교, 회화, 문학을 아우르는 불교의 종합 예술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십우도는 고려시대에 이미 우리나라에 유입되었던 것으로 보이며, 사찰의 벽화로 그려지거나 문학 창작의 소재가 되는 등 우리 민족의 주체적인 문화로 향유되었다. 조선시대 창작, 향유된 경기체가 <騎牛牧童歌>와 가사 <진여자성가>는 이러한 十牛圖문화의 영향을 받아 창작된 국문시가들이다. 十牛圖가 부분적으로 문학 창작의 소재나 이미지로 활용되는 경우는 더러 있지만, 十牛圖를 전면적으로 수용하여 문학이 창작된 경우는 흔하지 않다. 더군다나 조선 후기 경허, 만해, 백봉 등에 의해 창작된 한시는 십우도송의 주제의식을 그대로 계승하는 차원에서 창작된 것이다. 이에 비해 국문시가인 <기우목동가>와 <진여자성가>는 十牛圖를 수용하면서도 시가 갈래의 본질에 맞춘 문학적 변용이 이루어져 불교시가의 창작 및 향유사에서 주목하여야 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이러한 십우도 문화를 수용한 국문시가의 창작은 대중들을 위한 포교의 과정에서 이루어진 것이며, 해당 시가 갈래의 향유층의 기호를 고려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불교의 포교활동과 그 가운데 이루어진 국문시가의 창작과 향유는 조선시대 불교가 대중들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위해 노력하였다는 증거이다. 아울러 시가 창작 과정에서의 문학적 형상화는 당시 불교 승려들의 문학 활동이 단순히 전대의 문화를 답습하는 차원에 머물렀던 것이 아니라, 시대와 향유층의 변화에 따라 능동적이고 창의적인 형태로 이루어져 왔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 at searching about creation and enjoyment of literature, that was influenced by Shipwoodo(十牛圖) culture. < Kywumokdong-ga(騎牛牧童歌) > and < Jinyojasung-ga(眞如自性歌) > when created Josun dynasty, were influenced by shipwoodo(十牛圖)-song and painting, and were made up of autonomous literary transfiguration. But < Kywumokdong-ga(騎牛牧童歌) > is a type of praiseful tone, on the contrary, < Jinyojasung-ga(眞如自性歌) > is a type of the teaching tone. So, contents of shipwoodo(十牛圖)-song is revealed in a different way at each works. These kind of creation by korean words is composed of being active in propagating, consider genre reader’s liking. And literary transfiguration of this process was not remained of imitating previous generation’s culture, meeting the demands of the times. So we know Josun’s Buddists communicated in the manner of various literary transfiguration.

      • KCI등재

        18세기 불교문화 공간으로서의 팔공산과 기성 쾌선(箕城快善)의 문학 세계

        최형우 ( Choi Hyung-woo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8 어문론총 Vol.78 No.-

        이 논문은 18세기 팔공산 사찰을 중심으로 활동하였던 기성 쾌선이라는 인물을 주목하고, 그의 문학 활동을 지역 문화와 관련하여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18세기 팔공산 지역에는 상당한 규모를 유지하고 있는 사찰들이 다수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이 사찰들이 서로 인적, 물적 교류를 하며 다양한 문화 활동을 전개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여전히 성리학이 지역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지역 불교가 일정 이상의 규모를 유지하며, 문화 활동을 왕성히 전개했다는 사실은 당시 지역 문화의 본질을 밝혀내는데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관점 하에 기성 쾌선의 문화 활동에 주목하였다. 기성 쾌선은 저작을 다양하게 남기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당시 팔공산 지역 사찰에서 상당히 중요한 위치에 있었던 승려로 보인다. 특히 그가 창작한 염불체 문학작품인 <염불환향곡>은 당시 기성 쾌선이 가지고 있던 의식은 물론, 그가 어떠한 차원에서 지역 승려들을 결집시키고자 하였는가에 대한 생각을 확인할 수 있는 작품이다. 또한 그는 『보권염불문』을 동화사에서 중간하면서 새로운 가사 작품 <회심가>를 수록하였다. 이 작품이 기성 쾌선의 작인지는 알 수 없지만, 적어도 당시 팔공산 지역에서 <회심가> 작품이 향유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 작품을 수집한 기성 쾌선의 의도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기성 쾌선의 문학 활동들은 당시 지역 사찰 문화권에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특히 보다 대중에게 밀착된 ‘염불’ 수행법이 당시 사회에 유행하는데 기여하였던 것으로 보이며, 가사 <회심가>가 지역 사회를 넘어 전국적으로 확산되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가 향유한 문학 문화는 결국 팔공산을 중심으로 한 지역 사회의 불교 문학 문화라고 할 수 있으며, 당시 성리학이 강한 영향을 미친 지역 사회에서의 불교 구성원이 가지고 있던 고민의 결과물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focused on Kiseong Kueseon(箕城快善) who was a buddhist paradise thinker, had an effect on Daegu and Gyeonsang regional culture, working in Palgong-mountain. 18st century, many buddhist temples were managed, keeping economic power, these temples exchanged people, many items. This fact that temples were influential regional culture, Joseon dynasty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s expressing essence of Joseon’s culture. < YombulHwanHyang-gok(念佛還鄕曲) > is a song that Kiseong Kueseon created, < Whoesim-ga(回心歌) > that was put “Bogwunnyumbulmun(普勸念佛文)” is collected by Kueseon. He emphasized nyumbul(念佛) asceticism. These songs are reflected his purpose and Kueseon’s activity influenced buddhist and regieonal culture at 19th~20th century.

