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형 직물의 고속 충격 에너지 흡수 특성

        최충현 ( Chung Hyeon Choi ),박유림 ( Yu Rim Park ),김윤호 ( Yun Ho Kim ),노재영 ( Jae Young Noh ),김천곤 ( Chun Gon Kim ) 한국복합재료학회 2015 Composites research Vol.28 No.4

        본 연구에서는 stuffed Whipple shield의 성능 향상을 목적으로, stuffed Whipple shield의 중간층에 적용되는직물의 방탄 성능 향상 기법으로서 Z형 직물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직물은 경계조건에 의하여 충격 현상과 방탄성능이 크게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단순 적층식 직물과는 다른 경계조건을 갖는 Z형 직물을 제안하였고, Z 형 직물의 방탄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용 프로그램 LS-DYNA를 이용한 아라미드 섬유사와 직물에 대한 충격해석을 수행하여 에너지 흡수 특성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단순 적층식 섬유사와 직물의 경우와 비교하였다. 그결과 Z형 직물은 단순 적층식 직물과는 다른 충격 거동을 보이고, 고속 영역에서 2 edge fixed, 4 edge fixed보다 높은 에너지 흡수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the Z-shape fabric design is proposed as the way to enhance the ballistic performance of fabrics which are used as the intermediate layer of stuffed Whipple shield configurations. The Z-shape fabric employs a different boundary condition from those of conventional configurations of fabrics which include 4 edge fixed. Impact analysis on Z-shape aramid yarns and fabrics using LS-DYNA software was performe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2 edge fixed and 4 edge fixed fabrics to identify the high velocity impact energy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the Z-shape fabric. It was revealed that the Z-shape showed different impact behavior and higher energy absorption performance than 2 and 4 edge fixed fabrics.

      • KCI등재

        Expression Properties and Skin Permeability of Human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with or without PTD Fused to N- or C-terminus in Escherichia coli

        In-Sun Park(박인선),Chung-Hyeon Choe(최충현),Bo-Ra Kwon(권보라),Young-Ji Choi(최영지),Tae-Ho Kwon(권태호),Kang-Yeol Yu(유강열),Juhyung Lee(이주형),Young-Moo Choo(추영무) 한국생명과학회 2018 생명과학회지 Vol.28 No.3

        인간 섬유아세포 성장인자는 조직 생성 및 상처 치료 효과로 인해 상업적으로 중요한 치료제 또는 화장품소재로서 가능성이 높다. 피부 조직에 침투성을 부여하여 치료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단백질 전달 도메인인 PTD를 FGF에 융합을 시도하고 있으며 피부로의 투과능력과 그로인한 치료 효과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PTD가 FGF 단백질의 N- 또는 C-말단에 결합 되었을 때 PTD의 위치가 대장균 발현시스템에서 재조합단백질 접힘 및 안정성, 그리고 결국 피부로의 도입능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여기에서 우리는 대조군으로 PTD가 융합되지 않은 인간 염기성 섬유아세포 성장인자(FGF2)와 PTD가 FGF2의 N-말단 또는 C-말단에 융합된 FGF2 복합체를 중합효소연쇄반응(OE-PCR)을 통해 클로닝 하였다. 그 다음 이들 재조합 FGF2의 단백질 발현 및 특성을 확인하고 마우스 등 피부를 이용하여 조직 내로의 도입 능력을 조사 하였다. 결과적으로, 불용성 PTD-FGF2 (N 말단 융합)와는 달리 대조군 FGF2와 FGF2-PTD 융합 단백질(C- 말단 융합)은 가용성 형태로 발현되어 재조합단백질 획득이 용이하였고, 마우스 피부 도입능력은 FGF2-PTD 융합단백질에서만 나타내 보였다. 우리의 결과는 C-말단에 융합된 FGF2-PTD 융합단백질이 발현, 정제, 피부 투과능력의 측면에서 다른 두 옵션들보다 노동, 비용, 시간면에서 보다 더 효율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Human fibroblast growth factor (FGF) has the potential to be a commercially important therapeutic or cosmeceutical agent due to its ability to generate tissue and heal wounds. Granting permeability into skin tissues increases the therapeutic effects of FGF. Thus, several researchers have attempted the fusion of FGF conjugates with protein transduction domains (PTDs) to investigate the transduction ability and therapeutic effects of FGF. Less is known, however, about whether the location of PTD fused to the N- or C-terminus of FGF protein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olding and stability in Escherichia coli, and eventually, on transduction. Here, we report cloning of human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FGF2) as a control and FGF2 with PTD fused to the N- or C-terminal ends of FGF proteins by an overlap extension PCR. We performed expression, verified expression properties of recombinant FGF2 without or with PTD fused to the N-terminus and the C-terminus, and investigated transduction ability into tissue by treating the dorsal skin of mice subjects. As a result, FGF2 and FGF2-PTD (fused to C-terminus) fusion protein were expressed as soluble forms suitable for straightforward purification, unlike insoluble PTD-FGF2 (fused to N-terminus), but only FGF2-PTD fusion protein could transduce into the dorsal skin tissue of the mice subjects. Our results suggest that FGF2 with PTD fused to the C-terminus is more efficient than other options in terms of expression, purification, and delivery into skin tissue, as it does not require labor-intensive, costly, and time-consuming methods.

