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힌디어의 여격

        최종찬(Jong Chan Choi)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9 남아시아연구 Vol.24 No.4

        본고의 목적은 힌디어에서 여격의 논항이 의미상으로 어떤 함의를 갖는지 그리고 그 함의가 어떻게 통사적으로 표현되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빠니니(Pāṇini) 문법 및 관련 주석서에서 제시된 여격에 관한 규칙과 해설을 바탕으로 힌디어 여격의 특성을 알아본다. 빠니니 문법에서 여격은 행동주가 목적어인 직접적인 대상을 통해 다가가고자 하는 목표점으로 정의된다. 힌디어에서 목표점은 수혜자와 공유자 그리고 동사행동의 목표로 구분된다. 목적어가 물건이나 선물 등과 같은 물리적인 것일 경우 여격은 양도받는 자의 입장에 서게 되며 여격후치사 ko로 표현된다. 이와는 달리 목적어가 감정이나 축사 등과 같은 추상적인 것일 경우에는 여격은 양도 받는 입장이 아니라 행동주와 공유하는 입장에 서게 되며 도구격후치사 se로 표현된다. 그리고 특정한 행동이 동사행위의 목적으로 의도되는 경우에는 여격후치사 ko 또는 복합후치사 ke lie ‘위하여’로 표현된다. 다른 한편으로 여격주어는 처소적 의미로 해석된다. 감정이나 심리 등과 같은 경험의 대상들은 타자로부터 받는 것이라기보다는 내재된 것이 유발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처럼 여격주어는 누구로부터 무엇을 받는 자이기 이전에 감정이나 심리가 내재된 처소로서 존재하는 것이다. 소유, 획득, 의무, 필요 등을 표현하는 여격주어구문에서도 소유 등의 대상은 타자에 의해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자체적으로 소유 등의 상태에 있거나 또는 있게 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리고 소유나 획득, 필요 등의 상태나 상태변화를 보여주는 개념구조에서 여격주어는 처소로 나타난다. 결론적으로 힌디어의 여격은 목표점이면서 처소의 함의를 갖는다. 여격의 일차적 함의는 수혜자로서의 목표점이었지만 의미가 확장되면서 공유자를 포함하고 더 나아가서 처소에까지 도달한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This article is aimed to clarify what semantic implications arguments of the Dative case in Hindi have and how the implications are represented syntactically. It attempts to analy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ndi Dative by referring to the rules and comments on the Sanskrit Dative case presented in the tradition of Pāṇini grammar. In Pāṇini grammar, the Dative is defined as the goal that an agent intends to approach through an object. In Hindi, the goal is seen in three categories: beneficiary, sharer, and the goal of verb action. If the object to be given is a physical thing, such as an object or a gift, the Dative argument, as an recipient, appears with the Dative postposition ko. On the other hand, if the object to be given is an abstract such as emotion or celebration, the Dative argument is not in a position to receive it but in a position to share it with the agent, and appears with the Instrumental postposition se. And when a particular action becomes the goal of verb action, it or its object appears with the postposition ko or the compound postposition ke lie ‘for’. On the other hand, the subject of the Dative Subject Construction(DSC) can be interpreted in terms of the concept of locus. The objects of experience such as emotion and psychology are considered to arise within an experiencer rather than to be given by the others. Thus the Dative subject is a place where emotion and psychology exist. Even in the DSCs that express possession, acquisition, duty, need, etc., the objects of possession etc. can be said not to be things given by the others but to be things being or becoming to be within the arguments of the Dative subject. And in the Conceptual Structure suggested by Jackendoff(1990), which may present meanings such as possession, acquisition, necessity, etc. conceptually, the Dative subject appears as a locus. In conclusion, the Hindi Dative has the implication of locus as well as goal. It can be said that the primary implication of the Dative was the goal as a beneficiary, but as the meaning expands, it became to include the concept of sharer and locus.

