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종교의 장소성

        최진성(Jinseong Choi)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9 문화 역사 지리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일제강점기를 중심으로 종교별 장소성을 이해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전주와 같은 전통 도시와 목포나 군산 등 개항도시를 비교해 살펴보았다. 종교 장소성에 작용하는 장소 관성, 장소 전용, 장소 권력, 장소 응집성 등의 지리적 현상들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전주에서는 민족별 거지주가 발달되지 않아서 승암산과 완산칠봉의 구릉이 종교들의 중심이었다면, 목포와 군산은 민족별 거주지에 따라 종교들의 분포가 달랐다. 그리스도교는 조선인 거주지에, 일본신사는 일본인 거주지의 구릉을 선호하였던 반면, 일본불교는 조선인과 일본인 주거지의 사이에 사찰을 세웠다. 둘째, 구릉지향성이 가장 두드러진 종교는 일본신도와 그리스도교였다. 신도는 식민지 지배를 위한 감시 장치로서의 정치적 장소성이 강하였다면, 그리스도교는 유럽의 종교적 전통을 계승한 것이다. 이러한 구릉지향성은 다른 종교들에도 영향을 주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placeness of religions centering around th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And the placeness of religions is examined by the four measures: the inertia of place, appropriation of place, power of place, and cohesion of place. For this, I suggest the case of Jeonju by a traditional city, and the cases of Kunsan and Mokpo by the cities that opened their ports to Japan. As a result, first, in Jeonju the center of the religions was located on the Seungam Mt. and Wansan Mt. because the ethnic residential district was not developed well, but in Kunsan and Mokpo, the distribution of the religions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ethnic residential district. That is, Christianity located its missionary stations on the hills near Korean residential district, Japanese Buddhism located its temples on the hills between the Korean residential district and the Japanese concession, and Shintoism also located its shrines on the hills that they could command a fine view of Korean and Japanese residential district. Second, Christianity and Shintoism especially preferred the hills for their landscapes. This was especially influenced by the cohesion of place because the hills were advantageous for Kerigma or supervision etc. This hill orientation influenced other religions.

      • KCI등재

        특수교사의 스마트교육에 대한 활용 실태 및 태도

        최진성 ( Jinseong Choi ),권순황 ( Soonhwang Kwo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5 지적장애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스마트교육에 대한 활용 실태와 태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경상 남도에 근무하는 특수교사 2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서 SPSS WIN(Version 18.0)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의 스마트교육에 대한 활용 실태에서는 스마트기기를 사용하고 있는 특수교사와 스마트기기를 교육적으로 활용해 본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육적으로 적합한 스마트기기로는 태블릿 PC를 가장 많이 선호하였으며, 특수교육에서 스마트교육에 적합한 교과로는 국어교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교에 무선인터넷이 설치되지 않은 학교가 많았으며, 스마트교육 도입을 위한 해결과제로 기기보급이 가장 시급히 해결 되어야 되는 과제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사의 스마트교육에 대한 태도에서는 총점 평균이 135.51을 보였고, 하위요인중 인지적 태도는 40.88, 정의적 태도는 68.78, 행동적 태도는 25.84를 보였다. 변인별로 결혼여부, 근무기관, 연수이수 여부, 연령, 교직경력, 학교급, 학력, 직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utilizing and attitude towards smart education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a questionnaire was given to 205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are working in Gyeongnam regional. SPSS 18.0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many teachers that using smart devices and teaching experience of teacher using smart devices. Participants responded at a high rate that the tablet PC is educational proper smart device and the korean language is proper as smart education. There are many school that absence of wireless network. The most urgent need is supply of smart appliances. Second, the total score means of attitude towards smart education to special education teacher are 135.51. and participants gain subordinate factors scores(cognitive attitude 40.88, positive attitude 68.78, behavioral attitude 25.84)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marriage, workplace type, in-service education, age, teaching career, school level, academic careered, working place-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re score of attitude towards smart education and each of the subordinate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