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 그림책 「안돼, 데이빗!」에서 그려진 데이빗의 엄마에 대한 탐구

        최연철(Choi Younchul)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에서는 「안돼, 데이빗!(Shannon, 1998)」에 등장하는 데이빗의 엄마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데이빗의 엄마는 그림책을 통 털어서 고작 2번 등장하지만, “안돼!”라는 말을 통해 항상 데이빗과 함께 하고 있다. 그러나 데이빗 엄마는 항상 데이빗과 함께 있으면서도, 한편으로는 부재하고 있으며, 자잘한 일상사에 파묻혀서 그 존재조차 희미할 뿐이다. 데이빗 엄마는 데이빗이 저지를 잘못에 대해서라면 무엇이든 미리 알고 있는 감사자로서의 역할과 데이빗의 잘못된 행동을 고쳐주는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는 교정자로서의 역할에 충실한 엄마이다. 또한 하루 종일 야단만 치다가도 잠자리에서만큼은 사랑한다면 안아주는 일관되지 못한 양육자이기도 한다. 하지만, 데이빗 엄마는, 남모를 스트레스의 희생자일수도 있으며, 오히려 도움을 필요로 하는 존재일 수도 있다는 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This study used content analysis to explore David depicted in the children's picture books, No, David! by David Shannon. David's mom is shown in the picture book only twice. However she is always with David yelling, "No, David!" David's mom appears on the scene only when David makes trouble. She does not neglect watching David and always keeps an eye on David's every movement. Also David's mom lacks consistency while rearing David. She may have every negative aspect of "bad" mother, but she is the one who tries to break David's bad habits and devotes herself to David's education. She is under so much stress resulting from David's misbehavior and she is the one who needs help from the family. The myth of 'motherhood' should be reconsidered.

      • KCI등재

        사진을 활용한 유아교육연구방법 모색

        최연철(Younchul Choi)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0 No.4

        최근 들어, 유아교육연구는 그 주제나 연구방법 면에서 다원화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더불어 질적 접근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의 새로운 연구방법이라고 볼 수 있는, 사진을 활용한 연구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특히 사진을 보충적인 연구 자료로 활용하던 방법에서 벗어나, 적극적인 의미로, 그리고 주요 분석 자료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모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사진의 상위 개념인 시각적 이미지에 대한 여러 가지 관점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사진의 해석과 관련된 다양한 관점들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시각적 이미지에 기반한 연구의 역사와 유아교육학과 교육학 분야에서 사진을 활용한 시각적 이미지 연구의 예에 대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육연구에서 사진을 활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안에 대해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육연구의 다원화에 기여하는 바가 클 것이라고 판단되며, 유아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며, 궁극적으로는 연구결과의 최종적인 수혜자인 유아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This study discusses the ways in which photography is used as a research method for qualitative Inquir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a review of the research literature in anthropology, sociology, and education, various perspectives regarding visual images and photography are discussed. Also the history of image-based research in the educational research and other academic field is reviewed. Finally, several ways of using photography as a research method, such as historical context analysis, description and/or explanation of young children's activities, experiences, even feelings, and tools of interview, are proposed, Using photography as an alternative inquiry method has many advantages to listen to young children's voice, though it has some limitations.

      • KCI등재

        유아 대상 실험 연구에 있어서 생태학적 타당도에 대한 고찰

        최연철(Choi Younchul)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7 No.3

        본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실험 연구에서의 생태학적 타당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설계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검색한 26편의 석사학위논문에 대하여 6개 하위 항목(실험 환경의 자연스러움의 정도, 연구자와 유아들 간의 래포 형성 정도, 실험 실시 과정의 자연스러움의 정도, 실험 과제의 자연스러움의 정도, 실험 실시기간의 적절함, 교사 대 유아의 비율) 별로 생태학적 타당도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분석 대상 석사학위 논문의 생태학적 타당도는 6개의 하위 항목 모두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함께, 유아 연구에 있어서 생태학적 타당도의 중요성과 객관적인 생태학적 타당도 평가척도 제작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Ecological validity has typically been taken to refer to whether or not one can generalize from observed behavior In the laboratory to natural behavior In the world(Schmuckler, 2001). As Bronfenbrenner(1979) discussed, ensuring ecological validity is very important, especially, in the experimental research for young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ecological validity of the experimental research for young children. The six dimensions of ecological validity for twenty-two Master's thesis were examined and evalu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overall, ecological validity of twenty-two Master's thesis was appropriate. This study suggested that a measure with reliability and validity is needed to evaluate ecological validity of the experimental research. Moreover operational definition of ecological validity should be clearly defined to measure the ecological validity.