      • KCI등재

        바르뜨리하리의 자띠사뭇데샤

        최종찬(Choi, Jong-Chan)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2 남아시아연구 Vol.18 No.1

        본고는 바르뜨리하리의 ‘자띠사뭇데샤’(보편론)의 내용을 분석하여 제시한다. ‘자띠사뭇데샤’는 『와꺄빠디야』3권에서 다루어지는 단어의 의미와 관련된 주제들의 배경이 되는 도입부분으로서 언어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내용과 철학적 견해들을 내용으로 하는 부분들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본고의 Ⅱ장에서는 그 내용을 요약하여 제시하고, Ⅲ장에서는 단어와 의미의 관계에서 적용되는 보편의 개념을 분석한다. Ⅳ장에서는 보편을 문법학과 철학에서 사유된 개체, 궁극적 실재, 유사, 집합 등의 개념과 비교함으로써 그 특성을 규명하고 나아가 보편의 실재성과 영역에 대한 철학적 견해들을 인지와 관련하여 분석한다. 바르뜨리하리는 그의 보편론을 위해 기본적으로 문법학적 측면에서 단어의 의미를 다루었다. 또한 그는 보편에 대한 여러 철학적 견해를 수용하면서 보편의 개념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언어와 관련된 그의 기술에 따르면, 모든 단어는 보편을 의미한다. 단어를 이루는 어근이나 어간 그리고 접사는 모두 보편을 표현하며 이들은 상호 연관되어 있다. 단어가 보편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보편을 한정하는 요인이 필요하며 그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 단어보편이다. 단어는 단어보편과 의미보편의 겹쳐짐을 통해 보편을 표현하는 것이다. 그러나 단어보편의 개념은 보편의 보편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승론철학의 제약을 받는다. 이 문제와 관련하여 바르뜨리하리는 단어의 의미는 사물의 실상이 아니라 단어의 실제 기능에 따른다는 문법학의 견해를 제시한다. 보편을 언어학적 시각에서 정의할 때 언어관습은 다른 모든 기준을 우선하는 것이다. 한편 승론철학은 모든 단어가 보편을 의미할 수 있는 것은 대상들이 공통된 특성을 지니기 때문인 것으로 보았다. 나아가 유식론자들은 보편이 외적 대상들이 지닌 공통된 속성보다는 마음에 새겨지는 공통된 표상에 근거한다고 보았다. 바르뜨리하리는 이와 같은 견해들을 제시하면서 단어의미와 관련하여 보편을 정의할 때 인지적 측면의 중요성을 또한 언급하였다. 보편은 개별과 비교해볼 때 영속적인 개념으로 개체의 원인이 되며 개체는 보편이 머무르는 기체가 된다. 불이론적 입장에서 보면 보편과 개별은 상대적인 것으로서 실재적인 것이 보편이라면 상대적으로 비실재적인 것은 개별이 된다. 단어들이 의미하는 보편은 가장 높은 단계의 보편인 브라흐만의 비실재적 현현 또는 구분일 뿐이다. 모든 단어들은 직접적으로 보편을 나타내며 간접적으로 궁극적 실재인 브라흐만을 나타내는 것이다. 유사와 집합은 보편과 비슷한 특성을 보이는 개념들이다. 이 셋은 인지의 다양성과 동일성을 기준으로 서로 연관되는 개념들이다. 다양함과 동일함이 함께 인지되는 것이 집합이고, 그 둘이 순차적으로 이해되는 것이 유사이며, 동일함만 인지되는 것이 보편이다. 보편은 또한 유사나 집합과는 달리 개체의 속성이라기보다는 개체와는 다른 별개의 존재로 상정된다. 끝으로 바르뜨리하리는 인지와 관련된 두 견해를 제시한다. 우선 불교학파는 보편을 일종의 오류로 본다. 모든 인지는 서로 다르며 인지의 동일성 같은 것은 없다. 하지만 습기(習氣)로 인해 인지들은 동일한 것처럼 보이고 이를 바탕으로 보편의 개념이 생긴다. 한편 연관론자들에 따르면 인지는 인지의 대상이 되지 않으며 따라서 인지에는 보편이 존재하지 않는다. This paper aims to analyse Bhat?hari’s theory of universal. In order to accomplish the theory of universal, he deals with the meaning of words from the linguistic viewpoints. He also tries to define the concept of universal by introducing various philosophical views. According to Bhat?hari’s theory of universal, all words, including stems, roots and suffixes, denote universals. The stem or the root denotes the universal of a thing or an action and the suffix denotes the universal of number etc. and