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CT Usage, Government Outcomes,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Empirical Evidence from South Korean Government Cases

        Jungin Choe(최정인) 한국아시아학회 2021 아시아연구 Vol.24 No.4

        전자정부에 대한 한국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투자에도 불구하고, 정보통신기술(ICT)이 정부성과의 인과관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환경과 상황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본 연구는 ICT 활용이 정부성과에 미치는 영향력과 함께 조직구조가 이러한 인과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의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데이터를 활용하여 OLS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ICT 활용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특히 집권화된 조직구조는 이러한 정(+)의 관계를 더욱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ICT도입과 활용단계에 있는 다양한 아시아 국가에게 실천적 함의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With the great interest and massive investment in constructing an e-government system, case studies of its impacts on public organizations have long been discussed. Despite the rich body of case studies of the individual e-government system, there is a paucity of empirical studies on the specific effects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Technologies(ICTs) and their interaction with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n the government outcomes, along with the contingencies that may moderate these effects. To fill the aforementioned gap in the relevant literature, this study examines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centralized and formalized organization structures on the link between ICT usag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Using Ordinary Least Square(OLS) regression analysis, the specific model examines the case of South Korea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ICT usag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the types of organizational structure have different impa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tudy findings expect to give implications for Asian countries in the relevant arena.

      • KCI등재

        Research funding programs and Innovative Outcomes: Perspectives from Resource Dependency Theory

        최정인(Choe Jungin),문명재(Moon M. Jae) 한국지방정부학회 2021 지방정부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자원의존이론을 이론적 틀로 활용하여 대학의 재정자원이 조직의 생존과 성공에 주 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한다. 250개교의 국내대학 데이터로 패널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기업의 연구비는 대학의 국내와 해외특허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지방정부의 연구 비는 국내특허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방정부와 사기업의 연구비는 기 술이전수입료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대학의 설립유형 으로 국공립대학과 사립대학의 여부가 연구비와 기술이전수입의 인과관계에 조절효과를 지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연구비를 수여하는 기관의 서로 다른 목표와 기대, 재원 의 절대적 양, 조직특성(예. 설립유형)이 따라 대학이 적절한 전략을 취함으로써 혁신성과를 향상 시킬 수 있다는 실천적 함의를 제공한다. Using resource dependency theory by Pfeffer & Salancik(1978) as a theoretical framework in the context of higher education, this study takes the financial resource as an important resource that universities strive to acquire for the survival and success of the organization. The major argument of this study is that different resources of research funding given to universities will result in different innovative outcomes that donor organizations pursue. Using 250 universities data in Korea, the study s results show that there are positive impacts of private sectors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patents, while negative impacts of local governments research funding on domestic patents. The local governments and the private sector s grants have negative effects on technology transfer outcomes. Finally, this study finds that the public and private status of universities moderate the effects of research grants only on the incomes of technology transfer.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managers in universities. To ultimately ensure the survival and sustainability of universitie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goals and expectations of different donor organizations and to pursue different strategies depending on the amount, source of donor organizations, and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i.e. ownership type) of recipient organizations.

      • KCI등재

        정부의 질이 국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최정인(Choe, Jungin),김태형(Kim, Taehyung),정세희(Jung, Sehee),문명재(Moon, M. jae) 한국지방정부학회 2018 지방정부연구 Vol.21 No.4

        최근의 삶의 질에 대한 연구는 기존의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요인을 넘어서 정부의 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좋은 정부(good government)’는 거시적 차원의 국가발전 뿐만 아니라 개인의 삶의 질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오늘날 좋은 정부는 실제로 국민 삶의 질적인 향상을 이끌어내는가? 본 연구는 정부의 질은 국가의 경제성장을 향상시키고 이는 궁극적으로 국민 삶의 질을 높일 것이라고 가정한다. 즉 경제성장은 정 부의 질과 삶의 질에 있어 부분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연구질문에 답하기 위해 144개국을 대상으로 2010년부터 2015년까지의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연구에서 가정하는 인과관계를 검증 하였다. 분석 결과, 정부의 질적 측면 중 정부효과성은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법의 공정한 지배와 시민참여와 책임성의 향상은 오히려 경제성장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성장은 예상한대로 국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선행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치체제와 정부규모에 따른 구체적인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recent discussion on the quality of life goes beyond considering economic, political, and cultural factors and now also considers the quality of government as an important factor. Good government can not only make impact on the national development in a macro level, but it can also change the quality of an individual’s life in a micro level.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good government on an individual’s quality of life. The main hypothesis is that good quality of government will improve the national economic growth, and it will ultimately enhance the quality of lives of the citizens. Data from 144 countries from 2010 to 2015 were looked into,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government effectiveness has positive effects on economic growth while the rule of law, engagement of citizens, and improved accountability and responsibility actually have negative effects on economic growth. Moreover, as expected, economic growth is an important factor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Lastly, specific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different political systems and sizes of other countries’ governments.

