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탄성 버퍼층 결합형 마이크로 프로브

        최주찬 ( Ju Chan Choi ),최영찬 ( Young Chan Choi ),정동건 ( Dong Geon Jung ),공성호 ( Seong Ho Kong ) 한국센서학회 2013 센서학회지 Vol.22 No.5

        In this paper, a new structure of probe unit is designed and fabricated with PDMS, which is well-known elastic material, as a buffer layer for increasing overdrive force and mechanical strength. In general, PDMS is widely used as actuation material due to its elasticity and compatibility of fabrication process. In this work, PDMS layer is chosen for mechanical elasticity of the proposed probe unit. We achieved the high overdrive force by placing PDMS buffer layer under the silicon based cantilever due to its elasticity. Moreover, the relation between prove length and overdrive force was measured by experiment in this work. Therefore, the various specifications of the micro prove unit can be designed by using the results of this work.

      • KCI등재
      • KCI등재

        푸코의 초상: 한국 현대문학 학술장의 푸코 인용 양상 변화, 2008-2021 KCI 등재 학술지 논문 참고문헌 데이터를 중심으로

        허예슬,김병준,최주찬,최진석 한국이론사회학회 2023 사회와 이론 Vol.46 No.-

        이 연구는 2000년대 후반 이래 한국 현대문학 학술장에서의 미셸 푸코(Michel Foucault) 인용 양상 변화를 추적함으로써 푸코의 저술이 한국 현대문학 연구에서 수행하고 있는 역할을 확인하고자 했다. 통계 분석, 구조적 토픽 모델링, 그리고 실제 인용문의 질적 분석을 연구 방법으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푸코의 피인용수는 2020년 급감소를 제외하고는 계속 증가하는 추이를 보였으며, 푸코의 중기>전기>후기 사유를 담은 저서 순으로 많이 인용되었다. 특히 감시와 처벌 을 향한 꾸준한 관심과 헤테로토피아 인용의 급증이라는 인용 양상의 특징적 장면을 포착할 수 있었다. 푸코를 인용한 논문과 인용하지 않은 논문간의 주제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명목변수의 효과를 확인한 결과, 푸코 인용 논문은 비인용 논문 대비 (정치)담론, 타자, 공간이라는 토픽이 발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성별에서 유의미한 인용 양상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통계적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유의미하게 푸코를 더 많이 인용하였으며, 푸코 인용 논문 안에서도 성별에 따른 주제 분화가 있었다. 여성은 타자/주체, 젠더 토픽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했으며, 남성은 언어/텍스트, 비평/문학사, 토픽이 통계적인 유의미함을 보였다. 정리하자면, 푸코의 사유에서 근대문학의 기원은 언어의 위상으로부터 설명되지만, 흥미롭게도 한국의 현대문학 연구자들은 근대문학 내지는 근대어 자체에 대한 푸코의 사유보다, 권력이나 정치에 대한 푸코의 사유를 더욱 열성적으로 수용하면서, 미시 권력 분석가로서 푸코의 ‘초상’을 그리고 있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경향의 한편으로, 권력에 대한 푸코의 논의가 보여주었던 정치성, 저항성은 한국에서 편역된 푸코의 논의인 헤테로토피아 의 인용 패턴을 통해 여성 연구자들의 주도로 더욱 확장되고 견고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ole of Michel Foucault’s writings in modern Korean literary research by tracing the changes in citation patterns of his work in the Korean academic field of modern literature since the late 2000s. The methodology included statistical analysis, structural topic modeling, and qualitative analysis of actual citation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apart from a significant decrease in 2020, the frequency of citations of Foucault’s work has been on an increasing trend. His works were cited in the order of their middle, early, and late periods, with consistent interest in “Discipline and Punish” and a notable increase in citations of “Heterotopia.” Additionally, the difference in topics between papers that cited Foucault and those that did not was examined through the effect of nominal variables. It was found that papers citing Foucault prominently featured topics related to (political) discourse, the Other, and space. Secondly, a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citation patterns was observed. Statistically, women cited Foucault more than men. Within the gender groups, women significantly focused on the topics of the Other/subject and gender, while men were more engaged with language/text, criticism/literary history. In summary, although Foucault’s thoughts on the origins of modern literature are explained from the standpoint of language, interestingly, Korean researchers in modern literature have been more actively adopting his thoughts on power and politics, portraying him as a micro-analyst of power. Concurrently, the political and resistant aspects of Foucault’s discussions on power, particularly evident in the Korean translations and citations of “Heterotopia,” have been further expanded and solidified predominantly by female researchers.