the two are correlated. For a word to denote a universal, a limiting factor of the universal is required. A word-universal was stated as the limiting factor which serves as the occasioning ground for the denotation of a universal. A word-universal, being superimposed on a meaning-universal, helps a word denote a universal. However the concept of word-universal goes against the Vai?e?ika ontology such that a universal has no further universal. Bhart.hari removes the Vai?e?ika principle by introducing the viewpoint of the grammarians that all words denote a universal without resorting to the concept of superimposition(adhy?sa). According to the Vai?e?ikas, all words denote a universal on the basis of the common characteristic of objects. On the other hand, Vijn?nav?dins believes that the universal is not so much a property of the object but rather of the cognition. Thus, Bhat?hari considers verbal convention and cognitional aspect an important criterion, based on which universal is defined in terms of word-meaning. The universal which is eternal helps the effect. It prompts the causes of the individual and is manifested in the individual which is produced. From the viewpoint of the Advaita, universal and individual are relative terms. What is real is called the universal and what is unreal is called the individual. The universals expressed by words are the unreal manifestations or divisions of Brahman, the highest kind of universal. All words express directly the universal and indirectly Brahman, the absolute reality. The concept of universal becomes clear when it is compared with that of similarity and collection which look like it but are different from it. They are allied things in terms of diversity and unity. In the cognition of collection, unity figures mixed up with diversity. In the cognition of similarity, first difference figures and then resemblance. In the cognition of universal, only identity figures. The universal is postulated as a separate entity while similarity and collection are not over and above the individuals. According to the Bauddhas, the cognition of universal is an error. All cognitions a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Due to an eternal ‘mpressions remaining in the mind’(v?san?), however, cognitions appear to be identical and consequently the concept of universal arises in cognition. According to the Sa?sargav?dins, cognition never becomes an object and therefore there is no universal in the cognitions.

