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실내벽면녹화 공간의 생육환경 변화에 따른 식물 색채변화분석 -서울시 신청사 에코프라자 벽면녹화를 기준으로-

        최스란 ( Sue Ran Choi ),김유선 ( Yoo Sun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9 No.4

        (연구배경 및 목적)실내공간에 식물을 도입하여 녹지공간을 만드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에코프라자 벽면녹화는 식물 본연의 색을 이용하여 색채계획 디자인된 벽면녹화 공간으로 디자인적인 측면을 강조한 만큼 식재된 식물 색채 디자인이 잘 유지되도록 그 공간의 식물의 생육상태 현황과 적정한 생육환경조절이 필요시 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벽면녹화에 적정한 생육환경을 분석하여 식물 색채가 유지될 수 있는 기본 데이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신청사 벽면녹화 시스템과 동일한 벽면녹화 실험대를 통해 식물의 적정 생육환경을 조사(벽면녹화 실험대 공간의 온도·습도, 식물의 적정 생육온도와 습도 )하고 그에 따른 식물의 색채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분석결과 실내에서 잘 자라는 식물임에도 온도, 습도 등의 문제로 식물이 고사하거나 무늬가 사라져식재된 식물의 색채가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실내식물의 적정 생육환경을 파악하고 식물 본연의 색을 이용한 디자인계획 시지속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는 지침이 되길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The number of cases in which plants have been introduced into indoor space to create green space is on the rise. Wall planting in an eco-plaza was designed to highlight natural plant colors. Since it focuses on a design point, a controlled growing environment is required to maintain the color design of the plants. Therefore, in this study, fundamental data regarding maintenance of plant color were collected by analyzing the proper growing environments for wall planting spaces. (Method) Accordingly, an investigation regarding a proper growing environment for wall plantings was the testbed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of soil and plants. The system studied was the same as that used in the wall planting of the Eco Plaza in the new Seoul City Hall Building. Thus, it was important to analyze changes in plant colors. (Results)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plants grow well indoors, but they tend to wither, die, or lose/change their color becaus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issu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serve as a guideline for identifying the proper growing environment of indoor plants to maintain natural color in wall plantings.

      • KCI등재

        근권 미생물 관주 처리된 분화용 시클라멘 로즈위드아이의 광원에 따른 화색에 비교분석

        김유선 ( Yoo Sun Kim ),최스란 ( Sue Ran Choi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1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 이어 근권 미생물이 처리된 시클라멘의 광원에 따른 화색(花色, flower color)의 변화를 비교·분석하여 유용미생물이 화색에 쓰이는 활용범위를 넓히고자 하였다. 식물선정은 재배방법이 용이하고, 시장성이 우수한 미디엄품종으로 시클라멘(Cyclamen)을 선정하였고 이 식물에 활용성이 좋고 널리 사용되고 있는 유용미생물인 광합성세균(Photosynthetic bacterium), 바실러스균(Bacillus subtilis), 유산균(Lactobacillus plantarum)을 5가지의 각기 다른 배율로 처리하였다. 그리고 식물의 꽃잎을 측색기(X-rite Eye-One Pro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스펙트럼 데이터를 얻은 후, 주광(D50)을 기준광으로 하여 일반가정에서 가장 사용 빈도가 높은 3가지 조명(Incandescent Illuminant A, Cool White Fluorescent-F2, TL85-F10) 아래에서 꽃잎의 색채가 어떻게 시각적으로 나타나는지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미생물 처리 시 광원의 따른 화색은 광합성균 처리를 한 시클라멘에서는 꽃잎의 채도가 높은 경우 고농도에서 명확한 화색을 보였다. 또 바실러스균을 처리한 시클라멘에서는 다른 미생물 처리한 시클라멘에 비해 전체적으로 안정감 있는 화색의 변화를 보였다. 또 유산균 처리한 시클라멘에서는 화색이 너무 밝거나 어둡게 변화한 것이 관찰되었다. 이처럼 미생물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볼 수 있지만 주광D50과의 색차값은 광합성세균, 바실러스균, 유산균 모두 F2광원에서 제일 큰 차이를 보였고 그 다음으로 A광원, F11광원 순으로 주광과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화색 조절 시 미생물을 활용한다면 경제적으로나 상품성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Cyclamen flower color changed according to the type of microorganism. However, flower color of lower chroma showed no difference by type of light. On the other hand, flower color of high chroma differed by type of light source in the high concentration group. This result can be applied economically in a highly marketable produ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icroorganisms on flower color. For this purpose, this paper analyzed changes in Cyclamen flower color upon treatment with rhizosphere microorganisms under light sources. Cyclamen flowers were treated with five types of photosynthetic bacteria and Lactobacillus plantarum. The color of floral leaves was analyzed under three types of light (Incandescent Illuminant A, Cool White Fluorescent-F2, TL85-F10) on the basis of key light (D50). Color of floral leaves was measured as spectrum data by a X-rite Eye-One Pro spectrophotometer.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flower color by lights applied microorganism is different by type of microorganism. But a flower color of lower chroma has no difference by type of lights. On the other hands, a flower color of high chroma has different by type of lights in high concentration group. This result is expected to utilize this research as a economic value for a high marketable product.

