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규 격자망 분석을 통한 도시쇠퇴 측정 고도화 연구

        최형관(Choi, Hyeonggwan),장문현(Jang, Munhyun),이민석(Lee, Minseok),김화환(Kim, Hwahwan) 한국지역지리학회 2018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4 No.1

        생산가능연령인구 감소와 도시기반 시설 노후화로 인한 도시쇠퇴는 지역 불균형 문제와 더불어 다양한 사회문제를 야기하였고 이에 따라 도시재생 정책 마련을 위한 도시쇠퇴 측정 지표에 관한 연구가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도시쇠퇴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주요 자료는 행정구역이나 집계구 단위로 집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행정구역이나 집계구 통계는 집계의 기준이 되는 공간단위의 면적 편차가 크고 불규칙한 모양을 가졌으며, 시간에 따라 경계가 변화하고 축척이 유동적이지 못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기존 행정구역 혹은 집계구 통계와 달리 정규 격자 단위 데이터는 비정형 집계단위의 문제점을 상쇄할 수 있는 통계 공간단위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도시쇠퇴를 주제로 선정하여, 기존 행정구역 단위를 활용한 선행 연구 결과와 격자 변환 데이터를 활용한 결과를 나열하고 비교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기존 행정구역을 활용한 연구와 전체적으로는 비슷한 결과가 도출되었지만 격자 데이터를 활용했을 경우 행정구역 내에서 상이하게 나타나는 도시쇠퇴의 공간적 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고, 행정 경계를 가로지르는 상세한 도시쇠퇴 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격자기반 데이터의 건물기반 변환방법을 제시함과 동시에 격자단위 데이터의 특징과 활용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차후 격자기반 데이터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 studi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on urban decline indicators and urban regeneration policies due to decreasing economically active age population and regional imbalance. The main data used to measure urban decline are generally aggregated into administrative units. However, the statistics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have large and irregular shape, and the boundaries change over time, that makes a longitudinal research to monitor the temporal pattern of the urban decline. Unlike the conventional polygon-based spatial units, regular grid data is a statistical space unit that can offset the problems. This study se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previous research using the administrative district units and the results of using the grid transformation data applied to urban decline measurement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As a result of the study,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as a whole with the previous studies in terms of spatial distribution of urban decline, bu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urban decline in micro scal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administrative district could be confirmed by using the grid analysis. Based on this study, we propose a building-based transformation method to construct grid database from the conventional polygon-based aggregated statistics, which can utilized to measure the urban decline more accurately in more detailed scale.

      • KCI등재

        공폐가 분포 분석을 통한 도시쇠퇴의 공간적 구조 연구

        김화환(Kim, Hwahwan),최형관(Choi, Hyeonggwan),이민석(Lee, Minseok),장문현(Jang, Munhyun) 한국지역지리학회 2017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3 No.1

        도시 생애 주기에 따른 도시 노후화와 도시재생 정책에 관한 관심이 최근 급증하고 있고, 도시 쇠퇴의 가시적인 지표로 대표적인 사례인 공폐가의 발생과 활용 방안에 대한 관심 역시 최근 들어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2016년 4월 기준 광주광역시 공폐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리정보시스템과 공간통계기법을 활용하여 공폐가 발생의 공간적 분포특성과 지역에 따른 공폐가 발생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공폐가 발생의 유형은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의거하여 광주광역시에서 제작한 「2025 광주광역시 도시재생전략계획」의 10가지 도시 쇠퇴 진단 지표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기존 공폐가 관련 선행연구 대부분이 시군구별 집계 자료에 제한되었던 것을 극복하여, 공폐가의 실제 위치를 행정동 단위로 분석하여 자세하고 신뢰성 있는 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공폐가의 공간적 분포 패턴과 공간적 자기상관 관계 및 공폐가 발생 유형을 미시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광주광역시 공폐가의 발생은 행정동 단위에서 정적인 공간적 자기 상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고, 국지적 공간적 자기상관 분석 결과 일부 지역에서 공폐가 발생이 집중되어 있었다. 공폐가 발생과 도시 쇠퇴 요인들과의 상관관계는 삼각도표를 이용하여 시각화하고, 공폐가 발생 지역을 원인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광주광역시 공폐가의 발생 현황과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고, 지역별 공폐가 발생의 원인을 유형화하여 도시 노후화 현황과 지역별 대응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decline in urban center, changes in the population structure, economic slump and etc. have caused empty or deserted houses in the city. The government recognizes the houses as the reason for the accelerated formation of local slum, and as the negative element threaten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urban landscape, social stability and others. This research aims at investigat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empty or deserted houses in Gwangju metro city, identifying hotspots and classifying those hotspot according to the socioeconomic indicators as well as physical ones, and examin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in the urban sp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is a positive spatial autocorrelation i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empty and deserted houses in Gwangju metro city. Second, several hotspots are identified mainly around the old CBD area showing a sign of urban decline. Third, the indicators of urban decline were visualized using triangulation charts, and hotspots of empty(deserted) houses are classified so that the classification could serve for effective urban regeneration policy making tailored for each region.