      • KCI등재

        대학구조개혁평가에 대한 대학의 대응전략

        최정인(Choe, Jungin),문명재(Moon, M. Jae) 한국지방정부학회 2017 지방정부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국내 수도권과 지방대학이 대학구조개혁평가라는 교육부의 정책에 대응하여 어떠한 대응전략을 취하 는지 살펴본다. 연구의 이론적 분석틀로 자원의존이론의 관점을 적용하여 대학조직이 보유하고 있는 절대적 자원의 양과 정부재정의존도는 대학의 대응전략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정한다. 연구 질문에 답하기 위해 국내 수도권 과 지방대학을 포함한 154개교의 데이터를 대학정보공시센터를 통해 수집하였고, 연구방법으로 순위형 로짓 회귀 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작은 예산규모를 지닌 대학조직일수록 대학구조개혁평가에 더욱 적극적으로 순응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부재정의존도와 대학의 대응전략에는 부(-)의 관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 으로, 대학구조개혁평가가 국내대학에 미치는 정책적 함의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how metropolitan and local universities undertake strategies in response to the Universities Reorganization Evaluation Policy. Resource Dependence Theory is used to test the absolute amount of university resources and dependence on governments’ resources. The authors conducted ordinal logit regression analysis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using data from 154 metropolitan and local universities in South Korea. The results suggest that organizations with fewer resources are more likely to take active adaptation in response to request from the government policy. Moreover, the greater dependence on government fiscal resources, the more active strategies universities take. This finding provides policy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on the Universities Reorganization Evaluation Policy.

      • KCI등재

        지식공유와 성과간의 인과구조 :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지식공유의 결정모형과 성과에 대한 영향 분석

        윤창근(Yun, Changgeun),최정인(Choe, Jungin),정세희(Jung, Sehee) 한국지방정부학회 2017 지방정부연구 Vol.21 No.2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지식은 조직의 필수자원이며, 조직 내 지식공유는 지식의 활용가능성과 부가가치 창출능력 을 극대화하는 중요한 관리전략으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지식공유는 서로의 필요에 의한 지식의 교환보다는 전 달-습득의 일방적 관계에 의해 진행되는 경우가 많으며, 실제 현장에서는 지식공유가 그 중요성만큼 활발하지 못하 다. 본 연구는 지식공유를 활성화시키는 구조적 요인(공식화, 집단/합리 문화, 거래적 리더십)과 관계적 요인(조직 신뢰, 의사소통)을 검증하였다. 지식공유의 결정모형 외에 본 연구는 성과를 조직성과와 개인성과로 구분하여 지식 공유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에 따르면, 지식공유는 조직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개인성과 에는 유의한 영향력을 갖고 있지 않다. 지식공유가 항상 상호 호혜적이지 않음을 고려하면, 참여자 간의 성과향상에 대한 기대 차이가 발생한다. 즉, 지식습득자는 전달받은 지식을 활용하여 개인성과를 증진시키지만, 지식전달자에 게는 새롭게 습득한 지식이 없기 때문에 당장의 개인성과 향상을 기대할 수 없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식공유의 활 성화를 위한 제도적 지원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Knowledge is considered as the core resource in the age of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Therefore, knowledge sharing within organization is being emphasized as an important management strategy that maximizes the capacity to create added value and utilize knowledge. However, the level of knowledge sharing is not on par with its importance within public organizations.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and knowledge sharing by looking at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individual performance separately. According to the analysis, knowledge sharing has a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whereas it has no significant impact on individual performance. Knowledge sharing is not always a reciprocal exchange for all participants. Individuals who acquire new knowledge may enhance their performance by utilizing the new knowledge. However, individuals who deliver knowledge cannot expect to immediately improve their performance, since they did not acquire new knowledge. Such results of the study imply the necessity of systematic support for facilitating sharing in public organizations.

      • KCI등재

        공공조직 리더십이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조직구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황창호 ( Changho Hwang ),김정숙 ( Jungsook Kim ),최정인 ( Jungin Choe ),문명재 ( M. Jae Moon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19 국가정책연구 Vol.33 No.1

        기업가정신은 기업의 혁신을 주도하는 정신이나 가치관이며, 기업가정신이 발현하기 위해서는 조직의 리더가 기업가적 리더십을 갖출 것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공공 부문의 혁신을 위하여 강조되는 기업가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어떠한 조직구조 하에서 조직 몰입을 높일 수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업가적 리더십이 조직 몰입에 주는 영향과 함께 공식화, 집권화, 공식화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정부기관과 공공기관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방법으로 조절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기업가적 리더십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구조의 세 가지 특성 중 집권화가 기업가적 리더십과 조직몰입을 조절하는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는 통제의 권한이 집중된 집권화된 조직에서는 기업가적 행동과 리더십의 발현이 조직구성원들의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leadership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 context where the importance of innovation for the public sector is increasing. The authors further explores how the entrepreneuri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elationship changes depending on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type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entrepreneurial leadership have impa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entralization, one of organizational structure types, has a moderating eff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