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기후변화 연구에 관한 사회연결망 분석과 함의

        최충익(Choi, Choong-Ik),강보영(Kang, Bo-Yeong) 한국지역개발학회 2012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4 No.5

        A great deal of study is being carried out to cope with climate change. Very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figure out the features of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the various researches related to climate change. This paper aims to find out the trend and characteristics of climate change research by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Also, the research attempts to explore some characteristics in climate change research with a forty-year time span, which is appropriate because many studies on climate change have been conducted since the late 1980s. Contents analysis and social network analysis are adopted as the methodology of this empirical study. This article reflects that various researches on climate change cover a wide range from engineering to social scienc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lso show that collaborative studies on climate change is actively performed in social science and humanities as well as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 KCI등재

        현대 서울의 재난․재해 발생 특성에 관한 역사적 연구

        최충익(Choi Choong Ik) 한국지역개발학회 2013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5 No.1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disaster characteristics in modern history of Seoul. Seoul has experienced two extreme changes during the past 80 years; drastic improvement of urban lives` quality and sufferings of natural disasters` ris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gue that frequency and intensity of extremely natural events in Seoul are increasing, entailing a heavy loss. The citizens of Seoul suffered from the prevalence of epidemics right after Korean War, whereas improvements of hygienic conditions reduced outbreaks of contagious diseases. Also this study found the causes shift of fires, which means that the frequency of electric fire exceed that of oil fire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 KCI등재

        위험의 사회적 증폭의 지역적 특성에 관한 사례연구

        최충익(Choi, Choong Ik),김철민(Kim, Chul Min) 한국지적정보학회 2016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는 위험의 사회적 증폭이 지역적 맥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에 착안하여 사례를 통해 실증하고 있다. 지역사회에 따라 위험이슈의 증폭과 감쇠의 변화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위험이슈의 사회적 증폭 모형 적용을 위한 사례 대상지로 우면산 산사태와 춘천 산사태를 선정하였다. 사례연구를 위한 분석틀로 SARF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사례분석을 위해 내용분석이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 두 지역 사이에서 위험이슈의 사회적 증폭양상이 큰 차이를 보이고 있음이 나타났다. 위험의 사회적 증폭에 관한 연구는 향후 지역사회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에 대한 대응하기 위한 방향과 지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article examine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s in the risk society and its application to risk communication. It begins with the idea that there can b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between regions. This research attempts to explore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in terms of how both social and regional factors act to amplify or attenuate perceptions of risk. SARF(social amplification of risk framework) is employed as a methodology and content analysis has been also used as an analytical t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there are big differences between two regions with regard to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and media perception.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will be able to make a contribution to provide some empirical lessons and implications for risk management, risk communication and public policy.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공간계획법과 환경관련법의 연계성에 관한 연결망 분석과 함의

        최충익 ( Choong Ik Choi ),강보영 ( Bo Yeong Kang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4 환경정책연구 Vol.13 No.2

        이 논문은 국토의 환경을 효율적으로 유지하고 관리하기 위한 정책적 이슈로서 환경관련법 및 공간계획법의 상호 관계성 파악에 집중하고 있다. 이와 함께 환경문제의 근본적 해결은 공간계획과 함께 다루어져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고 있다. 방법론으로서 연결망 분석을 활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환경관련법과 공간계획법 간의 연계성 및 중심성 구조를 살펴보고 있다. 52개의 환경관련법과 29개의 공간계획법을 실증분석 대상으로 하여 환경법체계에 대한 제도적 대응방안 마련을 위한 학문적 토대 마련하고 있다. 기존 질적 연구의 틀을 벗어나, 환경관련법과 공간계획법 각각의 법률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려는 시도를 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다고 생각된다.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connectivity and centrality between environment law and spatial law, where make implications in environmental planning. To achieve it, we used Network Analysis(NA) as a tool for analyzing the connectivities. 52 environmental Laws and 29 Spatial Laws are selected and used for this analysis. This study also attempts to explain the phenomenon through quantitative study rather than qualitative research. This paper is methodologically the first attempt to Environmental Law study, which will help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complex Environmental Law. The result of the network analysis for connectivity between Spatial Law and Environmental Law demonstrates that two laws are in less mutual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It also supports that Environmental Law and Spatial Law need to be closely connected with each other for effective environmental management.

      • KCI등재
      • KCI등재

        위험사회의 국토안전관리에 관한 고찰

        최충익(Choi, Choong Ik) 한국지적정보학회 2015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17 No.1

        본 연구는 기후변화와 도시화의 흐름 속에서 기술과 공학이라는 거대포장 속에 파묻혀 소외되었던 인간과 안전의 담론을 위험사회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위험사회에서 기후변화가 주민들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위험사회의 불확실성을 어떤 철학을 가지고 대응해 나가야 하는지 고민한다. 궁극적으로 위험사회의 사회적 취약성이 어떻게 위험의 사회적 지위를 양산하는지, 위험사회를 극복할 수 있는 국토안전관리정책의 방향이 무엇인지에 대한 창조적 담론을 모색한다.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discourses on issues of risk society accelerated by urbanization and climate change in terms of social science and humanities, which have been almost ignored by modern scientific technology so far. Also, the paper is seeking some ways of finding how climate change can affect citizens’life and what principles should be applied to cope with the uncertainty of risk society for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Eventually, the article attempts to deal with how social vulnerabilities incur social position of risk with regard to risk society and where the national risk management should be headed for to overcome the threats of risk society.

      • 도시화가 자연재해를 늘리는가? -경기도 사례를 중심으로

        최충익 ( Choong Ik Choi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0 환경정책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도시화가 도시의 자연재해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패널모형을 통해 실증분석하고 있다. 연구의 문제의식은 도시화가 지역의 환경변화를 통해 도시의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 취약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음에 착안한다. 본 연구의 분석틀은 도시재해 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한 개념화에서 출발한다. 도시화는 토지이용과 인구밀도 두 가지 관점에서 조작적으로 정의되었으며 도시재해 피해를 늘리는 중요변수들을 위주로 모델링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도시화가 도시의 자연재해 피해를 반드시 증가시키지는 않으며 오히려 적절히 관리될 경우 피해를 줄일 수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화는 자연재해 피해를 늘리기도 하지만 동시에 저감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향후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바람직한 적응정책(adaptation policy)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whether urbanization triggers urban disaster damages in the metropolitan areas of Korea by applying panel data analysis. Issues are approached with respect to the perspective that increased natural disaster damages are closely related with urbanization. This paper describes the conceptual framework of disaster management to understand the factors that determine urban disaster damages in Korea. This study used a simplified model with some key factors for analysis, because flood damage factors in urban areas are too diverse, and a full understanding of every cause is not feasible. The results indicate that urbanization does not necessarily lead to increasing urban disaster damages and if properly managed, urbanization can actually reduce urban disaster damage. The vulnerability of disaster damages can be reduced by urban land use controls, even if the population density increases. Planned urbanization with proper land use regulations will be able to help cities become less vulnerable to urban disasters, which can be useful in making an adaptation policy to climate 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