      • KCI등재

        김윤식과 우리 시대, 인용의 인구사회학적 시좌 - 현대문학연구자의 성별 및 세대 별 김윤식 저술 인용 양상 연구(2004-2019) -

        최진석,김병준,허예슬,최주찬,황호덕 국제어문학회 2023 국제어문 Vol.- No.96

        This thesis aims to examine citation practices and the use of Kim Yoonsik’s texts in theses on modern literature. Although Kim Yoonsik has primarily been studied in the context of reviews of his individual works, a review of his academic accomplishments as a Korean scholar is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scholarly histo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By examining the works that reference Kim Yoonsik's writings, this thesis seeks to demonstrate the acceptance of his works in the Korean literary world after the mid-2000s. In doing so, this thesis addresses three key concerns: which of his writings were most frequently referenced, who most frequently cited his writings, and how were his works cited. To accomplish this objective, we created a reference bibliography of 38 journals on modern literature published between 2004 and 2019, which was then evaluated. The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Kim Yoonsik’s works published in the 1970s and 1980s were the most frequently referenced publications. Second, younger scholars tended to reference Kim Yoonsik's writings more frequently, except for those born in the 1960s, who had a particularly low tendency to do so. Third, it was observed that male scholars and those who graduated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were more likely to cite Kim Yoonsik’s works. After the Feminism Reboot in 2015, the number of citations from female researchers dramatically decreased. 이 논문의 목적은 김윤식 저술이 현대문학 분야의 논문에서 어떻게 인용 및 활용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데 있다. 국문학자 김윤식의 학술적 업적에 대한 검토는 현대문학 학술사에서도 중요한 가치를 갖는 작업이지만, 그간의 연구에서는 주로 김윤식의 개별 저작들에 대한 검토를 통해 김윤식에 대해 접근해왔다. 이 논문은 김윤식의 저술을 인용한 논문들에 대한 세 가지 지점을 검토함으로써 김윤식이 2000년대 중반 이후 국문학계에서 어떻게 수용되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어떤 저술이 주로 인용되었는가, 누가 김윤식의 저술을 인용했는가, 그리고 김윤식의 저술은 어떻게 인용되었는가. 이를 위하여 2004년부터 2019년 사이에 간행된 현대문학 유관 학술지 38종의 현대문학 관련 논문들의 참고문헌 서지를 데이터로 구축 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김윤식의 저작 중에서는 한국근대문예비평사연구, 이광수와 그의 시대 등 1970,80년대의 저작이 주로 인용되었다. 둘째, 젊은 세대의 연구자일수록 김윤식의 저술을 더 많이 인용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다만 1960년대생 연구자들만은 예외적으로 김윤식의 저술을 적게 인용하였다. 셋째, 서울대 출신 연구자이거나 남성 연구자일수록 김윤식의 저술을 많이 인용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특히 여성 연구자들의 김윤식 인용 빈도는 2015년 이후 급격하게 하락했다.

      • KCI등재
      • KCI등재

        초소형 가스터빈엔진 열전달 현상의 수치적 및 실험적 연구

        서준혁(Junhyuk Seo),권길성(Kilsung Kwon),최주찬(Ju Chan Choi),백제현(Jehyun Baek) 대한기계학회 2015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39 No.2

        본 연구에서는 MEMS기술을 적용한 2W급 초소형 가스터빈엔진의 개발과 실제 연소 환경에서의 발전 가능성을 해석적, 실험적으로 입증하였다. 초소형 가스터빈엔진은 터보차저, 연소기, 발전기로 이루어져 있다. 터보차저는 각각 직경 10mm와 9mm의 MEMS 공정 압축기와 터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발전코일 또한 MEMS공정으로 설계되었다. 제작된 압축기와 터빈은 정밀 기계 가공된 축과 공기 베어링으로 지지되고 회전하며, 회전축 끝단에 영구자석을 설치하여 발전을 하게 된다. 공기 베어링과 압축기를 통한 냉각 효과를 해석하여 연소기에서 발생한 열을 충분히 차단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이를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In this study, a 2-W micro-gas turbine engine was designed using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technology, and analytical and experimental investigations of its potential under actual combustion conditions were performed. An ultra-micro-gas turbine contains a turbo-charger, combustor, and generator. A compressor, turbine blade, and generator coil were manufactured using MEMS technology. The shaft was supported by a precision computer numerical control machined air bearing, and a permanent magnet was attached to the end of the shaft for generation. An analysis found that the cooling effect of the air bearing and compressor was sufficient to cover the combustor heat, which was verified in an actual experiment.