      • KCI등재

        인도 소셜미디어 사이트에서의 참여활동 분석에 관한 연구

        최종찬(Choi, Jong-Chan),김윤호(Kim, Yun-Ho),이명무(Lee, Myung-Moo)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5 남아시아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사이버 문화가 포털 중심에서 벗어나 소셜미디어로 확산되는 환경에서 인도인들의 SNS 활동 양상을 기업이 운영하는 페이스북 페이지에 나타난 참여활동을 통해 파악하였다. 페이스북 페이지는 인도의 소셜미디어 사이트 중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현재 인도에서 627개 사이트가 운영되고 있다. 그 중에서 기업에서 주로 활용하고 있는 브랜드,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스포츠 등 4분야를 분석범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각 분야에서 상위 3개 페이지를 선정하여 총 12개 페이지를 대상으로 페이지별 이용실태, 참여유형(댓글, 좋아요, 공유), 게시유형(상태, 동영상, 사진, 링크, 기타), 그리고 상호작용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얻은 주요 특징을 보면, 우선 분석대상이 되는 4분야 중에서 가장 팬을 많이 확보한 페이지는 브랜드 분야에 속한다. 이는 브랜드 분야의 페이지들이 타 분야의 페이지에 비해 압도적 이미지와 홍보라는 장점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브랜드에 이어 엔터테인먼트, 스포츠, 미디어 순으로 팬을 확보하고 있다. 브랜드는 다수의 팬에 비해 게시 활동, 그리고 팬과의 상호작용 측면에서는 가장 저조한 성적을 보여준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미디어는 팬을 가장 적게 확보하고 있지만 실제 콘텐츠 업로드, 그리고 팬과의 상호작용 측면에서는 압도적으로 수치가 높았다. 이러한 현상은 해당 업체의 운영전략 외에 미디어라는 분야의 본래적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위 조사대상 12개의 페이지 중에서 외국기업에 해당하는 삼성모바일 인디아와 노키아 인디아의 페이지는 둘 다 브랜드 분야의 페이지로서 팬 수, 게시 수, 상호작용 등 모든 면에서 거의 비슷한 모습을 보여주며, 또다른 외국기업인 내셔널 지오그래픽 채널 인디아가 운영하는 미디어 분야의 페이지와 대조를 이룬다. 이러한 현상은 국내 기업들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현지화를 추진할 때 브랜드 분야의 고유한 강점을 바탕으로 하고, 본 연구에서 조사한 상호작용에 대한 분석을 추가하여 페이지 운영전략을 구사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urrent patterns of Indian users’ SNS activities, focusing on interactions found on major social media sites, particularly the Facebook pages of Indian businesses. Indian cyber culture has been proliferating during the past decade, with its emphasis shifting from portals towards social media sites. Among these sites, Facebook is one of the most popular sites in India, with 627 businesses currently running their own pages. We selected 12 business pages and sorted them into four categories: Company Brands, Media, Entertainment, and Sport. For each category,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types of user interactions (“comment”, “like”, “share”), the types of posts (“status updates”, “videos”, “photos”, “links”, and other), and the rate of interaction for each page. Considering the number of fans, the pages of Company Brands had the largest number among the four categories. This is due to their public visibility and publicity, compared to pages of other categories. Entertainment, Sport, and Media followed in the number of fans. However, while the Company Brand pages have the largest number of fans, they displayed the least number of activities in posting and interactions. On the other hand, Media pages, which have the least number of fans, were most actively engaged with their viewers. This phenomenon reflects the inherent characteristic of Media pages as well as the management strategies of the relevant companies. The comparisons of Brand pages of foreign companies in India (for example, Samsung Mobile India and Nokia India) displayed several similarities, such as the number of fans and posting, as well as the interactions. However, it clearly differed from the Media page of National Geographic Channel India, another foreign company. This indicates that it would be beneficial for Korean companies aspiring localization in India through SNS to adapt the merits of Media pages while creating a strong online presence through their Company Brand pages.

