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Zone 1 미숙아망막병증에서 레이저 광응고술과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의 효과

        최원,허환,Won Choi,MD,Hwan Heo,MD 대한안과학회 2012 대한안과학회지 Vol.53 No.1

        Purpose: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laser photocoagulation and intravitreal injection of bevacizumab in zone I ROP (retinopathy of prematurity) accompanied with plus signs.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records of 12 eyes of 7 premature infants with zone I ROP accompanied with plus signs, treated with diode laser photocoagulation and intravitreal injection of bevacizumab that were followed- up for at least 12 months. Results: Mean gestational age was 30 + 2 weeks, mean birth weight was 1437 ± 478 g, mean follow-up period was 14.7 ± 2.0 months and mean age of diagnosis was 36 + 3 weeks. Plus signs were disappeared after an average of 10.1 ± 2.4 postoperative days in all 12 eyes. The outcome was favorable in 11 (91.7%) of 12 treated eyes after a minimum of 12 months of follow-up. No local or systemic complications were observed. Conclusions: Laser photocoagulation and intravitreal injection of bevacizumab are effective and safe for treatment of zone I ROP accompanied with plus signs and require long-term follow-up. J Korean Ophthalmol Soc 2012;53(1):120-126

      • KCI등재

        위상학적 하중 재분배 방법을 이용한 부정정 트러스 구조 해석

        최원,김한중,Choi, Won,Kim, Hanjoong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7 No.6

        Traditional structure analysis method is based on numerical matrix analysis to use the geometries consisting of the structure. The characteristics require a lot of computer memories and computational time. To avoid these weaknesses, new approach to analyze truss structure was suggested by adopting topological load redistribution method. The axial forces to be not structurely analyzed yet against outside loads were redistributed by using nodal equation of equilibrium randomly at each node without constructing global matrix. However, this method could not calculate the axial forces if structure is statically indeterminate due to degree of many indeterminacies. Therefore, to apply the method suggested in this research, all redundancies of truss structure were replaced by unit loads. Each unit load could make the deformation of a whole structure, and a superposition method was finally adopted to solve the simultaneous equations. The axial forces and deflections agreed with the result of commercial software within the relative error of 1 %, whereas in the case that the axial forces are relatively very smaller than others, the relative errors were increased to 2 %. However, as the values were small enough not to be considered, it was practically useful as a structural analysis model. This model will be used for structural analysis of truss type of large structure such as agricultural farming facility.

      • KCI등재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강인성의 매개효과

        최원아(Won-Ah Choi),김진영(Jin-Young Kim) 한국심리치료학회 2020 한국심리치료학회지 Vol.12 No.1

        본 연구는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강인성, 안녕감의 관계를 살펴보고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안녕감의 관계에서 강인 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5~6학년 467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 강인성 척 도, 안녕감 척도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적극적 대처방식과 사회지지 추구 적 대처방식은 몰입, 통제, 도전, 통합적 안녕감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소극·회피적 대처방식과 공격적 대처방식은 몰입, 통제, 통합적 안녕감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강인성의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적극적 대처방식, 사회지지 추구적 대처방식이 안녕감에 미치 는 영향에서 몰입, 통제, 도전이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몰입은 소극·회피적 대처방식과 안녕감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제는 소극·회피적 대처방식과 안녕감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격적 대처방식이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몰입과 통제가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전은 소극·회피적 대처방식, 공격적 대처방식과 안녕감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지 않는 것 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고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ardiness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tress coping and well-being. Participants consisted of 467 5th and 6th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They are asked to answer the three questionnaires: The Stress Coping Scale, the Hardiness Scale and Korean Well-Being Scale of Adolescent (K-WBSA).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ctive coping and social support seeking coping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mmitment, control, challenge, and overall well-being. Passive/avoidant coping and aggressive coping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commitment, control, and overall well-being. Second, the effects of hardiness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coping and well-being were significant. Lastly,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지반특성을 고려한 토사재해 예측 기법별 위험지 분석