      • KCI등재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Croton의 인공광원에 따른 색채의 비교 분석

        김유선 ( Yoo Sun Kim ),최스란 ( Sue Ran Choi ),서지현 ( Ji Hyeon Seo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4

        인공광원의 종류에 따라 식물 본연의 색이 다르게 지각되어 의도한 바와 다르게 연출되는 문제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무늬 색채를 가지고 있어 그린인테리어에 활용도가 높은 Croton을 대상으로 인공광원의 특성에 따른 식물색채의 변화를 분석함으로 써 목적에 맞는 그린인테리어 색채계획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식물선정은 다양한 색상과 무늬를 가지고 있어 실내장식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크로톤 (Croton)으로 선정하였고, 식물의 잎을 측색기를 이용하여 스펙트럼 데이터를 얻은 후, 기준 광(D50)을 기준 광으로 하여 가정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3가지 조명(Incandescent Illuminant A, Cool White Fluorescent-F2, Three narrow band cool white-F11) 아래에서 잎의 색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준 광 D50을 기준으로 GY 색상의 채도가 A, F2 광원에서 기준 광과 유사하게 표현되었으며, F11 광원에서는 채도가 높게 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R계열과 Y계열에서는 인공광원의 종류에 따라 확연한 차이가 보이는데 R계열에서는 기준 광 D50과 A 광원에서 채도가 F2, F11 광원보다 높게 표현되었다. 또한, 각 인공광원에 따른 색상 왜곡의 정도를 살펴보면 기준 광 D50과 비교했을 때 A, F2 광원에서는 a* 값과 b* 값의 변화가 유사했고 F11 광원에서는 a* 값의 변화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color of plants used in interior design changes depending on the type of light sourc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color changes in plants commonly used in interior decorating under artificial light in order to obtain basic knowledge of green interior design. This study used Croton plants, which have a variety colors and patterns and are often used in interior decoration. Leaves of Croton were analyzed by colorimetric methods using the X-rite Eye-One Xtreme iO bundle under different types of light, including Incandescent Illuminant A, Cool White Fluorescent-F2, and Three narrow band cool white-F11.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hroma of GY-color of leaves showed similar results under D50, A, and F2 lights, whereas high chroma were observed under F11 light. Further, Red and Yellow showed a clear difference in color depending on the type of light source. Red showed high chroma under D50 and A lights, whereas Yellow showed similar chroma results under F2 and F11 lights and had the highest chroma under F11 light. In addition, when the difference in color under each light was measured and compared with the standard (D50 light), changes in a*and b* showed similar results under A and F2 lights, whereas the color change in a* was highest under F11 light.

      • KCI등재후보

        Lightroom program을 활용한 Floral design 작품 색채 분석방법 연구

        김샛별 ( Saet Byul Kim ),최스란 ( Sue Ran Choi ),김유선 ( Yoo Sun Kim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4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31 No.-

        Plants have innate colors and shapes. Accordingly, free color matching is impossible in floral design. Therefore, understanding of inherent plant color, color harmonies, and color schemes among various natural materials is important. This study is intended to address the weak points of color measurement using the naked eye, which has been widely used in research and analysis of floral design work color. The goal was to develop an objective and reasonable color analysis method for floral design works. The color analysis method suggested in this study is a color analysis method utilizing the Lightroom program instead of a colorimeter, which is difficult to purchase and hard for a nonprofessional to use. The method utilizes Adobe Photoshop, which is easy for the general public to use, to measure the color value of a photograph file through correction process and the Lightroom program after the photograph is taken with a Standard Colorchip. The value of the method is high as the floral design color analysis method. In analyzing the color of the floral design work (a work of International Floral Design Contest) using this method, it was possible to utilize color schemes in printed matter and various computer programs after the value of color was compiled in a database. Various and different color analysis methods are used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field. Accordingly, various methods should be developed in the floral design field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