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일본 농업교육과 사회계급의 분화 ― 요코이 도키요시(橫井時敬)의 동경농업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최자명 ( Choi Ja-myung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8 大東文化硏究 Vol.102 No.-

        이 논문은 요코이 도키요시(橫井時敬)의 교육사업을 통해 농업인이 농업전문가와 육체노동을 하는 농민으로 분화되는 과정을 살핀다. 요코이는 東京帝國大學 농과대학의 교수였으며, 그와 동시에 東京農學校의 실질적인 운영자였다. 그는 또한 지주를 단순한 토지의 소유자, 지대의 수령자가 아니라 농사기술을 보급하고 지역 사회를 이끄는 지도자로 재창조함으로써, 공업에 소외된 농업의 복권을 꿈꾸는 “農本主義” 이념의 주창자이기도 했다. 동경농학교는 그가 지주의 아들들을 경작지주로 훈련시킴으로써 이 농본주의의 이상을 실현하는 실천공간이었다. 문제는 이 동경농학교에 지원자가 적어 학교의 운영이 쉽지 않았다는 점인데, 이 재정적 압박을 해소하기 위해 요코이는 이 학교를 고등전문학교, 나아가 대학으로 승격시킴으로써 학생수를 크게 증가시켰다. 그런데, 동경농업대학 학생들과 동문들은 자신들을 재촌지주로 교육하는 교육과정에 불만을 품고 요코이가 사망한 뒤인 1930년대 중반대대적인 학제개혁을 통해 교육과정을 東京帝大 농과대학과 비슷하게 바꾸고 학교의 교육목표를 화이트칼라 취직으로 변경했다. 한편 재촌지주의 교육은 중등농업교육기관에 한정된다. 이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이 논문은 농촌의 사회계급의 재편과정에서 고등교육이 담당한 역할을 해명한다. This article explores class stratification in Japanese agriculture through the lens of the education project of Yokoi Tokiyoshi. Yokoi was a professor of the faculty of agriculture at Tokyo Imperial University (tokyo teikoku daigaku), and the principal of the Tokyo School of Agriculture (Tokyo nogakko). Yokoi tried to recreate the landlord, who had been simply the owner of land or collector of rent, as the farming leader of rural Japan in the name of agrarianism (nohonshugi). Yokoi tried to train sons of landlords as local leaders engaging in manual-labor at the Tokyo School of Agriculture. However, this school suffered from low popularity among applicants. In order to recruit more students, Yokoi upgraded the rank of this school from secondary educational institution to tertiary vocational school, and to university. The number of students dramatically increased in this process. However, students of the Tokyo University of Agriculture (Tokyo nogyo daigaku) became increasingly unhappy with their curricula that trained them as farmers, and in the 1930s, alumni of this school initiated a curricular reform to help students get white-collar jobs. And education for farmers was limited within secondary education and below. By analyzing this process, this article examines the role of higher education in class stratification in Japanese agriculture.

      • 이동형 송수신기를 이용한 실외 RSS-AoA 기반 송신노드 위치추정 기법

        최자명(Ja-Myoung Choi),김근우(Keunwoo Kim),하태웅(Taewoong Ha),김성철(Seong-Cheol Kim) 한국통신학회 2022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일반적인 실외 IoT 시스템에서의 노드 위치추정, 트래킹은 고정형 앵커나 드론과 같은 공중 앵커와 GPS를 활용해 이뤄진다. 하지만 비용과 운용시간 이슈가 있는 육군의 소부대 실외 작전과 같은 특정 환경에서는 고정형/공중 앵커를 활용할 수 없고 앵커와 GPS를 다수 운용할 수 없다는 제한이 있어 그에 맞는 위치추정 기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다수의 송신노드와 이동형 송수신 앵커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RSS-AoA 기반 위치 추정 기법을 제안하였으며, 수목이 있는 실외환경을 가정한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한 기법의 위치추정 성능 및 안정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제안한 위치추정 기법은 기존의 위치추정 기법들보다 안정적으로 노드의 위치를 추정해내며 추정 성능 또한 보장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능력주의와 평등교육의 사이에서 : 일본 교육을 바라보는 경제협력개발기구 교육조사관들과 문부관료의 시선, 1970

