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까운다 밧따의 스포따론

        최종찬(Choi, Jong-Chan)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1 남아시아연구 Vol.16 No.3

        까운다 밧따의 스포따론은 스포따의 여덟 유형을 제시하고 그 중에서 문장스포따를 의미를 지닌 불가분의 진정한 스포따로 제시한다. 스포따의 유형은 개별(vyakti), 불가분성(akha??a), 보편(j?ti)의 세 속성과 음소, 단어, 문장의 세 언어단위를 기준으로 분류된다. 스포따의 유형들중에서 스포따의 본질을 보여주는 것은 문장스포따뿐이며 음소스포따와 단어스포따는 문법적인 가상으로서 스포따에 대한 지식의 수단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견해의 근거는 무엇보다 문장만이 의사소통의 과정에서 의미를 전달하는 유일한 단위라는 점에 있다. 까운다 밧따는 스포따의 불가분성 및 보편성과 관련된 여러 학파간의 논박을 제시하고 이를 문법학파의 입장에서 해석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스포따의 핵심 개념에 도달한다. 문장은 불가분의 단일체이다. 문장이 단어들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일련의 단어들은 문장의 의미를 지니는 속성과 동일시될 수 없다. 또한 일련의 음소들이 단어나 문장과 관련된다는 생각은 단어나 문장이 음소들에 의해 드러나는 데서 비롯된 착각일 뿐이다. 단일체에 대한 개념은 그 단일체의 구성성분으로 여겨지는 것들을 그 내용으로 제시할 수 없는 것이다. 무엇보다 일반인들이 경험하는 단어나 문장에 대한 단일한 인지는 스포따론을 성립시키는 근본적인 논증이 된다. 스포따와 관련하여 또 다른 철학적인 문제는 그것이 개별적인 속성을 지니는가 아니면 보편적인 속성을 지니는가 하는 것이다. 스포따는 자신이 드러내는 의미와 자신을 드러내는 음 두요소와 관련된다. 의미는 기본적으로 개별의미와 보편의미로 구별된다. 가령 ‘소’라는 단어는 개별의미 즉, 구체적인 대상을 의미하기도 하고 보편의미 즉, 보편적인 존재를 의미하기도 한다. 보편스포따론자는 단어가 의미기능을 갖는 것은 기본적으로 보편적 의미를 나타내기 때문인 것으로 본다. 의미의 보편 개념은 여러 의미대상에 공통적으로 들어있는 속성에 근거한다. 단어에 대한 인지는 의미뿐만이 아니라 음에 있어서도 여러 발화형태들이 공통적으로 보이는 속성에 근거한다. 우리가 인지하는 단어의 형태는 다양한 발화형태를 포괄하는 하나의 부류이다. 반면에 개별스포따론은 하나의 부류에 묶일 수 있는 상이한 개별단어들을 가정하지 않는다. 개별단어들의 다수성을 인정하지 않는 것이다. 고저 장단 등은 발화된 음의 속성이지 스포따 단어의 속성은 아니다. 개별음소 또는 개별단어는 하나이지만 각 화자에 의해 발화된 음에 들어있는 변이로 인해 다양하게 드러나는 것이다. 보편은 실재적이고 개별은 비실재적인 요소이다. 보편이라는 용어는 궁극적으로 모든 사물의 기저가 되는 브라흐만을 의미한다. This article gives light on the Spho?anir?aya of Kau??a Bha??a. Kau??a Bha??a classifies the spho?a into eight different varieties and assumes that only the sentence-spho?a as a meaningful indivisible entity is the real spho?a. The spho?a is classified based on the three concepts of individual(vyakti), universal(j?ti), and indivisibility(akha??a) together with the three verbal units of phoneme, word, and sentence. It is the sentence-spho?a alone among eight types of the spho?a which represents the essential nature of the spho?a-doctrine. The phoneme-spho?a and word-spho?a are a grammatical fiction which is helpful to realise the ultimate principle. This view is based on the fact that only the sentence is a meaning carrying linguistic unit in the communication. With reference to the indivisibility and the concept of universal, Kau??a Bha??a presents views from various schools and tries to explain the key points of the spho?a-theory from the viewpoints of the grammarians. A sentence is an indivisible unitary entity. The sentences appear to consist of words, but the sequence of words is not to be identified with the meaning-bearing nature of a sentence. The idea that the sentences are cognized as having the sequence of phonemes and words is only the delusion caused by the fact that sentences are revealed by them. The notion of unitariness cannot present the different objects as its content. Above all, the unitary perception of sentence experienced by common people is considered to be the fundamental argument in establishing the spho?a-theory. Further, the philosophical question arises as to whether the spho?a is individual or universal. The spho?a is related to two elements: the meaning revealed by it and the sounds revealing it. The meaning is distinguished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universal. For example, the word gau? ‘cow’ may denote either a concrete object or a universal entity. The j?tispho?a view maintains that the word has the denotative function due to its ability to denote universal meaning. The universal concept of meaning comes from the common properties residing in the various objects. The perception of the word is based on the common properties residing in its sound form as well as its meaning. The word-form we perceive is the class-word which includes various articulate forms. The vyaktispho?a view maintains that there are no different individual words that might be grouped into a single class. It denies the plurality of individual words. The loudness, length, lowness and so on are the properties of the articulate sound but not of the spho?a word. The individual phoneme or individual word is one, but it appears various due to the variation in the articulated sound of different individuals. That which is the real is the universal, while the unreal is the individual. The term j?ti ultimately refers to the Brahman which is the underlying essentiality of all object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바르뜨리하리의 구나사뭇데샤