      • KCI등재

        유아가 찍은 사진에 귀 기울이기

        최연철(Younchul Choi)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이 사진을 찍는 맥락과 찍은 사진에 대해 나눈 이야기에 귀 기울이는 과정을 통해서, 사진이라는 미디어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유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았다. 한 유아가 순번에 따라 돌아가면서 사진을 찍었으며 자유선택활동시간이 끝난 다음에는 프로젝션 TV를 통해 사진을 감상하면서 이야기를 나누는 과정을 반복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진기를 손에 든 유아에게는 사진을 찍을 대상을 선정하고 그 대상을 통제할 수 있는 힘이 있었다(사진은 권력이다). 둘째, 사진과 관련된 각자의 경험과 사진을 찍을 때의 맥락은 유아들의 자극과 호기심을 자극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했다(사진은 자극이다). 셋째, 사진은 확고한 증거로서의 기능을 수행했으며 사진이 아니었다면 관찰할 수 없었던 것을 보여주었다(사진은 증거다). 넷째, 사진으로 보는 것과 실제 사물이 다르게 보이는 경우는 많이 있었는데, 이유가 이해되는 경우도 있었지만, 마술로 남아있는 경우도 있었다(사진은 왜곡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isten to children's stories about their own photographs. Twenty three children of 4 to 5-year-old age participated in this study. During the free play time, children were expected to take pictures in turn every day. Also after the free play time, a teacher and children shared their ideas and feelings while watching photographs on TV. While listening to children's stories, the researcher noticed that photographs can be used in various ways to understand children's thought and feelings.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1) photographs are ‘power’; (2) photographs are ‘stimulation’; (3) photographs are ‘evidence’; and (4) photographs are ‘distortion.’

      • KCI등재

        일반화가능도 이론 적용 가능성 탐색을 위한 유아 자기통제력 평가도구의 신뢰도와 오차요인 분석

        최연철(Younchul Choi),김경철(Kyung-Chul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11

        본 연구는 유아 자기통제력 평가도구의 신뢰도와 오차에 대한 분석을 통해 유아 자기통제력 평가도구뿐만 아니라 유아를 대상으로 한 평가도구를 활용할 때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만5세 16학급 259명의 담임교사 16명과 어머니가 유아의 자기통제력을 평가한 자료이다. Kendall과 Wilcox[1]가 개발한 자기통제력 평가도구 검사 결과를 활용하여 평가자, 평가문항, 평가대상 유아, 검사도구 그리고 각 요인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각의 분산추정치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유아 자기통제력 평가의 경우 유아 각자의 자기통제력 차이가 평가결과에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평가자 오차변인의 경우, 분산성분이 전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아 부모와 교사의 평가결과가 일치하고 있으며 따라서 부모를 평가자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검사도구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일부 하위 요인 문항의 경우 오차변인의 비율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 자기통제력 평가도구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에 대한 탐색을 통해 평가도구의 제작 및 활용 시 적용할 수 있는 정보를 마련해줄 수 있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의가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rror sources and effects of each error source in self-control assessment of young children. The self-control of 259 five-year-old children was assessed using the Self-Control Rating Scale(SCRS) developed by Kendall and Wilcox[1]. The evaluation results were analyzed using G study of generalizability theory. The results of G study shows that parents can be effective evaluators for the self-control assessment of young children. The strategies to reduce the effects of error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후보

        남자 유아 교사로 살아가기

        최연철(Choi Younchul)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8 No.3

        본 연구에서는 현실적으로 여성이 다수인 유아교육분야에 들어선 남자유아교사가 실제로 어떠한 경험을 하고 있는지 또한 이들의 경험에 담겨있는 의미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면담에 의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와 유아교사단계를 거치면서 어려움을 겪었던 경우가 많았다. 성(性)문제와 관련해서 특별히 부정적인 경험은 없었으나, 이는 발생 가능한 문제에 대해서 사전에 충분히 대비를 했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남자유아교사의 필요성에 관해서는 모두 인정하였지만 보다 많은 남자기 유아교육분야에 들어오기 위해서는 경제적인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는 점에 의견이 모아졌다. Male teachers comprise only 2% of th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study details interviews conducted with the six male teachers regarding their difficulties and barriers to live as a teacher in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 dominated by the female teachers in number. Also several stereotypes or other concerns were noted, including experiencing sexual harassment and being wary of accusations of child molestation. The findings indicated that respondents thought that salaries were inadequate to recruit males to or retain males in early childhood positions.