        최원일(Wonil Choi),최은화(Eunhwa Choi),백승철(Seungcheol Baek)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7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8 No.12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 토사재해 예비중점관리 대상지역 중 총 6개 연구지역(춘천, 성남, 세종, 대전, 미량, 부산)을 선정하여 토사재해 위험지 예측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모델은 현재 토사재해 위험지 예측에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존 모델(SINMAP, TRIGRS)과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프로그램(LSMAP)을 활용하였으며, 결과 비교분석을 통해 개발모델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토사재해 위험지 예측에 사용되는 매개변수는 크게 지형특성, 토질특성, 임상특성, 강우특성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모델에 따른 토사재해 위험지 예측 분석 결과 LSMAP 및 TRIGRS에 비해 SINMAP을 이용한 분석은 대체로 위험지를 광범위하게 예측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모델별 적용되는 분석 매개변수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임상특성을 고려한 LSMAP은 TRIGRS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예측 위험지 기준 -0.04~2.72%의 범위 내로 유사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산지에 분포하는 임상 정보가 비탈면 안정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토사재해 위험지 예측에 중요한 매개변수임을 알 수 있다. In this study, a predic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sediment disaster hazard area by selecting six research areas (Chuncheon, Seongnam, Sejong, Daejeon, Miryang and Busan) among the urban sediment disaster preliminary focus management area. The models that were used in the analysis were the existing models (SINMAP and TRIGRS) that are commonly used in predicting sediment disasters as well as the program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LSMAP). A compar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 results as a means to review the applicability of the developed model. The parameters used in the predictions of sediment disaster hazard area were largely classified into topographic, soil, forest physiognomy and rainfall characteristics. A predic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each of the models, and it was found that the analysis using SINMAP, compared to LSMAP and TRIGRS, resulted in a prediction of a wider hazard zone. These results are considered to be due to the difference in analysis parameters applied to each model. In addition, a comparison between LSMAP, where the forest physiognomy characteristics were taken into account, and TRIGRS showed that similar tendencies were observed within a range of -0.04~2.72% for the predicted hazard area. This suggests that the forest physiognomy characteristics of mountain areas have diverse impacts on the stability of slopes, and serve as an important parameter in predicting sediment disaster hazard area.

      • KCI등재

        지반특성에 따른 토사재해 해석 모델 비교

        최원일(Wonil Choi),백승철(Seungcheol Baek)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7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8 No.6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 토사재해 예비중점관리 대상지역 중 충주시 안림동, 대전광역시 부사동, 안동시 신안동 3개 연구지역을 선정하여 지반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지역별 특성(수관밀도, 뿌리점착력, 강우특성, 토질특성)을 이용하여 지반특성 간의 상관관계를 고찰하고, 토사재해 예측 모델링을 통해 위험지역을 예측하였다. 토사재해 위험지 예측 모델의 비교・분석을 위하여 산지토사재해 예측프로그램(LSMAP), Stability Index MAPping(SINMAP), 산림청의 산사태위험지도(LHMAP)를 활용하였으며, 토사재해 예측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검토하였다. 토사재해 위험도 예측결과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SINMAP의 경우 과다한 범위를 위험지역으로 예측하고, 산림청 산사태위험지도(LHMAP)의 경우는 예측지역이 가장 적게 산정되었으며, LSMAP은 SINMAP 및 LHMAP의 중간 정도 범위의 지역을 위험지역으로 예측하였다. 이러한 예측 결과의 차이는 LSMAP이 비교된 두 모델에 비해 분석매개변수가 비교적 다양하고, 공학적이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며 보다 정밀한 예측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ground characteristics region by designating 3 research areas, Anrim-dong in Chungju City, Busa-dong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Sinan-dong in Andong City out of the areas subject to concentrated management to prepare for sediment disaster in downtown areas. The correlation between ground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by using characteristics (crown density, root cohesion, rainfall characteristics, soil characteristics) and the risk areas were predicted through sediment disaster prediction modeling. Landslide MAPping (LSMAP), Stability Index MAPping (SINMAP) and Landslide Hazard MAP (LHMAP) were used for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hazard prediction model for sediment disaster. As a result of predicting the sediment disaster danger, in case of SINMAP which was generally used, excessive range was predicted as a hazardous area and in case of the Korea Forest Service’s landslide hazard map (LHMAP), the smallest prediction area was assessed. LSMAP predicted a medium range of SINMAP and LHMAP as hazardous area. The difference of the prediction results is that the analysis parameters of LSMAP is more diverse and engineering than two comparative models, and it is found that more precise prediction is poss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