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와 조선의 동북계(東北界) 강역인식

        최창국 육군군사연구소 2021 군사연구 Vol.- No.151

        Gongheomjinseong is one of the Nine northeast Castles that were built in the Goryeo Dynasty, and is known as the northernmost castle. Seonchunryeong is also known as the location of the boundary stone installed by Goryeo to fix a border with the Jurchen. The reason why Gongheomjinseong and Seonchunryeong's location are important is because they provide a criterion of how strong Goryeo was at that time. The existing studies which have began from the Chosun Dynasty, on the location of Gongheomjinseong and Seonchunryeong can be summed up into three major categories.; the Hamheung plain area, the South-Kilju and the Tumen River Basin. However, it is worth noting that all studies conducted after the Chosun Dynasty were made by analyzing and processing records from the Chosun and its predecessors. Therefore, the paper would search the location of the Nine northeastern Castles of Goryeo, including Gong Geomjinseong and Seonchunryeong, and focus on the records and arguments of the Goryeo and Chosun periods. This will provide new momentum for the study of the location of the Nine northeastern Castles. In addition, through Joseon's assessment of the nine northeastern provinces of Goryeo, the paper will reasonably infer the common perception that Goryeo and Chosun had on the northeastern border of the Tumen River. 공험진성(公嶮鎭城)은 고려가 여진족을 정벌하고 고려의 동북쪽 국경 지역에 설치한동북 9성 중 하나로 가장 북쪽에 설치한 성(城)이며, 선춘령은 여진족을 정벌한 후 고려가 여진족과 국경을 정하기 위해 설치한 경계비의 위치로 알려져 있다. 공험진성과 선춘령의 위치가 중요한 이유는 당시 고려의 동북지역에 대한 강역(疆域)이 어디까지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되기 때문이다. 조선시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공험진성과 선춘령비의 위치에 대한 논쟁은함흥평야 일대설, 길주 이남설 그리고 두만강 유역설 등 크게 3가지 학설로 요약할 수있다. 하지만 조선시대 이후 일제강점기를 거쳐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들은 모두 조선시대와 그 이전의 기록들을 분석하고 가공하여 탄생한 것들이라는 것을 주목할 필요가있다. 따라서 필자는 일제강점기 이후 현재까지의 연구결과보다는 고려 및 조선시대의 기록들과 주장들에 초점을 맞추어 공험진성과 선춘령을 포함한 고려 동북 9성의 위치를비정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그동안 공험진성과 선춘령 위주의 연구로 인해 다소 소홀해진 - 공험진성을 제외한 - 동북 9성의 위치 연구에 대한 새로운 동력을 제공할 수있을 것이며, 또한 고려의 동북 9성에 대한 조선의 평가를 통해 고려와 조선이 두만강일대의 동북 국경지대에 대해 가지고 있었던 공통된 강역인식을 유추해 볼 것이다.

