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악교사의 교수행동에 있어서 비언어적 교수방법 변인의 상호관련성 및 효과에 관한 연구

        최은식(Eun Shik Choi) 한국음악교육학회 2001 음악교육연구 Vol.20 No.-

        Throughout the history of music education many prominent music teachers and educators, including, Comenius, Pestalozzi, Dalcroze, Kodaly. Suzuki, Orff, and Kohu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non-verbal communication in music instruction. Nonetheless, majority of school music teachers still seem to rely heavily on verbal teaching method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nd effects of non-verbal or co-verbal teaching behaviors of music teachers as an effort to improve teacher effectiveness in music class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2 student teachers who were taking a music teaching method course of a university in Seoul.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ree phases : Phase one : Nine categories of non-verbal music teaching behaviors were clarified (① non-explanatory·non-directional language, ② eye-contact, ③ modeling, ④ teacher-student interaction, ⑤ performance skills, ⑥ accompaniment stalls, ⑦ musical movement, ⑧ remedy, and ⑨ sense of humor); Phase two : In the period of one semester music classes taught by student-music teachers were videotaped Phase three : Videotaped music teacher behaviors (variables) were anlalyzed by a predetermined criteria form (A Measure of Non-verbal Music Teaching Behaviors: AMNMTB) Important findings were: There is a relatively high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of non-explanatory language, modeling, performance skills, remedial skills, teacher-student interaction, and eye contact. This result implies that a music teacher should acquire these non-verbal teaching skills for a successful/effective music teaching. There is a relatively low relationship of the variables of accompaniment skills, movement, and sense of humor with other variables. It implies that contrast to common senses, these teaching behaviors are not critical elements in a successful music teaching.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of high non-verbal sub group and the low non-verbal sub group indicates that the high non-verbal sub group got higher score in every variable except for the variable of humor. (a - .05)

      • KCI등재

        백색레그혼 종에 있어 케이지 사육과 평사 사육 간의 생산능력과 스트레스 반응 정도 비교

        최은식(Eun Sik Choi),조은정(Eun Jung Cho),정현철(Hyeon Cheol Jeong),김보경(Bo Kyung Kim),손시환(Sea Hwan Sohn) 한국가금학회 2020 韓國家禽學會誌 Vol.47 No.3

        본 연구는 케이지 사육과 평사 사육 형태에 따른 닭의 스트레스 반응 정도와 이들의 생산능력을 비교하고자 한 것이다. 시험은 단관백색레그혼 종 암컷 491수를 대상으로 하여 34주령부터 43주령까지 10주 동안 이들의 생산 특성을 조사하고, 스트레스 반응 지표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생존율, 산란율 및 체중은 평사 사육군과 케이지 사육군 간의 차이가 없었고, 난중을 포함한 난각색, 난각무게 및 난백고 등 일부 난질은 케이지 사육 개체들이 평사 사육 개체들과 비교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백혈구 세포들의 텔로미어 함량 분석 결과, 평사 사육 개체들이 케이지 사육 개체들보다 유의하게 높은 텔로미어 함유율을 보였지만(P<0.05), H/L ratio 값은 케이지 사육 개체들이 평사 사육 개체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P<0.01). HSP-70, HSP-90α 및 HSP-90β 유전자 발현율에 있어, 모든 HSP 유전자 발현율이 케이지 사육 개체들이 평사 사육 개체들에 비해 다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HSP-90β의 발현율을 제외하고 사육 형태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세포 내 DNA 손상률 분석에서도 케이지 사육 개체들의 모든 comet 지표들이 평사 사육 개체들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1). 이상의 결과로부터 케이지 사육과 평사 사육 간에 개체들의 생산능력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보이나, 모든 스트레스 반응 정도 분석에서 케이지 사육 개체들이 평사 사육 개체들에 비해 높은 스트레스 지표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백색레그혼 종에 있어 생산능력과는 무관하게 케이지 사육 형태가 평사 사육 형태보다 더욱 높은 스트레스적 환경인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production performance and stress response of chickens kept in the conventional cages and floor pens. 491 female White Leghorns were used in this study, and their production characteristics and stress response indicators were analyzed from 34 to 43 weeks of age.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rvival rate, hen-day egg production, and body weight between the chickens kept in the conventional cages and those kept in the floor pens. The chickens kept in the conventional cages had a significantly higher egg weight and egg quality compared with those kept in the floor pens (P<0.01). The amount of telomeric DNA in lymphocyt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hickens kept in floor pens than in those kept in conventional cages (P<0.05). The heterophil-lymphocyte ratio, HSP-90β gene expression level, and DNA damage rate significantly increased in chickens kept in the conventional cages, as compared to the chickens kept in floor pens (P<0.01). In conclusion, there seems to be no difference in the production performance between chickens kept in conventional cages and those kept in floor pens. Furthermore, chickens kept in conventional cages had higher stress response values than those kept in floor pens for all stress response indicators. Therefore, conventional cage types are considered to be a more stressful environment for chickens than floor pens, regardless of the production performance of the chickens.

