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유치원 교사가 지각한 자기의식 수준,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최정선(Jeong Seon Choi),김희수(Hee Soo Kim)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5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배경변인(학력, 경력, 기관 유형)에 따른 자기의식 및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서 어떤 차이를 나타내 보이는지를 알아보고, 자기의식,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유치원 교사의 학력, 경력, 기관유형에 따라 직무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유치원 교사의 학력에 따라 대학원졸업 교사들이 전문대학(2년제)졸업 교사들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직무만족도를 나타냈으며 교사의 경력에 따라서는 1년 미만의 교사들이 5년 이상의 교사들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직무만족도를 나타내 보였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자기의식,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치원 교사의 자기의식 총점은 직무만족도의 모든 하위요인 및 직무만족도 총점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으나,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모든 하위요인 및 직무스트레스 총점은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 및 직무만족도의 총점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자기의식,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중다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치원 교사의 인간관계에 대한 직무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무스트레스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의미하는 바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self-consciousnes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s perceived by kindergarten teachers. The study collected data from a total of 178 kindergarten teachers on the topic of teacher self-consciousnes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 job satisfaction differed according to a kindergarten teacher``s educational background, career, and the type of child educational facilities they had worked in. Second, teacher job satisfac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teacher self-consciousness but negatively related to job stress. Third, teacher job satisfaction was affected by financial stress level, authoritarian management styles, interpersonal stress, social anxiety stemming from self-consciousness. The more stress kindergarten teachers experienced from financial problems, authoritarian management styl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less satisfied they were with their jobs. These results suggest a need for a national policy that supports and provides for the welfare of kindergarten teachers.

      • KCI등재

        12∼14개월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 적응과정에 관한 관찰연구

        최정선(Choi, Jeong Seon),정가윤(Chung, Ka You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3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12∼14개월 영아 5명을 대상으로 어린이집 초기 적응과정에 관한 문화 기술지 연구이다. 인천지역 어린이집 영아반 초기 적응프로그램의 현황 조사 과정을 거쳐 전형적인 영아반 초기 적응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두리 어린이집을 선정하고 만 0-1세 반인 꼬꼬반을 대상으로 하였다. 12∼14개월 영아들의 적응과정을 보다 세심하게 관찰하기 위해 연구자는 두리 어린이집의 꼬꼬반에 보조교사로서 2012년 3월 5일부터 9월 6일까지 참여관찰을 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생후 12∼14개월 영아들의 어린이집 초기 적응과정을 영아의 사회적 관계, 놀이, 일과 적응의 변화로 나누어 관찰함으로써, 다른 연령의 영아들과는 어린이집 적응과정에 있어서 차별성을 두어야 한다는 프로그램적 제언점을 제시한 것에 있다. 이 연구 결과는 12∼14개월 영아에게 특화된 어린이집 초기 적응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의미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examine 12∼14 month-toddlers' early adjustment process in a child care center. The researchers conducted observational study to understand how the toddlers interact with new environment and how their play and daily routine develop in a child care center. After the researchers survey early adjustment program of child care centers in Incheon, The researchers choose Doori child care center which practiced desirable early adjustment program. Serving as a assistant teacher in the classroom, the researcher observed 5 toddlers from March 5, 2012 to september 6, 2012. To analyse their early adjustment process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shifts of their social relationships, play, daily routine in a child care center, the researchers generate the observation notes and categorize in those three. From this study the researchers suggest that 12∼14 month-toddlers need to be have particular early adjustment program appropriate for their age group. These results provide important preliminary data to form early adjustment program specialized for 12∼14 month-toddlers.

      • 유치원 교사들의 유아 다문화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최정선 ( Choi Jeong-seon ) 한국실천유아교육학회 2016 실천유아교육 Vol.21 No.-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들의 유치원에서 유아 다문화교육 관련 교육영역과 교육내용 이해수준을 분석하여 유아 다문화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K시·도의 20개 유치원에 근무 중인 교사 70명이다. 유치원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유아 다문화교육의 영역은 활용 빈도(%)를, 교육내용 이해수준은 교육영역별 이해수준 평균값으로 분석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교사들은 문화적 영역(45.7%)을 사용하였으며, 다음으로 자연적 환경영역(35.7%)을 높은 빈도로 사용한 반면, 가족영역(2%), 다원화 가치관 영역(2%)은 단 2명의 교사만 상위개념으로 사용하였다. 둘째, 유아 다문화교육 영역의 이해수준에서 인종 영역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문화적 영역, 자연환경 영역, 가족 영역, 기타 영역 순으로 나타났으나, 유아 다문화교육의 전체 이해수준(M=2.9~4.0)은 낮았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 다문화교육의 교육과정 편성의 개선이 필요하며, 특히 유아 다문화 교육 내용의 범주를 설정함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교사 현직연수를 통해 교육수준을 끌어올릴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what type of content should be included in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Concept mapping was used to investigate early childhood teachers' knowledge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terms of appropriate and developmental levels for presentation. Participates, 70 teachers in Daegu and Kyungpook Province, were presented with a model of multicultural content areas, drawn from rec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and literature and based on six basic conceptual contexts: 1) culture 2) race 3)social class and consumerism, The teachers’ responses and comment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perception and knowledge about the varied content areas. The results showed a high frequency in choosing the subordinate concepts of culture and natural environment, and race as important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topics. However,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teachers did not perceive abilities and disabilities, gender and sexual orientation, social class and consumerism, or family structure as important content areas for young children’s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SCOPUS
      • RDEP 수업전략을 적용한 수업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학습흥미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최정선 ( Kim Hee-soo ),김희수 ( Choi Jeong-seon ) 한국실천유아교육학회 2015 실천유아교육 Vol.20 No.-