      • KCI등재후보

        경상북도 청송군과 의성군에서 관찰된 담수 돌말류 미기록종에 관한 연구

        윤석민(Suk Min Yun),권대률(Dae Ryul Kwon),이창수(Chang Soo Lee),최충현(Chung Hyeon Choi),정병관(Byungkwan Jeong) 국립공원연구원 2023 국립공원연구지 Vol.14 No.1

        2022년 3월부터 4월까지 대한민국 경상북도 청송군과 의성군의 5개 지역에서 자생종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국내 새롭게 관찰된 돌말류는 9종으로 2강 5목, 6과 7속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종의 명명법, 참고 문헌, 사진, 생태 및 분포에 대해서 설명을 하였다. 국내 신규 돌말류 9종은 Achnanthes pseudoinflata, Encyonema pergracile, Gomphonema affinopsis, G. germainii, G. submehleri, Hannaea inaequidentata, Halamphora bicapitata, Neidiomorpha binodiformis, Orthoseira dendroteres으로 동정되었다. 조사된 강, 하천, 호수와 연못의 조사된 지역은 종별 서식환경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H. inaequidentata와 O. dendroteres은 유량이 적고, 수심이 얕은 유수역의 환경에서 관찰되었고, 다른 종들은 호수와 연못처럼 반폐쇄적인 정수역의 환경에서 확인 되었다. 새롭게 보고된 9종의 돌말류들은 알칼리성 환경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연구는 한국에 있는 돌말류의 다양성을 강조하며 이 그룹에 대한 추가 연구에 중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We conducted a survey of indigenous species at 5 sites in Cheongsong-gun and Uiseong-gun in Gyeongsangbuk-do, Korea from March to April 2022. Nine species of diatoms are new to Korea and they are divided into 2 classes, 5 orders, 6 families, and 7 genera. The nomenclature, references, photographs, ecology, and distribution of the species are presented here. Nine diatom species are new to Korea, namely Achnanthes pseudoinflata, Encyonema pergracile, Gomphonema affinopsis, Gomphonema germainii, Gomphonema submehleri, Hannaea inaequidentata, Halamphora bicapitata, Neidiomorpha binodiformis, Orthoseira dendroteres, which were identified in 2022, Nine species found in river, stream, lake and pond showed species-specific habitats. H. inaequidentata and O. dendroteres were observed in low-flow, shallow stream, while other species were identified in lake and pond environments. Nine newly reported species of diatoms were investigated to live in an alkaline environment. This study highlights the diversity of diatoms in Korea, which is important for further studies on this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