      • KCI등재

        이인직 소설의 감정론 : 시각화와 계량화를 기반으로

        전성규 ( Jeon Seong Kyu ),허예슬 ( Huh Ye Sel ),최주찬 ( Choi Joo Cha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21 민족문학사연구 Vol.76 No.-

        본 연구는 이인직의 주요소설을 공포감과 슬픔이라는 감정에 주목하여 시각화, 계량화의 방법으로 읽어보고자 하였다. 이인직의 주요소설에서는 감정의 세밀한 정념들이 나타나고 그 정념들의 표현이 구체적으로 드러나 있다. 이에 텍스트를 정성적으로 독해하면서 감정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가시화할 수 있는 양적, 질적 방법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선, 감정 표현이라고 부를 수 있는 내용을 문장이나 문단 수준으로 분리하여 감정 주체-감정촉발원-감정범주 세 가지 항으로 데이터를 구조화하였고 이를 시각화 프로 그램을 활용하여 관계망을 그려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감정의 시각화’로 이름 붙였는 데 공포감과 슬픔의 감정 시각화를 통해 특정 감정을 느끼거나 그 감정을 촉발하는 데 관계가 깊은 인물과 감정의 방향성, 감정을 둘러싼 인물들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기존 연구에서 주로 주목해 왔던 대상보다는 그 주변의 인물들의 행위성에 조금 더 착목할 수 있었다. 공포심을 촉발하는 촉발원들은 주동인물보다는 주동인물의 주변에 위치한 인물들이었는데 이들의 직관적이고 즉흥적인 복수의 행위들은 그들이 모시거나 그들보다 신분제라는 틀에서 상위에 놓인 주동인물들에게 가공할만한 공포를 일으킨다. 이들의 자유로운 행위 가능성을 탈지역성과 신분제의 약한고리라는 관점에서 분석해 보았다. 이인직 작품 안에서 슬픔과 관련된 감정 표현이나 감정의 정도는 다른 감정들보다 우세하다. 그래서 보다 슬픔의 감정에 주목하여 시각화와 계량화의 방법을 통해 작품들을 살펴보았다. 슬픔이라는 감정이 어떤 관계에서 두드러지는지, 어떤 담론들과 배치되면서 정치성을 갖는지 시각화를 통해 드러내 보았고, 눈물이라는 슬픔의 물질적 장치를 기준으로 하여 소설 안에서 ‘우는 장면’을 문장이나 문단 단위로 추출하고 소설 속 해당 표현에 대한 점수화를 통해 슬픔의 강도를 계량하였다. 이인직 소설에서 눈물은 작품마다 다른 특성을 갖는다. 돌출적인 개인의 울음, 집단적이고 동정적인 울음, 반대로 고립되고 동정을 받지 못하는 울음, 문명론과 충돌하는 울음, 공포를 조장하고 공포와 뒤섞이는 울음 등 다양한 울음의 질적 층위를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tried to read Lee In-jik’s major novels in a way of visualization and quantification, paying attention to the emotions of fear and sadness. In Lee In-jik’s major novels, the detailed passions of emotions were specifically revealed. Patterns in which certain emotions such as anger or sadness are transferred to fear or sympathy could be identified. Accordingly, We tried to present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that can effectively visualize emotional data while qualitatively reading texts. First, the content that can be called emotional expression was divided into sentences or paragraphs, and the data was structured into three terms: emotion subject, emotion trigger, and emotion category, and a relationship network was drawn using a visualization program. Through visualization of the emotions of fear and sadness in the text,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s who felt a specific emotion or had a deep relationship to trigger the emotion, the direction of the emo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s surrounding the emotion. The triggers for triggering fear were the people who were located around the protagonist rather than the protagonist. Their intuitive and spontaneous acts of revenge create a formidable fear in the protagonists they serve or who are higher in the hierarchy than them. The possibility of their free actions was analyzed from the point of view of de-regionalism and the weak link of the class system. In Lee In-jik’s work, the expression of emotion or the degree of emotion related to sadness prevails over other emotions. So, paying more attention to the emotion of sadness, We looked at the works through the methods of visualization and quantification. Through visualization, the emotion of sadness standed out in what kind of relationship, and collocated with what kind of discourse. Based on the material device of sadness called tears, ‘crying scenes’ in the novels were extracted in sentences or paragraphs, and the intensity of sadness was measured by scoring the corresponding expressions in the novels. In Lee In-jik’s novels, tear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or each work. Various qualitative layers of crying can be identified, such as protruding individual crying, collective and sympathetic crying, on the contrary, crying isolated and unsympathetic, and crying that conflicts with civilization discour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