        본 연구의 목적은 RDEP 수업전략을 적용한 교직교과 수업활동이 예비유아교사들의 수업 간 학습흥미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경남 소재 D대학 재학생 48명이며 실험집단 25명과 비교집단 23명이었으며, 실험집단은 12주 동안 총 24차시에 걸쳐 RDEP 수업전략을 적용한 수업을 받았다. 측정도구는 학습흥미검사와 학습태도검사를 사전·사후검사로 사용하였고,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하는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로는 첫째, RDEP 수업전략을 적용한 수업을 받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의 학생들보다 수업 간 학습흥미가 유의미하게 더 높아졌다. 둘째, RDEP 수업전략을 적용한 수업을 받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의 학생들보다 수업 간 학습태도가 유의미하게 더 향상되었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교직교과 수업 간에 RDEP 수업전략을 적용할 경우 수업에 대한 학습흥미와 학습태도가 향상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예비유아교사들의 수업 간에 학습흥미와 학습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수업전략의 하나로 RDEP 수업전략의 적용을 제언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meditation music(classic) program on attention and attitude of learning among college students. For these purposes,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from 129 college students living in Gangwon area. They were respectively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trained thirteen weeks with the 12th sessions through the meditation music program. Before administrating the experimental procedure, both groups took the pretest for measuring their attention and attitude of learning. After the experimental sessions, they also took the posttests to measure both of them.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trained through the meditation music program has got higher scores on the attention questionnaire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former which got higher scores on the attention also gained more scores on attitude of learning test than the latter. In light of these results, it suggests that college students' attention and attitude of learning in the college could be acquired through the meditation music program.

      • KCI등재

        교육봉사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현장참여의식,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효과

        김희수(Hee-soo Kim),최정선(Jeong-seon Choi)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0 No.5

        본 연구에서는 교원양성기관에서 교육부의 교원자격검정기준 지침에 의거 의무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교육봉사활동 교과목이 예비유아교사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교육봉사활동과 관련된 요인들인 예비유아교사의 현장참여의식,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진로태도성숙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로는 첫째, 교육봉사활동은 예비유아교사들의 현장참여의식을 높이는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고 둘째, 교육봉사활동은 예비유아교사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데 효과가 있었으며, 셋째, 교육봉사활동은 예비유아교사들의 진로태도성숙을 높이는 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이를 요약하면, 교육봉사활동 교과목이 현장참여의식,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진로태도성숙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교육봉사활동이 예비유아교사를 양성하는 교원양성기관의 실천적 교수-학습방법의 하나로 체계적 운영이 필요함을 제언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educational service activities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ree areas: sense of participation in the kindergaren classroom; academic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Eighty-seven College students from ‘D’ universit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n = 45) and a control group(n = 42). Pre-and post-tests were conducted to measure participants`` sense of participation in the kindergarten classroom,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COVA were used to identify any effects shown in the test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educational service activiti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in all three areas. We conclude that educational service activities in higher education have a positive influence effects on the psychological and academic developmen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교사발달단계, 직무수행능력 및 교사효능감의 관계

        김희수(Kim Hee-Soo),조은정(Cho Eun-Jung),최정선(Choi Jeong-Seo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5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가 지각한 교사발달단계, 직무수행능력 및 교사효능감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규명하고, 교사발달단계에 따라 직무수행능력의 어떤 요소들이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유치원 교사의 전문적인 직무수행능력 향상 방안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경기 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국?공립 및 사립유치원 남녀교사 1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로는 강경석과 김영만(2006)의 교사발달척도, 이난숙(1991)과 윤홍주(1996)의 교사직무 능력척도, 김아영과 김미진(2004)의 교사효능감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로는 첫째, 교사발달단계의 구성 비율은 열중?성장단계, 능력구축단계, 입문?수용단계 순으로 나타났으며, 안일?안주단계의 분포 비율은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직무수행능력 수준은 중?소도시 이하의 지역보다는 대도시에 근무하는 교사들에게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는 직무수행능력 하위요인들과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 보였다. 따라서 안일?안주단계에 머물러 있는 유치원 교사들의 직무수행능력과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과, 유치원 교사의 직무수행능력 중 교사효능감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업무수행 능력과 교사로서의 자질 향상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제고될 필요성에 대하여 제언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career development stage, job capabilities, and teachers-efficacy in early childhood teachers. It also studied the effect of teachers’ job capabilities on the teachers-efficacy at different stages of their career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teachers were at the Growth-Enthusiasm, the Capability Development Stage, and the Entrance-Acceptance Stage. Only 11.5% of teachers were at the Ease stage. Second, the job capabilities of the chief teachers and the big city teacher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regular teachers and the local area teachers. Thus the plan should be drawn up to improve the job capabilities of the local area teachers. Third, the teachers-efficacies of chief teachers and the big city teacher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regular teachers and the local area teachers. Fourth, the Growth-Enthusiasm Stage, Capability Development Stage, and the Entrance-Acceptance Stage show the high correlation with job capabilities. This result is same to the teachers-efficacy. The teacher’s career development, their job capabilities, and their teachers-efficacies were interrelated to each other. Finally, the quality as a teacher and the job execution abilities are influential to teachers-efficacy for the Entrance-Acceptance Stage, and the job execution and guidance abilities are influential to teachers-efficacy for the Growth-Enthusiasm Stage. The job execution abilities affect teachers-efficacy for the Ease Stage. thus the teacher’ efforts to improve their job capabilities should be drawn up for their teachers-effic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