      • KCI등재

        인도 언어학의 전통

        최종찬(Choi, Jong-Chan)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09 남아시아연구 Vol.15 No.1

        인도의 언어학은 산스끄리뜨 문법과 언어철학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산스끄리뜨 문법 전통은 빠니니(P??ini)의 문법과 그에 관한 주석이 기본 줄기를 이루며, 다른 한편으로 실용적 문법들이 발전하였다. 또한 여러 철학가와 문법가들은 언어의 본질, 그리고 언어의 관점에서 의사소통, 의미, 인지 등에 대하여 사유함으로써 언어철학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Ⅱ장은 언어학 고전을 그 성격에 따라 수뜨라(s?tra), 브릿띠(v?tti) , 와릇띠까(v?rttika), 바샤(bh??ya), 쁘라끄리야(prakriy?), 씻단따(siddh?nta) 등으로 분류하고 설명한다. Ⅲ장은 산스끄리뜨 언어학의 시대를 빠니니 이전의 시대, 빠니니를 대표로 하는 뜨리무니(Trimuni) 시대, 빠니니의 문법에 대한 주석이 발달한 바캬(Vy?khy?) 시대, 그리고 실용적이고 간편한 문법을 추구한 쁘라끄리야(Prakriy?) 시대로 구분한 후 각 시대의 주요 고전과 특성을 소개한다. Ⅳ장은 빠니니의 문법 전통에 속하지 않는 까딴뜨라(K?lanlra)문법을 비롯하여 짠드라문법 (C?ndra), 샤까따야나문법(??ka??yana), 자이넨드라문법(Jainendra), 씻다하이마샤브다누샤사나 문법(Siddhahaima?abd?nu??sana), 사라스와따(S?rasvala), 그리고 묵다보다(Mugdhabodha) 문법 등을 소개한다. Ⅴ장은 언어철학과 관련하여 고대의 전통, 그리고 바르뜨리하리(Bhart?hari)의 형이상학과 의미론 등을 소개하고 언어의 본질에 관한 독특한 개념인 스포따의 발달과정을 다룬다. 그리고 6장에서 인도의 문법에 관한 신화적 기원을 소개한다. This article is aimed to present a tradition of Indian linguistics. It focuses on Sanskrit grammar and philosophy of language which are two main streams of Indian linguistics. Sanskrit grammatical tradition is represented by P??ini’s grammar and its following commentaries. Besides, a number of practical grammars also nourished. In addition, many philosophers and grammarians were interested in the nature of language and thought over communication, meaning, cognition and so forth in terms of language, which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philosophy of language. Section Ⅱ introduces types of the grammatical literature such as s?tra, v?tti, v?rttika, bh??ya, prakriy?, siddh?nta. Section Ⅲ divides the history of Sanskrit grammar into 4 periods such as pro-P??inian period, Trimuni period, Vy?khy? period, and Prakriy? period and explains main chacteristics of each period. Sanskrit grammatical tradition began in late Vedic age and culminated in the A???dhy?y? of P??ini(5th century B.C.). After him, K?ty?yana commented on P??inian s?tras and Patanjali wrote the Mah?bh??ya on the A???dhy?y? and V?rttikas. These three ancient Sanskrit grammarians are called Trimuni. In Vy?khy? period, many commentaries were issued to interpret the meaning of s?tras. Jay?ditya and Vamana?s K?slk?v?tti is regarded as the third most important grammatical text after the A???dhy?y? and the Mah?bh??ya. In Prakriy? period, the focus of grammatical study changed from interpretation to application. Furthermore. study of grammar reached a stage where an easier means of learning were required. The Siddh?nteksumud? of Bha??oji D?k?ita (16th century) is reputed the text which represents the peak of the Pr?kriya tradition. Section Ⅳ talks about non-P??inian grammatical tradition which includes K?tantra grammar, C?ndra grammar, ??ka??yana grammar, Jainendra grammar, Siddhahaima?abd?nu??sana grammar, S?rasvata grammar, and so on. Section Ⅴ introduces a brief history of philosophy of language. It talks about Bhart?hari’s metaphysics and theory of meaning. It also treats of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spho?a. And finally Section Ⅵ introduces the mythological origin of Sanskrit grammar.