      • KCI등재

        정신병동에 입원한 중학생환자의 임상적 고찰

        홍강의,최형관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82 신경정신의학 Vol.21 No.4

        저자들은 사춘기에 시작되는 초기 청소년기의 정신장애가 어떠한 특징을 가졌는지를 알기위해 1979년 7월1일부터 1981년 12월 31일까지 2년 6개월간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정신과에 처음 입원하였던 중학생환자 34명을 대상으로 임상적 특징과 사회환경적 요인을 조사했고 이들중 추적 가능한 20명의 퇴원후의 경과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진단분포에서는 정신분열병 29.4%, 정신분열병양장애 17.6%, 주요정동장애 8.8%로 정신병에 해당하는 환자는 55.8%였으며 그외에 신체형장애 23.5%, 성격장애 8.8%, 적응장애 8.8%, Tourette장애 2.9%였다. 2. 증상의 유형은 행동증상이 50%에서 나타나 제일 높은 빈도를 보였고 불안, 우울등의 정서증상, 대인관계장애, 신체증상, 수면장애등의 순위였다. 3. 형제출생 순위는 맏이와 외동이 61.8%였으며 부모와의 관계는 반수 정도에서 원만치 못하였는데 아버지에게는 주로 무관심하거나 피하는 태도를 나타내는 반면 어머니에게는 반항적이거나 피하는 태도를 나타내었다. 이들 부모의 관계는 79.4%에서 원만치 못하였고 4촌이내의 친척에서 정신병력이 있는 경우는 20.6%였다. 4. 대상의 70%에서 발병전 1년이내에 주요 생활변화가 있었는데 부모와 별거 26.5%, 가족내에 큰 질병 20.6%, 경제적 파탄 11.8%, 전학 11.8%였다. 5. 퇴원후 추적조사가 가능했던 경우는 20명이었고 추적 불가능한 14명은 주소불명 10명, 해외거주 3명, 뇌종양을 신체형장애로 오진받았다 퇴원후 사망한 1명이었다. 6. 추적 조사결과 정신분열병, Tourette장애, 성격장애(경계선성격장애)등에서는 결과가 좋지 않았던 반면 정신분열병양장애, 정동장애, 신체형장애에서는 비교적 경과가 좋았다. 퇴원후 학업을 중단한 경우는 7명으로 정신분열병 3명, 정신분열병장애 1명, 정동장애 1명, 성격장애 1명, 적응장애 1명이었다. 이들중 정신분열병장애 1명은 재입원하여 정신분열병으로 진단받았고 적응장애 1명도 2번의 재입원이 있었던 점으로 정신병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또한 퇴원후 가족과의 관계는 반수에서 개선되었다. 7. 결론적으로 사춘기와 초기청소년기에 해당하는 중학생시기는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학적인 급격한 변화와 관련되어 주요 정신장애가 호발되는 시기로 임상가의 관심을 필요로 한다고 하겠다.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on clinical features and socioenvironmental factors of 34 early adolescents, who were admitted to a psychiatric ward for the first time from July 1979 to December 1981. Inpatient charts of the subjects were reviewed in detail. A follow-up study was carried out and it was possible to locate 20 subjects who were visited or telephone interviewed regarding their post-discharge adjust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diagnostic distributions were the schizophrenics(29.4%), somatoform disorders(23.5%), schizophreniform disorder(17.6%), affective disorder(8.8%), Tourette disorder(2.9%). 2. The most frequent presenting symptom was behavioral symptoms and the nexts were emotional symptoms,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somatic complaints, sleep problems in order of frequency. 3. 61.8% of the subjects was the first or only child. Nearly a half of the subjects did not have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Their attitudes toward their fathers were indifferent or avoidant, in contrast, they were indifferent or resistant and rebellious to their mother. Almost 80% of the subjects parent had some form of marital problems. A family history of psychosis was found in 20% of the subjects. 4. 70% of the subjects reported that they experienced major life change within 1 year prior to admission. They were separation from parents(26.5%), illness in family member(20.6%), economic bankruptcy (11.8%), change of school(11.8%). 5. 20 subjects were able to be located for the follow-up study and 14 subjects couldn't be interviewed because of unknown address (10), imigration (3) and one subject died from brain tumor who were misdiagnosed as hysterical conversion. 6. The follow-up assessment revealed that schizophrenics, Tourette disorder,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did not do well at all after discharge while schizophreniform disorder, affective disorder, somatoform disorder showed satisfactory adjustment 7 subjects (3 schizophrenics. 1 schizophreniform disorder, 1 affective disorder, 1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1 adjustment disorder) were not attending to school at the time of follow-up study. Relationship with family members improved in the half of the cases. One subject originally diagnosed as schizophreniform disorder and the other as adjustment disorder during admission appeared to be schizophrenics at the time of follow-up study. 7. In conclusion, junior high school period, corresponding to puberty and early adolescence, is the period in which major psychiatric disorders can occur frequently in association with sudden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ological chan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