      • 노년기 여성 노인들의 신체활동이 건강관련 심리적 속성에 미치는 영향

        최창국,현승권 한국학교체육학회 2000 한국학교 체육학회지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의 신체활동이 건강관련 심리적 속성들의 하위변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또한 어떤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서울 N구 소재 노인복지관과 노인정에 소속된 여성노인 276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긍정적 건강관련 심리적 속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sherer등(1982)이 개발한 자기효능감 척도를 김영호(1997)가 한국어로 번안한 한국판 자기효능감 질문지와 Rosenberg(1965)의 자아존중감 척도를 김영호(1997)가 한국어로 번안한 한국판 자아존중감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부정적 건강관련 심리적 속성에 관한 측정도구는 Derogatis(1973) 등이 개발한 90개 문항의 5단계 평정검사인 간이정신진단검사를 김광일(1976)과 원호택(1978)등이 표준화하여 사용한 한국판 간이정신건강진단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과 방법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여성 노인들의 긍정적 심리적 속성과 부정적 심리적 속성들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65-69세 노인집단은 70세 이상의 노인들에 비해 높은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이 나타났다. 3. 70세 이상 여성노인들은 60-64세 그리고 65-69세 노인들 보다 불안과 우울 수준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여성들의 긍정적 심리속성과 부정적 심리속성은 신체활동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노인들은 신체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노인들 보다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신체활동에 참여하는 노인들은 신체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노인들 보다 불안과 우울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7. 긍정적 심리속성과 부정적 심리속성 간에는 부분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study was to investigate physical activity on the health-related psychological constructs and to identify a possibl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itive psychological variables Bid the negative psychological variables. Subjects were consisted of 276 female old women over 60 years old living in N-gu in seoul. The measurement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korean version self-efficacy scale and self-esteem scale to test the old women belief, value attitude, confidence on life s81isfeclion and the revised symptom checklist to examine subjects anxiety,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sensitiv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ositive and negative psychological constructs of the elderly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The old women aged 65-69yrs had higher self-efficacy and self-esteem than the old women over 70yis. In addition, the elderly over 70yrs had higher anxiety and depression, compared with the older women groups in the age of 60-64yrs and 65-69yrs. Further,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ositive and negative psychological constructs of the elderly according to physical activity. The old women participating in a regular physical activity reported higher self-esteem and lower anxiety rod depression, compared with the older women not participating in physical activity.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partial relation between the positive psychological construct and the negative psychological construct. The study has implications that the further study related in this field should consider other demographic factors, the advanced methodical techniques. Moreover there should be required the more in depth and broader research in this area.

      • KCI등재

        통전적 영성생활의 해석학적 패러다임 연구

        최창국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9 복음과 실천신학 Vol.50 No.-

        영성생활의 고전적 패러다임에서는 기도와 말씀묵상과 예배와 같은 행위 자체를 영성생활의 시금석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영성생활의 목적은 이러한 행위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과의 생동적인 관계에서 발생하는 통전적 삶과 전인성 회복에 있다는 것을 밝혔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통전적 영성생활을 위한 해석학적 순환의 구조 와 패러다임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영성생활의 해석학적 시금 석으로서‘통전적 자아(self)’에 대해 논하였다. 통전적 자아는 통전적 영성생활을 위한 해석학적 순환 구조의 기초가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론적 맥락 안에서 영성생활의 해석학학적 순환 구조에 대 해서 제시하였다. 즉 인간의 영성생활은 영혼과 몸, 자신이 속한 전통 과 현재 상황, 개인과 공동체, 이론과 실천, 기도와 노동, 선호하는 차 원과 덜 선호하는 차원과의 순환 관계를 통해 형성되고 혁신되고 발전 된다는 것을 논증하였다. 영성생활의 해석학적 패러다임으로서 동사적 관계적 경험적 차원을 통전적 관점에서 논하였다. 특히 그리스도인들의 효과적인 영적 경험과 삶을 위해서는 단지 신학적 관찰과 이해뿐만 아니라 임상적 관찰과 이해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강조하였다. 영성생활에서 기도와 말씀 묵 상과 같은 요소들의 효과에 대해서도 알아야 하지만 인간의 내적 상태 와 환경과 상처와 질병으로 인해 뇌에서 일어나는 변화가 영성생활에 어떤 영향을 주고 제한하는지에 대해서도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나아가 영성생활의 경험적 패러다임에서는 전인성의 체험과 관계된 다는 것을 논하였다. 진정한 전인성의 체험은 그리스도의 몸 안에서 충 만한 삶뿐 아니라 하나님의 변혁시키시는 은혜의 대리자로서 세상 속 으로 들어가는 것과 관계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영성생활은 건강한 사 회적 경험과 분리되지 않는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illuminate the aim of spiritual life which is in holistic life and recovering wholeness emerging from vital relationship with God, while the acts themselves of prayer, the Bible meditation and worship was regarded as touchstone in the traditional paradigm of spiritual life. This article suggests a paradigm and structure of hermeneutical circle for holistic spiritual life. For this, ‘the holistic self’ is first discussed as hermeneutical touchstone for spiritual life because it is a base of the structure of hermeneutical circle for holistic spiritual life. In this context, the structure of hermeneutical circle for spiritual life is suggested, arguing that spiritual life is formed and reformed through the circular relationship between spirit and body, the tradition and the present situation where you belong, individual and community, theory and practice, prayer and labor, preferred ones and non-preferred ones Then, the article discusses verbal, relational and experiential dimensions as a hermeneutical paradigm for spiritual life.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in observation and understanding through not only theological but also empirical dimension. As changes often occur in the brain due to the person’s inner state, situation, wound and illness, not only the effect of prayer and the Bible meditation but also the influence and limitations on spiritual life should be known. The article goes on arguing that spiritual life is related with the experience of wholeness in empirical paradigm, for true experience of wholeness is related with not only fullness of life in the body of Christ but also getting into the world as an agent of God’s grace and reformation. So it suggests that spiritual life is not separated from the healthy social experience.