      •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의 운전특성 연구

        최은식(E.S Choi),안종보(J.B Ahn),조창희(C.H Cho),전진홍(J.H Jeon) 대한전기학회 2010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7

        마이크로소스와 저장장치로 구성된 마이크로그리드는 계통연계 혹은 독립운전 모드로 운전 될 수 있다. 계통 측의 사고로 인해 독립운전 모드로 운전될 경우 디젤 발전기의 응답시간이 약 수초 정도로 길기 때문에 부하변동이 발생 하였을 경우 부하추종 문제를 야기 할 수가 있고, 마이크로 소스중 기존의 일반적인 태양광과 풍력 전원의 특성상 주위 환경에 따라 MPPT 제어를 통해 최대전력을 출력하는 전원 장치이기 때문에 마이크로그리드의 독립운전에서 요구되는 기준 주파수 및 전압을 제공할 수가 없으므로 에너지 균형을 맞추기 위한 저장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그리드가 독립운전 모드에서 마이크로소스의 출력변화와 부하변동이 발생할 경우 에너지 저장장치를 이용하여 주파수와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마이크로그리드에서의 에너지 균형을 맞추기 위한 제어 방법을 제안 하였다. 또한 마이크로그리드의 적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Matlab/Simulink 를 이용하여 모의하고 해석하였다.

      • KCI등재

        예술계고등학교 진학희망 중학생의 서울공립예술고등학교 85설립에 관한 인식

        최은식(Eunshik Choi),신지혜(Jihae Shin)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5 음악교육공학 Vol.- No.24

        본 연구에서는 예술고등학교 진학을 희망하는 서울시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서울공립예술고등학교 설립 및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서울시교육청의 협조를 얻어 서울시 382개 전체 중학교에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144개 학교의 1221명의 중학생이 최종 연구 대상이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의 대다수가 서울공립예술고등학교 설립에 찬성한다고 답변하였으며, 그 이유로 사회·경제적으로 소외되어 있는 예술영재들에게 교육 제공의 기회와 사교육비 경감을 우선 순위로 꼽았다. 둘째, 응답자들은 효과적인 교육과정을 위해서 예술가적 창의성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하고, 예술현장과 연계된 프로그램 강화가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서울공립예술고등학교 교육환경 운영 방안과 관련하여 응답자들은 전공실의 확보, 전공교육을 위한 시설구축, 우수한 교·강사의 확보를 매우 중시하였다. 셋째, 응답자들은 서울공립예술고등학교의 교육목표로 실기능력 강화와 창의성 신장을 우선으로 선택하였다. 하지만 응답을 영역별로 묶어 비교 분석한 결과 과반수의 학생들은 실기 및 진로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영역을 서울공립예술고등학교의 주요 목표로 선택함으로써 예술고등학교가 예술가 인재 양성을 위한 주요한 역할을 감당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넷째, 서울공립예술고등학교의 개설전공으로 순수예술과 관련된 전공을 우선적으로 희망하였다. 하지만 응답자들은 또한 연극영화, 문예창작, 만화창작 뿐 아니라 뮤지컬, 실용음악, 모델학과, 영상제작, 방송영상 등 다양한 종류의 대중예술과 관련된 전공이 개설되기를 희망한다고 답변하였다. 다섯째, 과반수의 응답자들은 내신성적과 실기시험 위주인 현 예술고등학교 선발방식의 만족감을 나타냈다. 또한 이외 추가적인 선발방안으로 면접, 표준화검사, 포트폴리오 등이 도입되기를 희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pin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hope to attend arts high schools about the establishment of a public arts high school in Seoul. The survey was distributed to 382 middle schools in Seoul, and 1221 students in 144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the following: First, the majority of the respondents agreed to the establishment of a public arts high school in Seoul, which would provide students with better opportunities to learn arts and reduce private education expenses. Second, the respondents thought that the programs which stimulate students creativity and are closely related to arts fields as well as educational environments including secure educational space, facility for arts education, and excellent instructors should be provided. Third, the participants considered performance skill improvement and creativity development to be educational objectives of a public arts high school, but it was also shown that the majority of the responses were closely related to students performance and career. Fourth, the respondents primarily hoped pure arts majors to be provided in a public arts high school in Seoul, but they also thought that various public arts majors, including musical, model, and broadcasting, needed to be provided. Finally, the majority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current entrance examination of arts high schools, and when asked to choose additional methods of selection, they preferred interview, a standardization test, and portfolio.