      • KCI등재

        까운다 밧따의 스포따론

        최종찬(Choi, Jong-Chan)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1 남아시아연구 Vol.16 No.3

        까운다 밧따의 스포따론은 스포따의 여덟 유형을 제시하고 그 중에서 문장스포따를 의미를 지닌 불가분의 진정한 스포따로 제시한다. 스포따의 유형은 개별(vyakti), 불가분성(akha??a), 보편(j?ti)의 세 속성과 음소, 단어, 문장의 세 언어단위를 기준으로 분류된다. 스포따의 유형들중에서 스포따의 본질을 보여주는 것은 문장스포따뿐이며 음소스포따와 단어스포따는 문법적인 가상으로서 스포따에 대한 지식의 수단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견해의 근거는 무엇보다 문장만이 의사소통의 과정에서 의미를 전달하는 유일한 단위라는 점에 있다. 까운다 밧따는 스포따의 불가분성 및 보편성과 관련된 여러 학파간의 논박을 제시하고 이를 문법학파의 입장에서 해석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스포따의 핵심 개념에 도달한다. 문장은 불가분의 단일체이다. 문장이 단어들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일련의 단어들은 문장의 의미를 지니는 속성과 동일시될 수 없다. 또한 일련의 음소들이 단어나 문장과 관련된다는 생각은 단어나 문장이 음소들에 의해 드러나는 데서 비롯된 착각일 뿐이다. 단일체에 대한 개념은 그 단일체의 구성성분으로 여겨지는 것들을 그 내용으로 제시할 수 없는 것이다. 무엇보다 일반인들이 경험하는 단어나 문장에 대한 단일한 인지는 스포따론을 성립시키는 근본적인 논증이 된다. 스포따와 관련하여 또 다른 철학적인 문제는 그것이 개별적인 속성을 지니는가 아니면 보편적인 속성을 지니는가 하는 것이다. 스포따는 자신이 드러내는 의미와 자신을 드러내는 음 두요소와 관련된다. 의미는 기본적으로 개별의미와 보편의미로 구별된다. 가령 ‘소’라는 단어는 개별의미 즉, 구체적인 대상을 의미하기도 하고 보편의미 즉, 보편적인 존재를 의미하기도 한다. 보편스포따론자는 단어가 의미기능을 갖는 것은 기본적으로 보편적 의미를 나타내기 때문인 것으로 본다. 의미의 보편 개념은 여러 의미대상에 공통적으로 들어있는 속성에 근거한다. 단어에 대한 인지는 의미뿐만이 아니라 음에 있어서도 여러 발화형태들이 공통적으로 보이는 속성에 근거한다. 우리가 인지하는 단어의 형태는 다양한 발화형태를 포괄하는 하나의 부류이다. 반면에 개별스포따론은 하나의 부류에 묶일 수 있는 상이한 개별단어들을 가정하지 않는다. 개별단어들의 다수성을 인정하지 않는 것이다. 고저 장단 등은 발화된 음의 속성이지 스포따 단어의 속성은 아니다. 개별음소 또는 개별단어는 하나이지만 각 화자에 의해 발화된 음에 들어있는 변이로 인해 다양하게 드러나는 것이다. 보편은 실재적이고 개별은 비실재적인 요소이다. 보편이라는 용어는 궁극적으로 모든 사물의 기저가 되는 브라흐만을 의미한다. This article gives light on the Spho?anir?aya of Kau??a Bha??a. Kau??a Bha??a classifies the spho?a into eight different varieties and assumes that only the sentence-spho?a as a meaningful indivisible entity is the real spho?a. The spho?a is classified based on the three concepts of individual(vyakti), universal(j?ti), and indivisibility(akha??a) together with the three verbal units of phoneme, word, and sentence. It is the sentence-spho?a alone among eight types of the spho?a which represents the essential nature of the spho?a-doctrine. The phoneme-spho?a and word-spho?a are a grammatical fiction which is helpful to realise the ultimate principle. This view is based on the fact that only the sentence is a meaning carrying linguistic unit in the communication. With reference to the indivisibility and the concept of universal, Kau??a Bha??a presents views from various schools and tries to explain the key points of the spho?a-theory from the viewpoints of the grammarians. A sentence is an indivisible unitary entity. The sentences appear to consist of words, but the sequence of words is not to be identified with the meaning-bearing nature of a sentence. The idea that the sentences are cognized as having the sequence of phonemes and words is only the delusion caused by the fact that sentences are revealed by them. The notion of unitariness cannot present the different objects as its content. Above all, the unitary perception of sentence experienced by common people is considered to be the fundamental argument in establishing the spho?a-theory. Further, the philosophical question arises as to whether the spho?a is individual or universal. The spho?a is related to two elements: the meaning revealed by it and the sounds revealing it. The meaning is distinguished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universal. For example, the word gau? ‘cow’ may denote either a concrete object or a universal entity. The j?tispho?a view maintains that the word has the denotative function due to its ability to denote universal meaning. The universal concept of meaning comes from the common properties residing in the various objects. The perception of the word is based on the common properties residing in its sound form as well as its meaning. The word-form we perceive is the class-word which includes various articulate forms. The vyaktispho?a view maintains that there are no different individual words that might be grouped into a single class. It denies the plurality of individual words. The loudness, length, lowness and so on are the properties of the articulate sound but not of the spho?a word. The individual phoneme or individual word is one, but it appears various due to the variation in the articulated sound of different individuals. That which is the real is the universal, while the unreal is the individual. The term j?ti ultimately refers to the Brahman which is the underlying essentiality of all objects.

      • KCI등재
      • KCI등재

        바르뜨리하리의 구나사뭇데샤

        최종찬(Choi, Jong-Chan)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1 남아시아연구 Vol.17 No.2

