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촌지역사회 목회자의 삶에 관한 생애사 연구

        최지엘 ( Jiel Choi ),김동민 ( Dongmin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이 연구는 농촌지역사회에서 장기간 담임목회를 이어온 목회자의 삶을 조명하여 해석적으로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39년 이상 농촌지역사회에서 장기간 목회 사역에 있는 한 명의 목회자를 대상으로 내러티브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생애사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포괄적 분석 절차에 따라 코딩 및 범주화가 이루어졌으며 총 3개의 핵심범주 ‘목회자 되기’,‘목회자 정체성 확립하기’, ‘농촌지역사회에서 목회자 역할 수행하기’와 8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이 결과는 연구 참여자가 농촌지역사회의 고령화로 인해 교인 감소와 목회자로서의 역할 수행에 어려움을 경험하였으나, 목회 사역을 통해 신앙의 성숙과 더불어 목회자로서의 비전을 확립하며 정체성을 구축하였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농촌지역사회에서 장기간 목회를 이어가고 있는 목회자의 비전을 통해 교회와 농촌지역사회의 관계성을 이해하며 지역사회에서 교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과 대안을 제시하는데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and explore the life of a pastor who has long pastored at a church in a rural community. To this end, the study collected data from a narrative interview with a pastor who has pastored at a church in a rural community for more than 39 years and analyzed the data using the life history research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coded and categorized by approaching the overall content, and the constructed story provided three key categories and eight sub-categories. The three key categories include becoming a pastor; establishing an identity as a pastor; and carrying out a role as a pastor in a rural commun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study participant experienced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playing the role of a pastor as well as the issue of the declining number of Christians due to the aging population in the rural community. However, the subject participant eventually established maturity in the Christian faith as well as vision as a pastor through long-term pastoral ministry, and then established his identity as a pastor. Therefore,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as it helps better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a church and a rural community from the vision of a pastor who has long pastored at a church in a rural community and suggests future directions and alternatives for churches in communities.

      • KCI등재

        목회자 자녀인 음악치료사의 부모화 상처 치유과정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박예림(Yerim Park),최지엘(Jiel Choi),김동민(Dongmin Kim) 한국질적탐구학회 2021 질적탐구 Vol.7 No.1

        목회자 자녀, 음악치료사본 연구는 목회자 자녀인 음악치료사의 부모화 상처 치유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목회자 자녀이자 부모화 상처를 지닌 음악치료사의 상처 치유과정을 자문화기술지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여 기술하였다. 그 결과 ‘제한된 표현’, ‘억압된 감정’, ‘과도한 책임감’이 결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화된 연구자의 모습이 감정을 표현하고 전달하는 데 어려움으로 발현되어 가족 내에서 의사소통의 문제로 이어지게 되었고, 결과적으로 자신보다 가족을 위해 희생하는 형태로 책임감이 나타났다. 음악치료사의 정체성에서는 ‘부모화로 인한 역전이’와 ‘역할의 충돌’이 나타났다. 이는 연구자로서의 정체성에 혼란을 일으켜 치료환경에서 부모화가 나타났음을 의미한다. 더 나아가 연구자가 자신의 부모화와 양육 상처를 통찰하며 자기 작업을 하였을 때 ‘상처의 직면과 수용’, ‘표현과 인식의 확장’, ‘치료사로서의 성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목회자 자녀이자 부모화로 인한 상처를 지닌 음악치료사로서 경험한 치유의 과정을 세밀하게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자와 유사한 경험을 지니고 있는 목회자 자녀들과 음악치료사에게 공감의 발판을 제공하고 치유의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회복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에 의의를 가진다. 또한 연구자와 비슷한 상황에 놓인 사람들이 보여주는 상처와 부모화된 모습들에 대한 한 사례로 제시한다는 학문적 의의를 가진다., 부모화, 상처, 치유, 자문화기술지 This study aims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arentification wound recovery process of a music therapist who is a parentified kid of a pastors’.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and explored the parentification wound recovery process of a wounded music therapist, who was also a parentified kid of a pastor’. using the research technique of auto-ethnography.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reserch participant displayed the characteristics of restricted expression, oppressed emotions, and excessive sense of responsibility. The author’s sense of identity revealed signs of counter-transference caused by parentification and conflict of roles. This means the author experienced identity confusion and parentification occurred in the therapy environments. Moreover, when the author dedicated herself to the self-work of penetrating into her own wounds and parentification, she was able to confront and embrace her own wounds, expand her expression and perception, and grow further as a therapist. This studyexplored in details the process of the recovery of a wounded music therapist as a parentified kid of a pastor. This study carries specific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it lays the foundation for recovery by providing the basis of empathy and sharing the experience of recovery to the kids of other pastor’s kids pastors and music therapists who had similar experiences with the author. This has additional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serves as a case study on wounds and states of parentification to of the individuals in a similar situation with the author by sharing the process of recovery of a wounded music therapist who is a parentified kid of a pastor’.

      • KCI등재

        음악치료사들의 수퍼바이저 입문경험에 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소라엘(So, Rael),임지연(Lim, Jiyeon),최지엘(Choi, Jiel),김동민(Kim, Dong Min) 한국음악치료학회 2020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22 No.1

        이 연구는 음악치료사들의 수퍼바이저 입문경험에 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로 초보 수퍼바이저들의 음악치료 수퍼비전 경험을 고찰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현장 수퍼비전 기록, 수퍼비전 영상, 영상 분석자료, 수퍼비전에 대한 수퍼비전의 피드백 자료 등을 수집하였고 연구자 세 명의 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기술과 사회적 맥락으로 해석하는 자문화기술지의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자들은 수퍼바이저라는 역할을 구축해가는 과정에서 전문성에 대한 불안과 역전이를 경험하기도 하였으나, 수퍼비전 노트 작성과 수퍼비전에 대한 수퍼비전을 통해 자신을 성찰하고 수퍼 바이저로서의 역할을 정립해갔음을 볼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연구자들의 경험에 대해 예술자료들을 함께 제시하여 다양한 시각으로 해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가 수퍼바이저를 양성하는 과정에서 역할을 확립해가는 이들의 역동을 이해하고, 해결의 단서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what actually happens in the beginning of the journey of becoming music therapy supervisors by looking into the introductory supervisory experiences of three novice music therapy supervisors, using a relatively new qualitative research method,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Audio records of onsite supervision, supervisor’s logs, and written memos from supervision of supervision were used as main data of the study. The analysis of the data showed that the novice supervisors experienced various difficulties including performance anxiety, competence anxiety, and insecurities due to counter-transferences. However, through in-depth self-reflect, and consistent supervision of supervision they also owned growth experience such as establishment of professional philosophy, approach and identity as a supervisor. This research was interpreted from various perspectives by providing researchers experiences with artistic materials. The data were interpreted and analyzed with various perspectives by providing researchers self-reflective artistic experienc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facilitate deeper understandings of development process of novice music therapy supervis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