      • KCI등재
      • KCI등재

        일의 성령론적 이해를 통한 워라벨 실천 방안

        최창국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22 복음과 실천신학 Vol.64 No.-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propose ways to practice work-life balance based on a pneumatological understanding of work. For this, it first emphasizes that work and labor are not given as a result of Adam’s fall, but are creative gifts from God. To uncover the importance of work as God’s creative gift, it discusses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work as a calling and a gift. It emphasizes that work as God’s creative gift is not only a service to God, but also a partnership in God’s new creation work. As another aspect of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work as a creative gift, this thesis reveals that work cannot be the only purpose of life. It emphasizes that a perfect life according to God’s creation order is not only an important element that breathes life in itself, like the Sabbath, but also the two are in a holistic rhythm, and it looks into that an important practical form of rest is also a creative activity. As a result, this thesis discloses that rest is highly related not only to our intelligence, empathy, and emotional judgment, but also to our overall emotions and mental health, and that we can experience a full life when we recognize and practice the true value of rest as well as that of work. It argues, therefore, that a perfect life according to God’s creation order is possible only when work and rest, work and sleep are in balance. As practical ways of work-life balance for work-and-rest, this thesis further deals with the importance of work and rest as a wholeness of life, and the importance of sleep as the best gift of rest. In particular, it reveals that sleep, a creative gift,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our daily work, rest, worship, prayer, relationships, leisure, and character formation. Finally, this thesis proposes several ways to practice so that church members can enjoy the spirituality of rest at the church level. Specifically, it proposes the shift from the Sunday afternoon sermoncentered worship to a small group meeting with true spiritual rest, and the shift from the early morning prayer meeting to the evening prayer meeting. 본 논문의 목적은 일의 성령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워라벨 실천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일과 노동은 아담의 타락의 결과로 주어진 것이 아니라 창조적 선물임을 강조하고, 일의 구조적 차원과기능적 차원을 구분하여 논한다. 하나님의 창조적 선물인 일의 중요성을 밝히기 위해 또한 소명과 은사로서 일 이해의 중요성을 논한다. 하나님의 창조적 선물로서 일은 하나님께 대한 봉사일 뿐 아니라 하나님의 새 창조 사역의 동역임을 강조한다. 본 논문은 창조적 선물로서 일의 중요성을 이해하는 또 다른 면으로서 일만이 삶의 유일한 목적이 될 수 없다는 점을 밝힌다. 하나님의 창조 질서에 따른 온전한 삶은 안식도 일과 같이 그 자체로 생기를 불어넣는 중요한 요소일 뿐 아니라 이 둘은 통전적 리듬 안에 있다는 것을강조하며, 안식의 중요한 실천적 형태인 쉼도 창조적인 활동이라는 것을 구체적으로 살핀다. 그 결과 본 논문은 쉼은 우리의 지능, 공감, 정서적 판단뿐 아니라 전반적인 정서와 정신 건강과도 높은 연관성이 있으며, 우리가 일의 가치뿐 아니라 안식의 진정한 가치를 인식하고 실천할 때 온전한 삶을 경험할 수 있다는 점을 밝힌다. 따라서 하나님의 창조 질서에 따른 온전한 삶은 노동과 안식, 일과 잠 등이 균형을 이룰 때가능하다는 것을 주장한다. 본 논문은 나아가 일과 안식의 워라벨 실천 방안으로서 온전한 삶으로서 일과 함께 안식의 중요성, 안식의 최고의 선물로서 잠의 중요성을다룬다. 특히 창조적 선물인 잠은 우리의 일상의 일, 안식, 예배, 기도, 관계, 여가, 성격 형성 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밝힌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교회 차원에서 성도들이 안식의 영성을 누릴 수있도록 실천할 수 있는 몇 가지 방안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주일 오후 설교 중심 예배에서 진정한 영적 안식이 있는 소그룹 모임으로 전환하는 방안이나, 또한 새벽기도회를 저녁기도회로 전환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 KCI등재

