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로자 기질에 따른 군집 유형과 시간관리, 삶의 질, 일과 삶의 균형의 관계

        최유승(Yuseung Choi),조예진(Yejin Cho),황예은(Yeeun Hwang),현명호(Myoung-Ho Hyun) 대한스트레스학회 2022 스트레스硏究 Vol.30 No.2

        본 연구는 기질에 따라 근로자 유형을 구분하고, 각 유형 별 시간관리행동과 삶의 질, 일과 삶의 균형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근로자 21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자료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질에 따라 근로자를 세 가지 군집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둘째, 각 군집은 시간관리행동, 삶의 질, 일과 삶의 균형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기질에 따라 업무 환경에서 심리적 적응이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근로자의 심리적 적응 및 업무 효율성을 증진하기 위해 기질 특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Background: Temperament plays an important role in adapting to different environ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temperament clusters, time management behavior, quality of life, and work-life balance. Methods: A total of 216 participants (male=56, female=160, mean age: 31.92 years) completed questionnaires measuring temperament, time management behavior, quality of life, and work-life balance. Results: Data from the study shows that temperamental profiles a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The profile of “Adaptive Solver” was associated with the most beneficial traits, and that of “Chronic Worrier” was associated with the most disadvantageous traits.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firm that temperaments are related to psychological adjustment. This study provides an implication for consider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intervention for psychological adaptation of workers.

      • KCI등재

        첨가재 종류 및 혼합 방법에 따른 순환골재를 사용한 기층재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임희섭 ( Lim Heeseob ),최유승 ( Choi Yuseung ),조형규 ( Cho Hyeongkyu ) 한국복합신소재구조학회 2023 복합신소재구조학회논문집 Vol.14 No.6

        도로 기층재로 사용되고 있는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경우 도로 포장의 90% 이상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수많은 폐콘크리트,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 골재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최근 탄소중립이 이슈가 되면서 아스팔트 콘크리트 산업에서도 이러한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 순환골재를 사용이 필수적인 시점이다. 또한 도로 기층재의 구조 안정성, 내구성, 경제성 등을 위해서 첨가제를 활용한 기층재 시공 기법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순환골재를 활용하고 폴리머 첨가제 종류 및 혼합 방법에 따른 도로 기층재의 물리적 특성을 평가하고 각각의 재료들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 첨가제를 혼입한 경우 30% 일축압축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분할 혼합 시 일괄 혼합한 경우에 비해 약 29% 압축강도 발현이 증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sphalt concrete, which is used as a road base material, accounts for >90% of a road pavement. A huge amount of waste concrete and waste asphalt concrete aggregates are generated. Recently, carbon neutrality is promoted across all industries for sustainability. Therefore,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in the asphalt concrete industry, waste asphalt concrete aggregates should be recycled. Additionally, road base materials are prepared using additives to ensure structural stability, durability, and economic efficiency. In this study, recycled asphalt concrete aggregates were used to evaluate the physical properties of road base materials according to the type of polymer additive and mixing method, and the applicability of road base each material was evaluated. Results showed that when the acrylate-based polymer additive was mixed, the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was 30% higher. Furthermore,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split mix was improved by ~29% compared to the total mix.

      • KCI등재

        재택근무 동안 기질과 우울 및 불안 간 관계에서 일-가정 갈등과 외로움의 병렬다중매개효과

        황예은(Yeeun Hwang),조예진(Yejin Cho),최유승(Yuseung Choi),현명호(Myoung-Ho Hyun) 대한스트레스학회 2022 스트레스硏究 Vol.30 No.2

        본 연구는 개인의 기질이 재택근무 속에서 일-가정 갈등과 외로움을 매개하여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최소 한 달 동안 주 1회 이상 재택근무를 하고 있는 근무자를 온라인으로 모집하여 자기보고식 질문을 실시하였고 PROCESS Macro를 통해 병렬다중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민첩성과 감각민감성은 재택근무 동안 일-가정 갈등과 외로움에 있어 보호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 집착성과 정서적 반응성은 일-가정 갈등과 외로움을 높여 부정적인 심리적 상태를 경험하게 하는 취약요인으로써 밝혀졌다. 이는 기질에 따라 재택근무 동안 부정적 경험 수준이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하며 근무자 기질을 고려하여 근무 환경을 이해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를 논의하였다. Background: As the number of people working from home has increased since the COVID-19 pandemic,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workers’ stress and psychological state while working from home. Work-family conflict and loneliness may be related to working from home, and they could be experienced differently depending on individual trait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parallel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and loneli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temperaments and negative emotion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online from people currently working from home for at least one month, more than once per week. They answered K-DASS-21, UCLA loneliness scale, Work-Family Conflict, and FCB-TI. Only four temperaments were used in the statistic step: Briskness and Sense sensitivity as protective factors and Perseveration and Emotional reactivity as vulnerable factors.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were analyzed independently by using the PROCESS macro. Results: Firstly, Briskness and Sense sensitivity were found to negatively affect depression and anxiety while working from home by significantly mediating work-family conflict and loneliness. Thus, these temperaments would be protective factors while working from home. Secondly, Perseveration and Emotional reactivity positively influenced both negative emotions by mediating two mediation variables, which means that both temperaments are vulnerable factors.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personality traits can impact how people experience stress and negative emotions in working situations, leading to negative psychological states. Consequently, personal temperaments would be important to understand relationships between environments and internal experi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