        본고는 바르뜨리하리(Bhart?hari)의 구나사뭇데샤(gu?a-samudde?a)에서 제시된 까리까(k?rik?)들의 분석을 통해 그의 성질(性質)에 대한 언어철학적 개념을 규명한다. 구나사뭇데샤는 바르뜨리하리의 『와꺄빠디야(V?kyapad?ya)』3권 5장의 제목으로서 구나(gu?a)는 ‘성질’ 을 사뭇데샤(samudde?a)는 ‘론(論)’을 의미한다. Ⅱ장에서는 바르뜨리하리의 성질론의 배경이 되는 승론철학과 문법학에서 사유된 성질의 개념을 빠딴잘리의 견해를 중심으로 제시한다. Ⅲ 장은 구나사뭇데샤에서 제시된 성질과 실체와의 관계를 밝히고 성질이 언어와 관련하여 갖는 기능들을 분석한다. 바르뜨리하리의 성질론은 승론철학의 개념을 바탕으로 뱌디, 까땨야나, 빠딴잘리 등 선대의 문법가들이 언어 표현과 관련하여 사유해온 성질의 개념을 정리하여 발전시킨 모습을 보인다. 바르뜨리하리는 성질과 관련된 빠니니의 수뜨라들과 그에 대한 주석들, 그리고 특히 빠딴잘리의 『마하바샤』를 주요 자료로 활용하였다. 바르뜨리하리는 성질을 실체와의 밀접한 관계 속에서 언어표현과 관련하여 정의한다. 성질은 실체에 들어있는 것이며 이 때문에 성질은 그 기체를 다른 대상과 구별짓는 기능을 한다. 성질은 실체의 영역을 한정함으로써 그 실체를 다른 실체와 구별하여 제시하고 이로써 의미의 영역에 들어가는 것이다. 성질이 실체에 들어있지 않은 것으로, 즉 독립적인 대상으로 표현된 경우에는 더 이상 성질이 아니다. 이처럼 성질은 실체를 한정하는 경우에만 성질로 머물며 따라서 항상 다른 대상에 의존하는 특성을 보인다. 성질의 또 다른 특성은 대상에 들어있는 성질의 정도(程度)를 표현한다는 점이다. 대상은 성질을 통해 언어의 범주에 들어오게 되며 바로 그 성질을 통해 성질의 정도도 표현된다. 그리고 정도의 차이는 접사에 의해 표현된다. 단어가 성질을 의존적인 것이 아닌 주된 대상으로 표현하는 경우에 성질의 정도는 또 다른 성질을 통해서만 표현될 수 있다. 실체는 본질적으로 정도와 무관하지만 성질의 정도차이를 통해 실체가 정도차이를 갖는 것으로 표현된다. This article is aimed at giving light on Bhart?hari’s concept of gu?a ‘quality’ through the analysis of ‘Gu?a-samudde?a’, the title of the 5th section of V?kyapad?ya Ⅲ. The 2nd chapter of this article tries to present the concepts of quality developed by the Vai?e?ika school and Patanjali. The 3rd chapter of this article, by analysing the k?rik?s of ‘Gu?a-samudde?a’, defines the concept of quality in terms of substance and deals with the functions quality performs in linguistic expressions. The concept of quality is said to be originally developed by the Vai?e?ika. It was also dealt with from the grammatical viewpoints by the Sanskrit grammarians such as Vy??i, K?ty?yana, Patanjali, etc. The notions and viewpoints of those philosophers and grammarians influenced on Bhart?hari’s ideas about quality. The commentaries on the s?tras of P??ini regarding the terms gu?a and gu?avacana and especially the Mah?bh??ya on P 5.1.119 are the main basis of Bhart?hari’s definition of quality. Bhart?hari defines quality in terms of substance which is intimately related with the former. Quality rests on substance and that is why it distinguishes its substratum from other substrata. It distinguishes its substratum by qualifying the domain of the latter, through which substances can be expressed in words. When a word presents a quality as something separate and independent, it cannot serve to determine an object. Thus, it does not become a quality any more. Only a distinguishing quality can be considered a quality and that is why it has to be subordinate to an object. Another characteristic of quality is that difference of degree in an object can be expressed through it. That quality through which an object comes within the range of words is the very one through which difference of degree is also expressed. And difference of degree is expressed by the suffix. When a word presents a quality as something independent, difference of degree in it can be expressed only through another quality. An object, in itself, does not admit of any degree, but it acquires it through such a difference in its quality.