        서번트 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Job Crafting의 매개효과

        최창국,강효진,김종인 한국IT정책경영학회 2021 한국IT정책경영학회 논문지 Vol.13 No.6

        In order to preoccupy the future growth market amid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and the rapidly changing global business environment, Innovation behaviors within the organization are more important than ever.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verify the effect on innovation behaviors from the viewpoint of servant leadership and job design. In other words, the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and job crafting on innovation behaviors are confirmed, and the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craft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innovation behavi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chanism that creates Innovation behaviors within the organization through the effectiveness verification.

      • KCI등재후보

        영성형성의 실천적 방법으로써 렉시오 디비나(lectio divina)

        최창국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0 복음과 실천신학 Vol.21 No.-

        This article explores lectio divina as a practical way of spiritual formation.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Bible as a source of lectio divina. It suggests that the Bible is not for information or a tool for ideas, but is for Christiansspiritual formation. It also emphasizes that the Bible can be secularized if it is regarded as a mere object for study or information. Lectio divina can be an important method for recovering the essence of the Bible. It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methods not only to get a historical background knowledge but also to experience Gods Word revealed in the present. This article criticizes rationalism and discusses the informative and formative methods as the ways of reading the Bible, and emphasizes that how approaching the Bible is as important as the Bible itself. It also asserts that lectio divina provides the right and rich energy for prayer that is an important element to spiritual life. In this way, the Bible can be in the center of our lives and prayer becomes dependent upon the Bible. This article further looks into the processes of lectio divina. Lectio divina can be practised in four stages -reading, meditation, prayer and contemplation, which neither are static or progress automatically one by one. In conclusion, this article emphasizes that lectio divina is a very important method for spiritual formation that is necessary for contemporary Christians who are threatened in their identity and mature life in faith by secular culture and thought.