      • KCI등재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유아 창의인성 교육 방안 연구

        최현주 ( Choi Hyunju ),최연철 ( Choi Younchul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유아 창의인성 교육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유아+창의성`, `유아+인성`, `유아+창의성+인성`를 검색어로 하여 온라인 텍스트 데이터 약290MB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1차와 2차의 정제 과정을 거쳐 단어빈도를 바탕으로 주요단어 50개를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주요단어는 매트릭스 데이터로 변환하여 사회연결망분석(네트워크 유의성 검정, 중심성-연결정도, 근접,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유아 창의성과 유아 인성은 공통적으로 `교육`과 `프로그램`에 많은 관련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 창의성` 관련 데이터에서는 인성이 주요 데이터에 포함되었지만 `유아 인성` 관련데이터에서는 창의성이 주요 단어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 창의인성` 관련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사회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사회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유아 창의성과 유아 인성은 모두 교육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이와 함께 관련 교육 프로그램, 교육 환경, 교육 방법 등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easures to connect children`s creativity and character for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based on big data. To achieve this aim, an online, search using the keywords `creativity + young children,` `character + young children,` and `creativity + character + young children` keywords was done by the author that resulted in 290 MB of data collected.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words, 50 words were selected after the first and second filtering processes, which were converted to matrix data, and social network analyse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children`s creativity, and character, which are being socially recognized, have a common relation with `education` and `program.` In addition, data related to `creativity + young children` showed that character was frequently found in a major portion of the data while data related to `character + young children` did not include creativity. Finally, the analysis of `creativity + character + young children` data indicated that there have been great interests and attention in `sociality.` It also showed that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character, which are being socially recognized, have close relation with education, and people`s interests have been in education programs,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instructional methods.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중심 문식성 활동 실천 경험

        김수선(Kim, SooSeon),최연철(Choi, Younchu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7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해 유아와 함께 만들어가는 문식성 활동을 실천하고, 그 경험을 탐색한 질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연구자와 만 4, 5세 혼합연령 P반 방과후 과정 유아 12명이다. 2019년 8월 5일부터 2019년 11월 22일까지, 16주 동안 연구를 실행하였다. 연구기간동안 연구자는 참여 관찰을 하였고, 동영상 녹화, 사진, 성찰일지, 관찰 일지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유아중심 문식성 활동의 계획 과정을 담은 ‘변화가 시작되다’와 계획 후 실천과정을 분석한 ‘함께 실천하다’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첫째, ‘변화가 시작되다’에서는 교사가 유아중심 문식성 교육의 필요성을 느끼고 유아와 함께 문식성 활동을 계획하는 과정에 대해 분석하였다. 둘째, ‘함께 실천하다’에서는 유아와 함께 문식성 활동을 실천하는 과정에 대해 분석하였다. 통합적으로 이루어진 문식성 활동을 통해, 유아는 읽기와 쓰기를 즐기게 되었고 자연스럽게 읽고 쓰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in practicing child-centered literacy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Twelve children aged 4-5 years old in a mixed-age classroom and a teacher as a researcher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eriod of study was a total of 16 weeks from August 5 to November 22, 2019. During the study, a variety of data including video and voice recording, photographs, transcribed records, observed records and researcher reflexive journal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The first part, “The change begins” was about the planning process of child-centered literacy activities. The second category, “Practice together” was dealing with the practicing process of child-centered literacy activiti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enjoyed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Also their language abilities were enhanced while experiencing integrated literacy activities.