      • KCI등재

        논문(論文) : 학생의 교육기본권과 부모의 교육권: 협력과 상충

        최종찬 ( Jong Chan Choi ) 대한교육법학회 2015 敎育 法學 硏究 Vol.27 No.2

        부모의 교육권은 다른 기본권과는 달리, 기본권의 주체인 부모의 자기결정권이라는 의미에서 보장되는 자유가 아니라, 자녀의 보호와 인격발현을 위하여 부여되는 기본권이기 때문에 부모의 교육권 행사는 오직 자녀의 행복과 복리를 위하여 행사되어야 하며 부모의 교육권과 민법상 친권과의 관계를 검토하여 부모의 교육권과 민법상 친권은 모두 자녀의 이익을 가장 잘 보호할 수 있도록 행사되어야 한다. 학생의 교육기본권과 부모의 교육권은 서로 협력하여 교육의 목적을 달성 할 수도 있고 두 기본권이 충돌하여 법적 갈등을 발생시킬 수 있음을 검토 하였고 부모의 교육권은 학생의 교육권을 보장하고 자녀의 행복이란 관점에서 인정된 권리이기 때문에 이 문제를 기본권 상충 이론으로 해결하는 것보다 두 기본권간의 특수성을 파악하고 사안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판단한다면 기본권 상충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두 기본권의 상충 사례들은 어떠한 경우라도 학생의 이익 또는 복리를 기준으로 판단하여 법적, 합리적으로 해결 하여야 하지만 일률적으로 학생의 실익의 측면에서 해결 할 것은 아니고 구체적 사례의 특수성을 파악하고 개별 사안마다 이익형량과 특정 교육권을 제한하는 것 중 학생의 실익을 더 크게 보장할 수 있는 방법으로 교육권 상충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Unlike other basic rights, education of parents is not the freedoms guaranteed in the sense of right of self-determination of parents, the subjects of basic rights, but a granted fundamental right for protection of children and manifest personality. So the Exercise of parental education should be exercised only for happiness and well-being of children. Reviewing the relation Parents `` educational rights the relationship with parental rights under civil law, parental education and parental rights under civil law should be exercised so that their child``s interest can be shielded best . We reviewed that fundamental rights education of students and education of parents can achieve the purpose of education in their cooperation and basic rights can cause legal conflicts by a collision. Education of parents ensures fundamental rights education of students and it is the rights recognized in terms of their children``s happiness. We can handle the problem with conflict theory in basic rights if we consider specificity and distinctiveness between two basic rights rather than solving the problem with conflict theory in basic rights, Also, the conflict cases of two basic rights must be resolved legally and rationally based on the students`` interests or welfare in any case. But conflict problems in Education rights must be solved not on the side of practical use of students in the same right but by way to ensure largely the practical use of student among ‘interesssenabwagung’ every individual case and restriction on specific education rights and they need to be figured out the distinctiveness in specific cases.

      • KCI등재

        인도 문화예술 단체·기관의 소셜 미디어 활용사례 분석

        최종찬(Choi, Jong-Chan),이명무(Lee, Myung-Moo)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3 남아시아연구 Vol.19 No.1

        IT기술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보급·확산에 맞추어 최근 전 세계적으로 부각되고 있는 문화산업은 각국의 정부와 기업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문화산업을 둘러싼 국가 간의 경쟁도 한층 가열되는 환경에서 IT서비스 산업 강국인 인도는 또한 문화산업 및 문화콘텐츠 분야에서도 괄목할 만한 수준으로 부상하고 있다. 인도의 문화예술 단체·기관들은 최근 모바일이나 소셜 미디어 등에 따른 급격한 디지털 변화 환경에 맞추어 소셜 미디어 전략을 마련하고 실행하는 등 변화의 노력을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도 문화예술 단체·기관의 소셜 미디어 활용 사례를 분석하기 위해 인도의 예술 단체와 박물관/미술관의 소셜 미디어 활용에 대한 기본정보를 인도의 대표적인 SNS를 통해 파악하였다. 파악된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소셜 미디어에서 활동이 많은 단체를 연구의 표본으로 선정하였으며, 이들 표본을 대상으로 소셜 미디어의 활용을 소셜 미디어 매체별로 분석하여 해당 기관의 소셜 미디어 운영 전략 및 사용상의 특징을 기술하였다. In the last decade, the internet has evolved from a information provider into a more social and dynamic medium, and social media has highly influenced our economy, education and culture. Due to growing popularity of social media platforms such as facebook and youtube, Indian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have been able to catch up with the rapidly changing digital landscape. As social media has developed to reach consumers globally through the internet. a considerable number of Indian people are also becoming active prosumers using social media channels in various areas of social and cultural communication. In this context, this study is aimed at presenting what the social media can mean for the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in India. It describes the present situation of social media in India. It also analyses in which way the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in India put social media to practical use. Regarding it, it finds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trend by focusing on ten major organizations. And it investigates particularly four organizations selected for case study. It shows their strategies for using social media. Finally it draws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which will help us foresee their future tre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