      • KCI등재

        선춘현(先春峴)과 공험진(公嶮鎭) 위치 고찰 -『세종실록』「지리지」및 고지도, 현지답사 등을 중심으로 -

        최창국 육군군사연구소 2017 군사연구 Vol.- No.143

        공험진은 고려 예종 3년(1108) 2월에 윤관이 동북지역의 여진족에 대한 제2차 정벌 후에 축성한 동북 9성 중 하나로 가장 북쪽지역에 위치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선춘령비는 여진족 토벌 후 고려와 여진족의 국경을 획정하기 위해 공험진 일대에 설립한 경계비였다. 하지만 공험진과 선춘령비의 위치에 대해서는 함흥평야설, 길주설, 두만강 일대설 등 여러 가지 학설들로 의견이 분분하다. 그러나 필자는 세종실록 지리지에 명확하게 기록된 공험진과 선춘령의 위치를, 현존하는 고지도와 1950년대 만주지도 및 현대 연변지도에 적용하여 비정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중국 현지답사를 통해 공험진과 선춘령비의 위치가 두만강 이북지역이라는 것을 본 논문에서 증명하였다. 그렇지만, 현재 이 지역은 중국의 영토에 해당되는 지역이다. 따라서 우리는 그곳이 과거 우리의 강역(疆域)이었다는 역사적 인식을 바탕으로 우리가 어떻게 해서 그 지역을 상실하게 되었고, 그 강역에 대한 정체성을 잃지 않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깊이 고민하고 미래지향적인 대안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부족한 연구결과이지만, 이것이 후발 주자들에게 ‘우리민족의 역사적 강역’을 되찾는데 작은 이정표의 역할을 해 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Gongheonjin has been known as an one of the nine Castles in the northeast Goryeo which were constructed by General Yoon Gwan after the second conquest of the northeast Nuzhen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 memorial stone of Seonchunleong in Gongheonjin area was installed to demarcate the border of Nuzhen after Goryeo conquered the region. But there are different opinions about the location of Gongheonjin and Seonchunleong memorial stone. The three different proposed areas are: the Hamheong Plain, Gilju in Hamgyeong Province and the Tuman River area. I tracked the location of Gongheonjin and Seonchunleong based on Sejong Silok(record of King Sejon in the Joseon Dynasty), existing antique maps, recent Yanbian map and Manchuria map from the 1950's. As a result, I proved that the location of Gongheonjin and Seonchunleong is in the north of the Tuman River through an on-site exploration of the Chinese territory. However, the area now belongs to China. Thus, we must remain concerned and come up with future-oriented alternatives to correctly acknowledge the history behind the seizure of the region, and to protect the identity of the region. Although the study may seem insufficient, I hope that it will be a good guidance to researchers who try to retrieve the history of our people.

      • KCI등재

        시편의 애가에 나타난 기도의 지평 연구

        최창국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21 복음과 실천신학 Vol.60 No.-

        본 연구는 시편의 애가에 나타난 기도의 지평을 탐구하여 애가 또는 탄식 기도의 실천적 의미를 찾는 데 목적이 있다. 불완전한 피조물로서 인간이 경험할 수밖에 없는 내면의 부정적인 감정들을 하나님께 탄원 할 때, 시편의 애가에 나타난 기도의 언어와 방법은 중요한 기도 언어 로 사용될 수 있음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시편의 애가에 나타난 언어의 은유적 특성 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에 시편은 우리에게 말할 뿐만 아니라 우리에게 말하도록 자유를 허락하는 은유적 특성이 있다고 밝혔다. 또한 그 은유 적 언어는 우리의 감성을 개발하도록 돕고, 우리의 경험의 역동성을 가 져오게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시편의 언어 가 우리 가운데 새로운 인간성을 유발시키고 경험하게 하는 특성이 있 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시편의 애가가 하나님 앞에서 우리의 죄의식, 고통, 슬픔, 분노, 불평 등을 위해 어떻게 기도해야 할지를 도와주는 전 형적인 양식과 방법을 제공해 준다는 것을 논하였다. 또한 시편의 애가 는 하나님께 양도하는 방법을 안내(guide)해 주고, 지도(direction)해 준 다는 점을 밝혔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본 논문은 시편의 애가의 불평 기도가 가지는 실천적 의미를 제시하였다. 악에 대한 부정으로서 불평 기도, 충만하게 살아있다는 증거로서 불평 기도, 불평 기도의 수신자로서 하나님, 변형 의 여정으로서 불평 기도의 실천적 의미를 제시하였다. This is to explore the practical meaning of the lamenting prayer by looking into the horizons of the lament in the Psalms. It is also to suggest that the languages and the ways of prayer in the lament of the Psalms are important to be used for prayer languages, as imperfect creatures we have no choice but to plea to God about our internal negative emotions. For this, it first looks in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taphoric languages in the Psalms. It discloses that the metaphoric language in the Psalms not only speaks to us but also allows freedom for us to speak, and emphasizes that the metaphoric languages help us develop our emotions which brings a dynamic to our experiences. In this context, it suggests that the languages of the lament in the Psalms have the characteristics for us to develop and experience a new personality. Furthermore, it discusses that the lament of the Psalms offers the fundamental aspects which help us pray to God when we feel guilt, pain, sorrow, anger and discomfort. Then, it discloses that the lament of the Psalms guides us to a new place where we can leave everything to God’s sovereignty. Finally, it suggests the practical meaning of the complaining prayers in the lament of the Psalms. That is complaining prayer as a denial of evil, complaining prayer as evidence of being fully alive, complaining prayer as God’s curriculum, God as a recipient of complaining prayer, complaining prayer as the transforming journey of a person are suggested.