      • KCI등재

        1992년~2019년 국내 학술지 게재 다문화 음악교육 연구의 동향과 향후 과제

        최은식 ( Choi Eunshik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0 예술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1992년 ~ 2019년까지 지난 약 30년 간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총 106편의 다문화 음악교육 관련 논문의 경향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다문화 음악교육연구의 과제를 제안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문헌분석 방법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다 많은 음악교육 연구자가 다문화 음악교육 연구에 참여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연구 대상의 범위를 국외 문헌자료와 다양한 연령대의 학습자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셋째, 연구방법에 있어 질적 방법과 실험적 방법의 적극적 도입이 필요하다. 넷째, 다문화 학습자의 주권 교육, 주류 한민족 학생을 위한 문화다양성 교육, 전 연령대 대상의 다문화 감수성 교육 등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연구주제가 확대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자국내 다문화 음악교육으로서 다문화 음악교육의 유형을 설정하고, 설정된 유형의 타당성을 검중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여섯째, 기존에 연구된 다양한 다문화 음악 교육 방법과 전략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trend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related article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or the past 30 years from 1992 to 2019, and to suggest future tasks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research.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the literature analysis method. The categories of analysis were first, publication time, second, subjects, third, research methods, fourth, titles of the published journal, fifth, research topics, and sixth, types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research was most actively conducted in the 2010s. Second, the subject of majority of the studies were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Third, descriptive research methods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Fourth, the articles were published in 48 academic journals in 13 academic fields. Fifth,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music teaching-learning materials was the most frequently adopted topic. And sixth, the type of amalgamation among Elliott’s types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was the most frequently adopted. The tasks of future research, which are derived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more music education researchers need to participate in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research. Second, literature materials of other multicultural nations and learners of various ages should be included as research subjects. Third, it is necessary to actively introduc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experimental methods to verify the effects of formerly developed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methods. Fourth,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research topics to include sovereignty education for learner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education on cultural diversity for mainstream Korean ethnic students, and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for all ages. Fifth,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feasibility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ypes suitable for domestic situations, and methodological studies to realize them.

      • KCI등재

        한국토종닭의 품종, 산란 연령 및 종란의 보관 기간이 병아리의 강건성에 미치는 영향

        최은식(Eun Sik Choi),손시환(Sea Hwan Sohn) 한국가금학회 2021 韓國家禽學會誌 Vol.48 No.1

        본 연구는 종계의 품종, 산란 연령 및 종란의 보관 기간이 발생 병아리의 강건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시험은 황갈색 재래종, 토착 로드아일랜드종 및 토착 레그혼종을 이용하여 산란 초기(27∼29주)와 산란 후기(50∼52주) 때 생산한 종란을 각각 3일, 7일 및 14일 보관 후 부화하여 발생한 병아리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항목으로는 부화 시간, 발생 후 병아리의 생산능력 및 장기 무게를 조사하였고, 병아리의 생리적 활성도 파악을 위하여 IL-6 유전자 발현율 및 텔로미어의 상대적 길이를 분석하였으며, 스트레스 반응 정도를 알기 위하여 HSP 유전자 발현율 및 H/L ratio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종계의 품종과 산란 시 연령이 발생 병아리의 강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종란의 보관 기간은 병아리의 강건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시된 토종닭 품종 중 토착 레그혼종 병아리가 가장 강건성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생존율이 저조하고 상대적으로 작은 심장을 가지며, 모든 생리활성지표가 낮고 스트레스 반응 지표들이 높았기 때문이다. 비록 산란 초기에 생산한 병아리들이 산란 후기에 생산한 병아리에 비해 생존율은 낮았지만, 생존 개체들의 생리활성지표가 높고, 스트레스 반응 지표들이 낮아 산란 후기 때 생산한 병아리에 비해 강건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강건성이 높은 병아리를 얻기 위해서는 강건성이 강한 품종을 선정하여야 하고, 산란 후기에 생산한 병아리의 이용은 가급적 피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breed, laying age, and egg storage period on the vitality of chicks using the Hwanggalsaek Jaeraejong, Korean Rhode Island Red, and Korean White Leghorn chicken breeds. Their eggs were collected during the early laying period (27∼29 weeks) and late laying period (50∼52 weeks) and were stored for 3 days, 7 days and 14 days. After the eggs hatched, the hatching time, production performance, and organ weight of chicks were investigated. IL-6 gene expression level and relative length of telomeres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the chicks. HSP gene expression level and heterophil to lymphocytes ratio were also analyzed to examine the degree of stress response in the chicks. The results showed that breed and laying age influenced the vitality of chicks, but the egg storage period did not. Korean Leghorn chicks were considered the weakest breed in terms of vitality owing to their low survival rate, small heart size, low physiological activity, and high stress response level. Although the survival rate of chicks produced in the early laying period was low, their high physiological activity and low stress response indicated that they had a high vitality than the chicks produced in the late laying period. In conclusion, to obtain chicks with high vitality, it would be desirable to select a high vitality breed and avoid the use of chicks produced in the late laying period.