      • 상주동학가사를 통해 본 동학의 인간평등사상과 문학 교육적 활용 가능성

        최형우 ( Choi Hyung-woo ) 백록어문교육학회 2023 백록어문교육 Vol.32 No.0

        이 논문은 상주 동학교의 교리와 상주 동학교에서 간행된 가사 사설에 반영된 인간평등사상을 확인하고, 이것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상주동학교는 동학의 분파 중 하나로 김주희(1860-1944)에 의해 정비되어 경상북도 은척면을 중심으로 세를 형성하였다. 특히 이 분파는 최제우의 교리를 종교적 차원에서 심화시키고, 비폭력적 사회 활동을 전개하는데 집중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다양한 가사 작품이 창작, 유통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가사 작품에 동학의 교리와 근대적 사상들이 다양하게 담길 수 있었다. 상주 동학교의 교리는 체천, 선천회복과 같은 키워드로 설명된다. 이를 유학과 관련지어 설명하며, 전근대적 사회관을 가진 것으로 해석하기도 하지만, 실제 체천은 ‘하늘’ 외에 모든 존재가 평등하며, 이러한 ‘하늘’ 역시 사람에게 내재되어 있다고 보고 있다. 아울러 선천회복 역시 모든 인간이 수행하여 성인이 되는, 소위수평적인 차원에서의 논리를 중심에 세우고, 당대의 통념을 반영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상주동학가사는 이러한 근대적 가치를 문학적으로 표출하여, ‘인간평등’의 가치를 곳곳에서 형상화하고 있다. 따라서 상주동학가사는 문학사, 또 문화사에서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작품군이라고 할 수 있으며, 교육적 활용 역시 가능할 것이다. 특히 이 작품군이 한반도 사회사에서 근대적 가치를 강하게 내재하고 있으며, 당대 동학이 구성원들에게 상당히 큰 영향력을 행사하였다는 점을 통하여 ‘문학적 소통’, 또 소통에 기반한 문학 문화 계승을 위한 문학 교육의 키워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human equality philosophy reflected in the teachings of Sangju Donghakgyo and the lyrics and editorials published by Sangju Donghakgyo, and explores the educational potential of Sangju Donghak-Gasa(歌辭). Sangju Donghakgyo is one of the branches of Donghak, established by Kim Ju-hee (1860-1944) and centered around Euncheok-myeon, Gyeongsangbuk-do. This branch focused on deepening the teachings of Choi Je-u from a religious perspective and developing nonviolent social activities. As a result, various lyrics could be created and distributed, and Donghak’s teachings and modern ideas could be included in these lyrics. The teachings of Sangju Donghakgyo are explained with keywords such as “Checheon(體天)” and “Seoncheon recovery(先天回復)”. It is interpreted in relation to Confucianism and has a pre-modern social view, but in reality, Checheon(體天) believes that all beings except “Heaven” are equal, and that “Heaven” is also inherent in humans. In addition, Seoncheon recovery(先天回復) is based on the logic of becoming an adult that all humans perform, in a so-called horizontal dimension, and can be considered a form that reflects the contemporary norms. Sangju Donghak-Gasa(歌辭)’s lyrics express these modern values in a literary way and embody the value of “human equality” in many places. Therefore, Sangju Donghak-Gasa(歌辭)’s lyrics can be considered a group of works that are quite important in literary history and cultural history, and can also be used for educational purposes. Especially, this group of works has a strong inherent value of modernity in Korean society, and through the fact that contemporary Donghak exerted a considerable influence on its members, it can be used as a keyword for literary education for “literary communication” and literary cultural succession based on communication.