        최자명(Choi, Ja-Myung) 일본사학회 2021 일본역사연구 Vol.56 No.-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소련 공산주의에 대항하는 미국과 서유럽 국가들의 경제적 번영을 위해 1961년 설립된 국제기구로, 교육이 경제부흥에 효과가 있다는 교육 사회학자들의 믿음이 국제사회에서 받아들여지자, 이 기구는 빠르게 교육정책을 토론하는 국제사회의 장으로 거듭났다. 민주적이고 평등하며 경제적으로 번영하는 자유진영의 구축이라는 미국의 냉전 전략에 공명하며, 경제협력개발기구의 지도자들은 교육 정책에 관한 연구 사업을 이끌고 각국의 고등교육을 확장하는 교육개혁에 대해 자문했다. 많은 정부가 이 국제기구의 지도력을 활용하여 자국의 고등교육 팽창정책을 옹호했고, 1964년 가입한 일본 정부는 1970년 1월 경제협력개발기구의 교육조사관을 초빙하여 자국의 교육정책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받고, 그해 말 이 기구의 본부가 있는 파리에 문부성 관료들을 일본대표단을 파견, 일본의 교육노선에 관한 토론을 벌였다. 그런데 이 협력이 순조롭게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일본 교육제도의 성취와 한계를 둘러싸고 경제협력개발기구의 교육조사관들과 일본 문부성의 관료들이 심각한 의견 차이를 보였던 것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의 교육전문가들이 일본 교육을 평가할 때, 그들은 일본 대학들의 견고한 위계서열, 특히 도쿄대학을 비롯한 입시경쟁의 상위에 있는 국립대학의 패권적 위상을 강하게 비판했다. 반면, 일본의 문부관료들은 대학서열을 무너뜨리는 데 의욕을 보이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경제발전을 위해 그 필요성을 역설했다. 바꿔 말하면, 일본의 관료들은 경제협력개발기구와의 교류를 통해 자신들이 필요로하는 의제, 즉 경제발전을 위해 교육을 확대하는 의제는 자신들의 고등교육 확대를 추구하는 정책을 정당화하는 데 원용하면서도, 고등교육기관의 위계서열을 완화하라는 쓴소리에는 귀를 막았던 것이다. 이 논문은 일본의 문부관료가 경제협력개발기구라는 국제기구의 권위를 이용해 자신들의 정책을 정당화하면서도, 그 교육조사관들의 평등교육에 대한 요구는 외면하는 과정을 추적한다. 이 연구를 통해 필자는 국제기구에서 상대적으로 힘이 없는 나라들도 이 국제협력을 통해 기회를 찾았다는 평범한 사실을 확인함과 동시에, 1970년 당시 세계적으로 일본에서 가장 첨예하게 나타난 대학의 서열화라는 문제를 거론하던 서구 교육조사관들의 비서구 국가에 대한 편견과 1960년대 경제호황과 늘어나는 교육기회에 가려 이 문제의 심각성을 제대로 가늠하지 못한 일본 문부관료의 오만을 투시함으로써, 당시 이 문제를 둘러싼 국제사회 구성원들의 토론이 남긴 성취와 한계를 생각해보고자 한다.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of North American and Western European countries established in 1961 for economic prosperity to counter Soviet communism, have surfaced as a global governing complex of education. Echoing the Cold War mission of the United States to promote democratic, egalitarian, and economic prosperous societies, OECD leaders led research projects in education policies and reforms to buttress the expansion of higher education. Many governments interested in expanding higher education found the leadership of this international organization. The Japanese government, which joined the OECD in 1964, invited the OECD Examiners to review its educational policies in January 1970, and dispatched a delegation to the OECD headquarter in Paris to have a confrontational meeting with the OECD’s Education Committee over the future directions of Japanese education. But, this collaboration entailed tension. When the OECD’s education experts assessed Japanese education in 1970, they poignantly criticized institutional hierarchy among Japanese universities dominated by top state-managed schools, most notably the University of Tokyo. During the confrontational meeting in 1970, the OECD experts and the officers of Japan’s Ministry of Education exchanged opinions and revealed their fundamentally different attitudes towards this school hierarchy. While the OECD experts tried to advise Japanese policy makers on how to destroy school hierarchy, Japanese education bureaucrats declined to do so and even articulated the hierarchy’s necessity for Japan’s development. This article traces how Japanese bureaucrats co-opted the OECD’s idea of education for economic take-off for their own goals, but turned deaf ears to its request to destroy institutional hierarchy. By so doing, alongside a not too surprising fact that non-hegemonic countries found this internationalist collaboration as an opportunity to justify their interests, I highlight the OECD Examiners’ prejudice with late-developing countries and Japanese Education officials’ excessive optimism fueled by Japan’s unprecedented economic boom to consider the accomplishment and limit of the earliest international debate on the crisis of modern meritocracy in the world.