      • 사범계열 음악교사 교육과정의 역사적 변천

        최은식 ( Choi Eunshik ),석문주 ( Seog Moon-joo ) 미래음악교육학회 2016 미래음악교육연구 Vol.1 No.1

        본 논문은 우리나라 사범계열 음악교사 교육과정의 연대별 변천을 역사적으로 고찰할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를 위하여 중등교원 양성 과정이 개설되어 있는 9개 사범대학의 7년대 이후 교육과정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하였다. 이 자료들에 대하여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의 범주를 중심으로 70년대 이후 주요한 변천을 분석한 결과 교과교육학 과목의 경우 첫째, 교과교육학 과목이 증가하였으며, 둘째, 음악 활동 영역별 과목이 확대되었고, 셋째, 국악교육 관련 과목이 확대되었으며, 넷째, 교과교육학 영역이 세분화 되었고, 다섯째, 시대의 변화를 반영한 과목의 나타났다. 교과내용학의 경우에는 첫째, 실기관련 과목의 변화가 거의 없었으며, 둘째, 국악관련 과목이 확대되었고, 셋째, 심화과목이 축소되었으며, 넷째, 학생의 관심과 흥미를 반영한 과목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historical changes of the curriculums for music teacher education in the schools of education in Korea. Curriculum data were collected from 9 universities which hold the department of music in the school of education.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wo big categories: (1) changes in music education-related subjects, and (2) changes in music-related subjec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s to the case of music education related subjects, (1) the number of music education related subjects has been increased; (2) the number of subjects for teaching music by musical activities has increased; (3) the number of subjects for teaching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increased; (4) music education related subjects have been subdivided; and (5) subjects for teaching new trends have appeared. As to the case of music-related subjects, (1) there have been almost no changes in subjects for performance; (2) the number of subjects on Korean traditional music have increased; (3) the number of in-depth music theories have decreased; and (4) there have appeared subjects which reflect interests of students.