      • KCI등재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활동방법에 나타난 창의인성요소 분석

        최현주(Hyunjoo, Choi),최연철(Younchul, Choi)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8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창의인성요소를 분석해 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창의인성요소의 전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각 생활주제별, 활동유형별, 활동영역별 창의인성요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문제에 관심갖기’ 영역, ‘탐구능력’ 세부영역, ‘집중력’ 핵심내용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활주제별 창의인성요소를 분석한 결과 유치원과 친구, 우리동네, 생활도구는 ‘도덕성에 기초한 비판적 사고’ 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생활주제는 ‘집중력’ 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활동유형별 창의인성요소를 분석한 결과 자유선택활동, 대소집단활동은 ‘집중력’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바깥놀이활동은 ‘자기주도성’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활동영역별 창의인성요소를 분석한 결과 언어, 수․조작, 이야기나누기, 동화, 동시, 음악, 신체, 요리 영역은 ‘집중력’ 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역할, 동극 영역은 ‘자율적 문제해결’, 과학 영역은 ‘도덕성에 기초한 분석적 사고’, 게임과 바깥놀이 영역은 ‘도덕성에 기초한 비판적 사고’ 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효과적인 유아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exercised in curr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by analyzing creativity-character elements presented in the activity method of teacher’s manual for 5 year old Nuri curriculum. For that purpose, the frequencies and the percentages of creativity- character elements were derived from teacher’s manual for 5 year old Nuri curriculum and analyzed by daily subject, activity type and activity domain. As a result, ‘Show interests in problems’, ‘Inquiry ability’ and ‘Attentive attitude’ elements were most frequently presented. Secondly, ‘Critical thinking based on morality’ element was most frequently found in daily subjects like Kindergarten and Friends, Our Neighborhood, and Appliances while ‘Attentive Attitude’ was most frequently found in the other daily subjects. Thirdly, Optional Activity and Big·Small-group Activity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for Attentive Attitude while Outdoor Activity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for ‘Active participation for problem-solving’ element. Lastly, Language, Number・Operation, Conversing, Children’s Story, Children’s Poem, Music, Physical and Cooking domain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Attentive attitude’ element while Role and Juvenile Drama domains showed ‘Autonomous problem-solving’, Science domain showed ‘Analytic thinking based on morality’ and Game and Outdoor Activity domains showed ‘Critical thinking based on morality’ as the most frequently presented elements. The results above are expected to be important base data to explore measures for effective young children’s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유치원 전문적학습공동체에서의 만남 과정 탐색

        김가윤(Kim, gayun),최연철(Choi, younchu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5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들의 전문적학습공동체 만남 과정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유치원 교사들의 전문적학습공동체 만남 과정은 어떠한가?’로 설정하였다. 방법 선정된 연구참여자는 연구자를 포함한 4명의 공립유치원 교사이다. 연구 기간은 2020년 11월 8일부터 2021년 4월 3일까지였고, 모임은 주 1회 2시간 이상 ZOOM을 통해 22회 이루어졌다. 자료는 만남 시 영상, 사진, 음성 기록을 수집한 후 연구일지와 개인 면담내용을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들은 전문적학습공동체에서 만남으로 연결되어 서로의 같음과 다름에 대해 알게 되었다. 둘째, 유치원 교사들은 전문적학습공동체에서의 만남을 통해 서로가 다르지만 같아서 함께할 수 있음을 깨닫게 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사람 간 갈등이 ‘다름’에서 시작됨을 보여준다. 하지만 다름은 ‘같음’을 찾는 노력이기도 했다. 연구참여자들은 ‘같음과 다름’이 서로를 전제하듯 인간인 우리도 서로 의지하며 살아갈 수밖에 없는 유기체적 존재임을 알게 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같음과 다름’이 서로 ‘함께’할 때 가치 있음을 일깨우며 사람과 사람이 함께 만나려는 의지 즉, 실천을 통해서만 풍요로운 세계와 연결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cess of meeting kindergarten teachers with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ccordingly, the research question was set as ‘What is the process of kindergarten teachers meeting with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Methods The selected research participants are four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including the researcher. The study period was from November 8, 2020 to April 3, 2021, and meetings were held 22 times through ZOOM for 2 hours or more once a week. For data, video, photos, and audio records were collected during the meeting, and the research journal and personal interview contents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kindergarten teachers knew each other 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rough encounters in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Second, kindergarten teachers practiced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nd came to realize that they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they are the same and can work together. Conclusions This meeting shows that conflicts between people begin with ‘difference’. However, the difference was also an effort to find ‘sameness’. Kindergarten teachers experienced that just as ‘the same and different’ presupposes each other, we as human beings are organic beings that have no choice but to depend on each other. This study reminds us that the sameness and difference are valuable when they are “together with” and suggests that people can connect with a world of abundance only through their will to meet, that is, through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