      • KCI등재

        지역 엘리트 학교의 주변화 ― 가모농림학교(加茂農林学校)로 본 근대 일본 중등농업교육과 지리적 위계

        崔子明 ( Choi Jamyung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3 大東文化硏究 Vol.124 No.-

        1차대전을 전후하며 도시는 무한히 팽창하는 마법의 공간으로 보였고, 그 마법은 수도뿐만 아니라 현청소재지 같은 지방도시들에서도 구현되는 듯했다. 그러나, 東京나 新潟와 같은 대도시는 무한히 팽창하지 않았다. 그렇다고 대도시의 고등교육기관과 기업체들이 모든 지역자치체에 들어서지도 않았다. 왜 현청소재지나 수도가 아닌 곳에서는 교육기관을 유치하고 향리를 발전시키려는 노력이 결실을 맺기 어려운가? 이 논문은 新潟현의 농업중등학교인 가모농림학교(加茂農林学校)의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이 질문에 부분적인 답을 구한다. 이 학교에는 인근은 물론이고 니가타현 전역의 지주 아들들이 다니며 경작기술을 배웠고, 졸업생들은 지역사회의 재촌지주 엘리트로서 농업을 진흥하고, 때로 기업가로, 정치가로 비약했다. 나아가 이 학교의 동문들은 이 학교를 고등교육기관으로 승격시켰다. 그러나 이 승격으로 가모농림학교가 고등교육기관으로 대체되며 폐지가 결정되자, 직장과 모교를 잃은 중등농업학교의 교원과 학생들이 반발하며 결국 가모농림학교가 부활하고 고등교육기관은 패전 이후 新潟市로 이전, 新潟大学의 농학부가 되었다. 지역 유지들이 중등교육기관과 결합하며 자리잡은 가모초에서는 고등교육기관의 유치작전이 지역 사회의 반발을 불러일으키며 좌초되었고, 오히려 현청소재지 니가타시에 고등교육기관이 추가된 것이다. 1945년 이후 전체산업에서 농업의 비중이 줄어들며 가모시와 가모농림학교의 위상은 점차 하락했다. 이 과정을 살핌으로써, 이 논문은 왜 소규모 지역자치체에서 고등교육기관의 유치를 통한 지역발전의 꿈이 실현하기 어려운지를 생각한다. In the eyes of the Japanese in the interwar period, the city seemed like a magical space that expanded limitlessly, and the magic seemed to operate not only in the metropolis but also in local cities, such as Niigata. However, big cities such as Tokyo and Niigata did not expand limitlessly. Nor did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business corporations appear in all other local communities as they did in the metropolis. Why was it difficult for small communities other than Tokyo or prefecture capitals to host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vitalize their communities? This article analyzes the experiences of the Kamo School of Agriculture and Forest, a secondary school of agriculture located in the Kamo Town, Nakakanbara County, Niigata Prefecture. Kamo leaders managed to host this school in their neighborhood for the prosperity of their community, and this school attracted sons of landlords in the entire Niigata Prefecture. Its graduates became local elites as cultivating landlords, and sometimes surfaced as entrepreneurs and politicians. Some of its graduates envisioned a rank upgrade of their alma-mater, and managed to transform this secondary school to a tertiary school, called the Niigata Prefecture Higher School of Agriculture and Forest. However, as the Kamo School of Agriculture and Forest came to be replaced by this new school, those who lost their jobs at the old school protested this decision, which culminated in the revival of the secondary school and the relocation of the new tertiary school in the Niigata City, the prefectural capital. In this process, the initiative of some graduates of this school to host a center of higher learning failed, only to enrich the prefectural capital by adding one more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 there. By looking at this process, this article examines how local communities enmeshed their interests with local schools, sometimes resisting the incorporation into higher education system originating from the capital city.

      • AHCISCOPUSKCI등재
      • AHCI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