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설현장 품질관리 자동화 시스템의 생산성 분석에 관한 연구

        최영준,오현철,백기현,김석,Choi, Yeongjun,Oh, Hyunchul,Baek, Kihyun,Kim, Seok 한국건설관리학회 2024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25 No.3

        엑셀 기반의 서류 작성, 결재, 품질 시험을 수행하는 건설현장의 품질관리업무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 엑셀 기반의 업무는 품질시험성적서 양식 인쇄, 품질시험 수행, 시험성적서 작성 및 결재, 관리대장 작성으로 구성된다. 이렇듯 분리된 품질관리 프로세스는 업무 소요시간과 효율성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품질관리업무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클라우드 기반의 건설현장 품질관리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현장 도입 초기 단계인 품질관리시스템의 생산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건설현장 품질관리시스템을 도로 건설현장에 도입하고, 도입 전·후의 품질관리업무 프로세스 변화를 면밀히 분석했다. 또한 품질관리자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품질관리시스템 도입 전·후의 업무 시간 데이터를 수집했다. 수집한 데이터에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방법론을 적용하여 건설현장 품질관리시스템의 생산성 향상 효과를 분석하고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품질관리 업무 자동화를 위한 후속 연구들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Quality management work at construction sites demands substantial time and effort, involving the preparation of documents in Excel, approval processes, and the execution of quality tests. These Excel-based tasks include printing quality test reports, performing quality tests, generating and approving test reports, and preparing management ledgers. This division of processes extends the duration of work and diminishes efficiency. Accordingly, a cloud-based construction site quality management system was developed to enhance the productivity of quality management 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ductivity of the construction site quality management system, which is in the early stages of implementation at construction sites. This study implemented the construction site quality management system at a road construction site and scrutinized subsequent alterations in the quality management workflow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Additionally,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quality control engineers to collect data on work time both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construction site qual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Monte-Carlo simulation method was applied to analyze the productivity improvement effect of the construction site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the results were pres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future research endeavors focused on the automation of quality management works.

      • 모형실험을 이용한 벼재배 과정에서 온실가스 발생특성 고찰

        최영준 ( Yeongjun Choi ),박지하 ( Jiha Park ),하수민 ( Sumin Ha ),임건휘 ( Geonhwi Lim ),유찬 ( Chan Yu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해 지구의 연평균 기온이 상승하고 있는데, 이에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주요 온실가스에는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온실가스 중에서도 특히 장기체류 온실가스(Long-lived greenhouse gases, LLGHGs)인 메탄(CH4)은 이산화탄소(CO2) 보다 약 15~34배 강하게 온난화에 영향을 주는 기체이다. 1800년대 산업화 이후부터 대기 중 메탄가스 농도는 꾸준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며, 산업화 이전 722 ppb 대비해서 2020년 1,879ppb로 260% 증가하는 결과도 발표된 바 있어 CH4의 증가량은 다른 온실가스에 비해 매우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Butler and Montzka, 2020; WMO, 2020). 그런데 CH4의 발생은 산업화 외에도 농업과 축산분야에서 미치는 영향이 큰데, 특히 논에서 연간 약 60Tg의 CH4가 배출되어 지구 전체 CH4 배출량의 5~3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o et al., 1998). 우리나라도 논에서 벼를 재배하는 나라로서 벼를 재배하는 기간에 발생하는 CH4의 발생현황과 감축과 관련된 대책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 본 발표에서는 아크릴로 토조를 제작하여 LED 조명으로 일사량을 조절하고, PVC필름으로 커튼을 설치하여 내부 공기의 순환을 조절할 수 있는 챔버(chamber)를 제작하여, 실제로 벼를 재배하면서 온실가스, 특히 메탄의 발생특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고찰하였다. 벼의 생장으로 인한 가스 변화와 Chamber 내의 환경을 파악하기 위해 가스 측정기(CH₄, CO₂, O₂), 조도계, Eh-측정기, pH meter, 온ㆍ습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HFP (Heat Flux Per square meter), 수분장력계(Tensiometer), 토양온도계, 체적함수비(Volumetric Water Content)를 측정하였다. 온실가스 농도, 조도, pH, Eh는 일일 2회 측정하였으며, 다른 자료는 자동수집 장치를 설치하여 24시간 기록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주 1회 벼의 생장길이를 측정하였다.

      • KCI등재

        대학교수자의 플립드러닝 수업 운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지은 ( Choi Jieun ),김필성 ( Kim Pilseong ),윤마병 ( Yoon Mabyeong ),김수진 ( Kim Sujin ),최영준 ( Choi Yeongju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3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육에서 교수자의 플립드러닝 수업 운영 경험을 내러티브 탐구 방법으로 이해함으로써 시사점을 발견하고자 했다. 최근 대학교육에서 플립드러닝 교육방법이 PBL, TBL 등과 함께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에 효과성 및 수업 설계, 전략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나, 교수자가 수업을 변화시키는 것은 결국 교수자의 몫이기 때문에 교수자의 수업 운영 경험에 대한 탐구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J대학교에서 플립드러닝강좌 운영의 우수교원으로 선정된 3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겪은 고민과 문제, 갈등, 해결 전략 등을 내러티브 탐구방법으로 이해하고자 했으며, 이를 세 교수자의 플립드러닝 수업 운영의 내러티브로 구성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성공적인 플립드러닝 수업 운영을 위해 학생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며, 사전학습과 수업 학습 간대립 및 가르칠 지식과 학습자 활동 간 대립의 극복을 위한 전략을 구상해야 하고, 기대하는 학습성과 및 바람직한 학습활동 방법을 고려한 플립드러닝 수업 운영 구조를 고안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플립드러닝 방법을 활용하는 교수자나 이를 지원하는 교수학습센터 등 기관이 고려해야 할 시사점에 대해 논의했다. This study aimed to find implications by understanding professors’ experiences in the operation of flipped learning class in university education through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In the recent university education, the flipped learning educational method is widely used together with PBL and TBL. Thus,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on its effectiveness, class design, and strategies. However, the changes in class eventually depend on the professors’ decision, so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research the professors’ experiences in their class operation. Selecting three professors, including a professor selected as an excellent teacher of flipped learning course in J university,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ir concerns, problems, conflicts, and resolution strategies through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In the results, those three professors discussed the necessity to establish the strategies to compose the narrative for the operation of flipped learning class, to make their students empathize with the necessity of changes in class, and to overcome the conflicts between pre-class and in-class, and between knowledge to teach and learners’ activities, and also the necessity to design the flipped learning class operating structure considering the desirable learning activity methods and students’ results expected by professors. Based on this, this study discussed the implications for the faculty who utilize the flip learning method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center that supports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