      • KCI등재

        ‘체현된 자아’로서 몸의 해석과 실천적 의미

        최창국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8 복음과 실천신학 Vol.48 No.-

        본 연구는 몸에 대한 파편화된 이원론적 이해를 진단하고 이로부터 몸에 대한 바른 신학적이고 실천적 의미들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몸의 언어를 간과하거나 영혼의 이름으로 몸을 이차적인 위치에 놓는 것이 온전한 인격과 삶에 장애로 작용하게 된다는 것을 밝힌다. 나아가 인간의 온전한 자아는 몸을 포함해야 하며, 몸은 온전한 인격을 위한 중요한 장이라는 것을 강조한다. 본 연구는 몸이 중요하다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몸이 하나님의 ‘일반 계시’의 장이라는 관점에는 회의감을 느끼는 이원론적 경향을 논의 한 후, 몸은 하나님의 뜻과 질서가 펼쳐지는 중요한 장이며,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인격적이고 체현된 자아임을 밝히고 있다. 몸에 대한 이해와 해석의 문제는 단순히 신학뿐만 아니라 삶의 양식에 대한 성찰과 태도에도 많은 영향을 준다. 나아가 성경 해석과 돌봄의 양식 등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기독교적 신학과 삶에서 몸의 언어와 지식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을 논의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몸에 대한 이해는 몸과 영혼의 관계뿐만 아니라 신학적, 해석적 그리고 실천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음을 논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체현된 자아와 인격으로서 몸의 해석적 실천적 의미와 특성을 살피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몸의 탈체현화의 배경과 의미를 살핀 후에, 하나님의 창조된 자아로서 몸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몸의 체현(육체성)의 의미와 기능 등을 밝히고 있다. 나아가 체현된 자아로서 몸의 이해와 해석이 영혼 돌봄에 참여하는 이들에게 주는 해석적 실천적 의미들을 제안하고 있다. This study is to examine fragmented and dualistic understanding of the body and to find theological and practical meaning that is right for the body. Looking into the fact that overlooking the language of the body and placing the body in the secondary position can be obstacles for integrity of human beings, it emphasizes that the body is an important place for wholeness and should be included in the whole self. This study discloses that the body is the embodied self created in God's image, indicating a common tendency of uneasiness towards the view to see the body as God's "general revelation" despite of knowing the importance of the body. In this study, it argues that understanding of the body is very much related to the view on relationship of the body and the soul as well as having implications on theology, interpretation and practice, as issues of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body impact very much on attitudes and reflections of the people's life style and also interpretations of the Bible and patterns of pastoral care. This study looks into interpretational and practical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body as embodied self and personality. For this, after examining the background and the meaning of de­embodiment, it discusses the view on the body as the created self and explores the meaning and the functions of embodiment. Then it suggests interpretation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ose who involve in caring souls of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body as embodied sel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