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증권거래소와 코스닥시장의 동태적 균형관계에 관한 연구

        기현희(Ki Hyun He),최승은(Choe Seung Eun) 한국국제회계학회 2004 국제회계연구 Vol.10 No.-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증권거래소시장과 코스닥시장이 장기적인 균형관계를 갖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증권거래소와 코스닥시장 전체보다는 금융업종을 선택하여 보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의 대표적 증권시장인 거래소시장과 코스닥 시장의 금융업종이 장기적인 균형을 이루며 비슷한 움직임을 보이는지 확인하기 위한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KOSPI 금융업지수와 KOSDAQ 금융업지수의 개별시계열은 단위근을 갖는 불안정한 시계열이지만, 이를 1차 차분한 시계열은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적분검정 결과 KOSPI 금융업지수와 KOSDAQ 금융업지수 사이에는 1개의 공적분회귀식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장기적인 균형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인과검정 결과 KOSPI 금융업지수는 KOSDAQ 금융업지수를 인과하는 것으로 나타나 KOSPI 금융업지수가 KOSDAQ 금융업지수를 선행한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오차수정모형 결과KOSDAQ 금융업지수를 설명하는 오차수정항만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으므로 주로 KOSDAQ시장을 통해 단기적인 불균형이 조정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KOSPI 금융업지수와 KOSDAQ 금융업지수 사이에는 인과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examined there exist dynamic equilibrium and similar movement between KOSPI and KOSDAQ financial business market in long-ter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summarized as follows. KOSPI financial business index and KOSDAQ financial business index series examined are all I(1). The Johansen test is next performed to detect cointegration between the KOSPI and KOSDAQ financial business index. The results uniformly suggest KOSPI and KOSDAQ financial business index are co integration. Second, we found there exists 1 cointegration regression between KOSPI and KOSDAQ financial business index by co integration test. Therefore there are dynamic equilibrium relationship. We cannot reject the hypothesis that KOSDAQ financial business index does not Granger cause KOSPI financial business index but we do reject the hypothesis that KOSPI financial business index does not Granger cause KOSDAQ financial business index. Therefore it appears that Granger causality runs one-way from KOSPI financial business index to KOSDAQ financial business index and not the other way. Error correction model showed significance in only error correction for KOSDAQ financial business index. And control equilibrium through KOSDAQ market in short-term. And There not exist causality(causal sequence) relationship between KOSPI and KOSDAQ financial business index.

      • KCI등재

        기업의 시설투자 공시가 주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기현희(Ki Hyun Hee),최승은(Choe Seung Eun) 한국국제회계학회 2006 국제회계연구 Vol.0 No.15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05년 사이의 기업의 시설투자공시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설투자결정이 증권시장에 전달된 시점(공시일)을 전후한 주가의 움직임을 조사하는 사건연구(event study)의 형태로 공시일 전후 각 -10일에서 +10일간의 시설투자공시가 주식의 비정상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비정상수익률을 설명하기 위하여 기존 이론에서 제시한 몇몇의 변수를 선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기업은 2001년부터 2005년 사이 시설투자공시로 인해 비정상초과수익률을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시 전 10일 비정상수익률은 유의수준 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공시 전 2일과 공시 후 2,3,4일에는 유의수준 1%에서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시설투자공시는 경영자가 기업의 미래 수익력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 좋은 투자안을 가지고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다중회귀분석결과, 초과수익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부채비율과 투자규모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abnormal stock returns associated with announcements of corporate capital investment and to find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abnormal stock returns. The findings of empirical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re are abnormal stock returns with announcement of corporate capital investment from 2001 to 2005. 10day before announcemen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0.05 level. Also 2day before and 2, 3. 4day after announcement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0.1 level. This evidence implies that corporate investment announcement is regarded as favorable to the evaluation of firm value by investor. Second, the empirical results of regression run reveal debit ratio and investment size affect to abnormal stock returns. Debit ratio has positive sign, investment size has negative sign and coefficient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0.1 level.

      • KCI등재
      • KCI등재

        회계발생액이 주식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현희(Ki, Hyun Hee),최승은(Choe, Seung Eun) 한국경영교육학회 2009 경영교육연구 Vol.54 No.-

        본 연구는 주식시장에서 투자자들이 이익의 질을 평가하여 의사결정을 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익의 질에 대한 측정치로는 Francis 등(2005)의 모형에 의한 회계발생액을 이용하였으며 분석기간은 2003∼2006년으로 대상은 거래소와 코스닥에 상장된 제조업종의 전체기업으로 하였고 이를 다시 이익기업과 손실기업으로 구분하였다. 이익기업과 손실기업으로 구분한 이유는 영업실적(손익계산서상의 당기순이익의 기업을 이익기업, 당기순손실의 기업을 손실기업)에 따라 상대적으로 회계발생액에 대한 반응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분석결과를 보면 첫째, 코스닥과 거래소시장 모두에서 회계발생액은 주식수익률에 양의 부호를 가진다. 이는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회계발생액은 이러한 발생액이 이익조정에 의한 것이든 상관없이 주식수익률에 양으로 반응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투자자들은 이러한 발생액 즉 이익의 질에 대해 구체적으로 분석할 능력이 없거나 혹은 이익의 질이 주가에 반영되지 않는다고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이익기업과 손실기업에서 회계발생액이 주식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는 거래소와 코스닥 모두 양의 계수값으로 거래소는 이익기업, 코스닥은 손실기업에서 각각 1%와 10%에서 유의하였다. 또한 거래소는 이익기업과 손실기업의 회계발생액계수의 크기가 비슷하였으나 코스닥의 경우는 손실기업이 더 크게 반응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empirically whether accounting accruals has an effect on stock returns, companies were categorized into Korea Stock Exchange and KOSDAQ, and they were subcategorized into profit or loss firms. Th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manufacturing during 2003~2006 listed manufacturing firms in Korea Stock Exchange and KOSDAQ. And this study used accruals quality estimated by Francis et al.(2005)'s model.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unting accruals have positive sign on stock returns in Korea Stock Exchange and KOSDAQ. Second, accounting accruals have positive sign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entire firm and profit firm in Korea Stock Exchange and loss firm in KOSDAQ. And coefficient size is similarly Korea Stock Exchange but loss firm is big than profit firm in KOSDAQ. This means the lower accruals quality, the higher stock returns will become in loss firms in KOSDAQ.

      • KCI등재후보

        학술연구 : 국내 창업투자회사의 생산성 분석

        홍봉영 ( Hong Bong Yeong ),기현희 ( Gi Hyeon Hui ),최승은 ( Choe Seung Eun ) 한국중소기업학회 2003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Vol.6 No.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iciency and the changes in productivity of the venture capital industry after 1999 by employ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The productivity changes will be decomposed into three components such as pure efficiency change, scale efficiency change and technological change. The efficiency is declined continuously from 1999 to 2002, but the venture capital industry for 2002 experienced increase in the productivity, which can be mainly attributed to the scale efficiency change including the technical 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