      • KCI등재

        112종합상황실 근무 경찰관의 스트레스 요인과 실무적 개선방안 연구

        최형우(Choi, Hyung Woo),조준택(Cho, Joon Tag) 한국공안행정학회 2020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9 No.4

        본 연구는 긴급전화인 112신고를 담당하는 112경찰관들의 스트레스를 측정하고경찰관들에게 스트레스를 많이 주는 원천을 탐색하는 한편, 이러한 스트레스가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112경찰관들은 신고자의 욕설, 신고자의 위치파악의 어려움과 독촉재신, 시민들의 부정적인 인식과언론의 부정적인 보도, 너무 많은 112신고와 경찰과 관련 없는 신고들, 장비와 시스템의 불안정성 등 운영적 측면으로 인해 스트레스가 높았으며, 야간근무시 휴게시간 부족과 정량적인 실적관리로 인한 부담, 징계에 대한 우려와 조직차원의지원부족 등 일부 조직적 측면도 112경찰관들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개선방안으로는 경찰조직이 비교적단기에 조치할 수 있는 조직관리 측면에서 근무시간 감축과 휴식시간 증가를 위한 최소한의 인력 충원, 정량적 성과로부터 정성적 성과관리로의 개선, 112경찰관에 대한 비판대응 훈련 및 심리지원 프로그램 강화를 제안하였고, 중장기적인 시스템과 제도 차원의 개선방안으로 신고내용 및 위치추적의 정확성 제고를 위한CCTV영상전송 시스템, 드론을 통한 실시간 지휘체계, 정밀 위치추적시스템 등 차세대 112신고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이와 더불어 112신고제도가 긴급전화 본연의 취지대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112경찰관은 긴급신고 위주로 취급하고 비긴급신고에 대해서는 경찰관의 부담을 과감하게 줄일 수 있도록 내부적인시스템과 규정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안하고 연구의 한계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measured the stress of 112 police officers in charge of 112 emergency calls and explored the sources of stress to police officers, while analyzing the causes of these stresses and seeking improvement measures. As a result of the study, 112 police officers were under high stress due to operational aspects including abusive language of the reporter, difficulty in identifying the reporter s location, negative perceptions of citizens, negative reports from the media, too many 112 reports, eports not related to the police, and instability of equipment and systems. Some organizational aspects, such as lack of rest during the night shift, the burden from quantitative performance management, concerns about discipline, and lack of support at the organizational level, also put stress on 112 police officers. The improvement measures to reduce such stress were proposed in terms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that the police organization can take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such as minimum manpower supplement to reduce working hours and increase rest time, improvement from quantitative performance management to qualitative performance management, and strengthening critical response training and psychological support programs for 112 police officers. Regarding a mid-term and long-term system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pla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xt-generation 112 reporting system including CCTV video transmission system, real-time command system through drones, a precise location tracking system for improving accuracy of reporting details and location tracking. In addition, since the 112 reporting system is not operating according to the original purpose, 112 police officers need to deal with emergency calls, and internal systems and regulations need to be readjusted to drastically reduce the burden of police officers on non-emergency calls, and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 1910년대 퇴경 권상로의 시가 양식 활용과 작가의식 연구

        최형우 ( Choi Hyung-woo ) 백록어문교육학회 2022 백록어문교육 Vol.30 No.0

        This study focuses on the poetry works created by Toegyeong Kwon Sang-ro using the traditional poetry style in the 1910s, and what intentions he uses the traditional poetry style, and how Kwon Sang-ro’s writer consciousness is reflected in these results. The purpose is to find out whether Toegyeong Kwon Sang-ro was a Buddhist monk and Buddhist scholar who left a significant mark from the transition period to the present day. In particular, he created a total of four works, < Eonmun-ga(諺文歌) >, < Sijong-ga(時種歌) >, < Yangchungugok(陽春九曲) >, and < Shinsebae(新歲拜) >, using the traditional poetry style of the 1910s and recorded them in 『Joseonbulgyowolbo(朝鮮佛敎月報)』.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use of this traditional poetry style was not a simple experiment, but a more specific intention. Kwon Sang-ro created works using various traditional poetic styles, and by recording them sequentially, he tried to incorporate his Buddhist reform consciousness into his poetry cre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