        최종찬(Choi, Jong-Chan)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1 남아시아연구 Vol.17 No.2

        본고는 바르뜨리하리(Bhart?hari)의 구나사뭇데샤(gu?a-samudde?a)에서 제시된 까리까(k?rik?)들의 분석을 통해 그의 성질(性質)에 대한 언어철학적 개념을 규명한다. 구나사뭇데샤는 바르뜨리하리의 『와꺄빠디야(V?kyapad?ya)』3권 5장의 제목으로서 구나(gu?a)는 ‘성질’ 을 사뭇데샤(samudde?a)는 ‘론(論)’을 의미한다. Ⅱ장에서는 바르뜨리하리의 성질론의 배경이 되는 승론철학과 문법학에서 사유된 성질의 개념을 빠딴잘리의 견해를 중심으로 제시한다. Ⅲ 장은 구나사뭇데샤에서 제시된 성질과 실체와의 관계를 밝히고 성질이 언어와 관련하여 갖는 기능들을 분석한다. 바르뜨리하리의 성질론은 승론철학의 개념을 바탕으로 뱌디, 까땨야나, 빠딴잘리 등 선대의 문법가들이 언어 표현과 관련하여 사유해온 성질의 개념을 정리하여 발전시킨 모습을 보인다. 바르뜨리하리는 성질과 관련된 빠니니의 수뜨라들과 그에 대한 주석들, 그리고 특히 빠딴잘리의 『마하바샤』를 주요 자료로 활용하였다. 바르뜨리하리는 성질을 실체와의 밀접한 관계 속에서 언어표현과 관련하여 정의한다. 성질은 실체에 들어있는 것이며 이 때문에 성질은 그 기체를 다른 대상과 구별짓는 기능을 한다. 성질은 실체의 영역을 한정함으로써 그 실체를 다른 실체와 구별하여 제시하고 이로써 의미의 영역에 들어가는 것이다. 성질이 실체에 들어있지 않은 것으로, 즉 독립적인 대상으로 표현된 경우에는 더 이상 성질이 아니다. 이처럼 성질은 실체를 한정하는 경우에만 성질로 머물며 따라서 항상 다른 대상에 의존하는 특성을 보인다. 성질의 또 다른 특성은 대상에 들어있는 성질의 정도(程度)를 표현한다는 점이다. 대상은 성질을 통해 언어의 범주에 들어오게 되며 바로 그 성질을 통해 성질의 정도도 표현된다. 그리고 정도의 차이는 접사에 의해 표현된다. 단어가 성질을 의존적인 것이 아닌 주된 대상으로 표현하는 경우에 성질의 정도는 또 다른 성질을 통해서만 표현될 수 있다. 실체는 본질적으로 정도와 무관하지만 성질의 정도차이를 통해 실체가 정도차이를 갖는 것으로 표현된다. This article is aimed at giving light on Bhart?hari’s concept of gu?a ‘quality’ through the analysis of ‘Gu?a-samudde?a’, the title of the 5th section of V?kyapad?ya Ⅲ. The 2nd chapter of this article tries to present the concepts of quality developed by the Vai?e?ika school and Patanjali. The 3rd chapter of this article, by analysing the k?rik?s of ‘Gu?a-samudde?a’, defines the concept of quality in terms of substance and deals with the functions quality performs in linguistic expressions. The concept of quality is said to be originally developed by the Vai?e?ika. It was also dealt with from the grammatical viewpoints by the Sanskrit grammarians such as Vy??i, K?ty?yana, Patanjali, etc. The notions and viewpoints of those philosophers and grammarians influenced on Bhart?hari’s ideas about quality. The commentaries on the s?tras of P??ini regarding the terms gu?a and gu?avacana and especially the Mah?bh??ya on P 5.1.119 are the main basis of Bhart?hari’s definition of quality. Bhart?hari defines quality in terms of substance which is intimately related with the former. Quality rests on substance and that is why it distinguishes its substratum from other substrata. It distinguishes its substratum by qualifying the domain of the latter, through which substances can be expressed in words. When a word presents a quality as something separate and independent, it cannot serve to determine an object. Thus, it does not become a quality any more. Only a distinguishing quality can be considered a quality and that is why it has to be subordinate to an object. Another characteristic of quality is that difference of degree in an object can be expressed through it. That quality through which an object comes within the range of words is the very one through which difference of degree is also expressed. And difference of degree is expressed by the suffix. When a word presents a quality as something independent, difference of degree in it can be expressed only through another quality. An object, in itself, does not admit of any degree, but it acquires it through such a difference in its qual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