      • 일본의 2008 개정 ‘학습지도요령’에 따른 교과서 분석

        최은식 ( Choi Eun Shik ),정재은 ( Jeong Jaeeun ) 미래음악교육학회 2017 미래음악교육연구 Vol.2 No.2

        교과서는 교실 수업에 있어서 사용되는 주된 교재이며, 교사들은 교과서를 통해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천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과서 개선을 위한 연구는 미흡하며 특히 교과서 자체의 질적 수준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든 것이 사실이다. 음악교과서에 있어서도 이와 같은 현상이 예외는 아니며, 2015 교육과정의 개정에 따른 교과서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현 시점에 다양한 음악교과서의 외형적인 체제와 내용적인 구성을 분석을 통한 시사점을 도출하여 새로운 교과서 내용에 대한 방향 설정을 위한 제안은 필요하다. 우리나라 음악교과서의 새로운 구성 체제 탐색을 위한 기초자료의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 본고에서는 일본의 음악교과서를 분석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우리나라 음악교과서의 구성과 편찬에 있어서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에 주목적을 두고자 한다. In the classroom, textbooks are the main materials and it’s importance cannot be ignored. Teachers use the textbooks as the tool of teaching and practice for students, though the restructure of those. Nevertheless, research for improving textbooks are insufficient, the research dealing with reforming the textbook’s quality can not be easily found. With the amendment of the 2015 Curriculum, new textbooks are developing and it is the right time to conduct study of analyzing textbooks and deducting implication from those. This study mainly focused on the analysis music textbooks in Japan. The music textbooks, ‘Onkakuno Okurimino’ for 2nd, 5th grade for elementary, and 2-3 grade for middle school, which are currently used at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japan was analysed. In order to analyze the textbooks, the standards of analysis and evaluation has to be set. For this study, gene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each grade, features of each activities, types of music, the way of organizing unit, methods of statement are used as the criteria. As the result of analysis, the suggestions is drawn as it follows. First, the linkage between curriculum and textbooks has to be more considered. Second, the characteristic of the way of organizing unit in japan centers on the musical theme. The discussion about the system and the way of organizing unit, and the links between each section has to be conducted from various angles. Third, the content and manner of traditional Korean music had to be reconsidered. The way of approaching to Japanese traditional music is various and unique. Despite of increasing Korean traditional music at the music textbooks, the approach and method for teaching is limited. The intensified approach to Korean tradition music is need. Fourth, the reading music has to be emphasized. In japan, reading music regards as the basic activities for music class, and music textbooks reflect on this tendency. In Korea, even if there are various Western music in music textbooks, the ability of reading music is overlooked. Finally, there are differences of the level of the learning content. In japan, every student begin the music education from the 1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But, in Korea, from the 3rd grade, music is included to the subjects of the elementary schoo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level of the music learning contents in japan is higher than in Korea, and this is the result of 2 years absence of music education. For improving music education in Korea, the inclusion of music subject from 1st grade has to be insisted.

      • KCI등재

        한국토종닭의 품종, 산란 연령 및 종란의 보관 기간이 부화 능력에 미치는 영향

        최은식(Eun Sik Choi),손시환(Sea Hwan Sohn) 한국가금학회 2020 韓國家禽學會誌 Vol.47 No.4

        본 연구는 종계의 품종, 산란 연령 및 종란의 보관 기간이 부화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자 한 것으로 한국토종닭인 재래황갈종, 토착레그혼종 및 토착로드종이 산란한 종란을 대상으로 산란 초기인 27∼29주령 때 수집한 종란과 산란 후기인 50∼52주령에 산란한 종란을 각각 3일, 7일 및 14일 보관 후 부화를 진행하였다. 조사 항목으로는 수정률, 부화율 및 배자발육중지율을 조사하고, 각 요인별 부화 성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종계의 품종, 산란 연령 및 종란의 보관 기간이 독립적으로 혹은 복합적으로 부화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계의 품종에 따른 비교에서 토착로드종의 부화 성적이 가장 저조하였는데, 특히 이들이 산란 초기에 생산한 종란에서 초기 배자 사망률이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산란 연령에 따른 부화 성적은 산란초기에 생산한 종란의 부화율이 산란 후기에 생산한 종란에 비해 높게 나타났는데, 초기 배자 사망률은 산란 초기의 종란에서, 후기 배자 사망률 및 사롱란의 비율은 산란 후기의 종란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종란의 보관 기간에 따른 부화 성적은 거의 대부분의 조사 항목에서 종란의 보관 기간이 길어질수록 부화 성적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우수한 부화 성적을 얻기 위해서는 품종에 따른 각기 다른 부화 관리가 필요하며, 산란 후기에 생산된 종란의 이용은 피하고 종란의 보관 기간은 7일 이내로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breed, laying age, and egg storage period on hatching performance. Eggs were collected from early laying period (27 to 29 weeks old) and late laying period (50 to 52 weeks old) in Hwanggalsaek Jaeraejong, Korean Rhode Island Red, and Korean White Leghorn chicken breeds. Eggs laid for each period were stored for 3, 7 and 14 days and then hatched. Fertility, hatchability, and embryonic mortality were observed to determine the hatching performance. The results showed that hatching performance was affected by breed, laying age, and egg storage period with independently or interactively. The Korean Rhode Island Red breed had the lowest hatching performance. Hatchability and early embryonic mortality rate increased in early laying period eggs compared to the late laying period, but the late embryonic mortality rate increased in late laying period eggs. Additionally, hatching performance decreased as the egg storage period increased. Using breed-specific hatching management techniques, avoiding late laying period eggs, and shortening the egg storage period to seven days after laying may improve the hatching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