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正祖의 館閣文 서적 편찬과 관각문에 대한 인식

        최솔잎 근역한문학회 2023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66 No.-

        정조는 文風을 통해 世敎를 확인할 수 있고, 나아가 문풍의 변화를 통해 정치‧사회적 풍속 역시 변화시킬 수 있다는 관점을 견지하여 일찍부터 문학에 지대한 관심을 가졌다. 또한, 당대 문체의 萎靡함을 지적하며 작가의 글과 구별되어야 할 공적 영역의 글, 즉 傳敎, 判付, 章奏文과 같은 글에도 변화가 있음을 더러 탄식하곤 하였다. 이에 정조는 문풍 쇄신을 위해 각종 서적을 편찬·간행하였는데, 특히나 각종 정책을 표방하고 왕실의 위엄을 闡揚하기 위해 지어지는 관각문에 일찍이 관심을 가지고 관각문 관련 서적을 편찬하였다. 세손 시절 관각의 문체를 추려 詞苑英華 를 편찬하고, 또 즉위 후에 각 문체를 증보하고 관각문을 집대성하여 文苑黼黻 을 간행하였는데, 관각문을 집대성함과 동시에 文衡의 직임을 맡은 이들이 모범으로 삼을 수 있게 한 것이다. 또 문원보불 을 편찬하면서 관각문의 범주를 설정하고 형식의 규범화를 시도하였다. 관각문을 관각에서 지어진 글, 그중에서도 형식과 기능에 따라 규정된 특정 문체, 왕이나 왕세자가 발신자이며 실무와 밀접하게 관계된 내용을 제외하고 정교성와 의례성을 띠는 글로 규정하고, 관각문을 傳寫하는 과정에서 일부 형식을 수정하여 형식의 규범화를 시도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정조는 신하들과의 경연에서 관각문에 대한 각종 견해를 여러 차례 피력하였다. 권근→변계량→서거정→이정귀→남용익→송상기로 이어지는 관각 문인의 正脈을 확립하고, 이들의 문장을 위시하여 관각문이 궁극적으로 지향해야 할 바를 설명하였다. 平淡簡易하면서 質朴한 문체, 시대의 興亡盛衰를 가릴 실용적 내용, 문장의 妙悟를 체득하여 變化를 추구하는 경지를 이룩해야 한다고 하였다. 정조는 문풍의 쇄신을 위해 이처럼 관각문의 모범과 풍격을 제시하고 초계문신을 선발하고 교육하였으나 이마저도 효과를 제대로 거두지 못하자 문체정책을 시행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관각문과 같은 공적 영역의 글짓기를 담당하는 각신들의 문체에 대해 抄啓體, 奎閣體라는 비아냥을 듣게 되면서 문학에 대해 보수적인 태도를 취하면서 경서를 위주로 한 문체정책이 시작되었다. King Jeongjo had a great interest in literature from an early age, believing that the teachings of the world could be confirmed through literary style, and furthermore, that political and social customs could also be changed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literary style. He also lamented the decline of the literary style of his time and emphasized the need for a changes the writings in the public domain, such as chuánjiào(傳敎), pànfù(判付), and zhāngzòu(章奏), which as well. To achieve this, King Jeongjo compiled and published various books,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creation of Guǎngéwén that promoted various policies and highlighted the dignity of the royal court. During one's crown prince days, he compiled the Sawon-yeonghwa(詞苑英華) by selecting exemplary styles from official documents, and later published the Munwonbobul(文苑黼黻) by expanding and embodying various literary styles, serving as a model for first academician. He also attempted to establish the boundaries of Guǎngéwén and standardize their format while compiling the Munwonbobul . He defined official documents as writings composed in the court, specifically categorized according to their form and function, with the king or crown prince as the sender, excluding contents closely related to practical matters, and emphasized their sophistication and ceremonial nature. He also attempted to standardize their format by modifying some aspects during the process of transcribing them. Additionally, King Jeongjo engaged in numerous debates with his courtiers regarding Guǎngéwén. He established the true lineage of official document writers through the works of Gwon Geun(權近), Byeon Gye-ryang(卞季良), Seo Geujeong(徐居正), Yi Jeong-gwi(李廷龜), Nam Yong-ik(南龍翼), and Song Sang-gi(宋相琦), and explained what Guǎngéwén should ultimately aspire to, praising a plain and simple style, practical content that discerns the rise and fall of the times, and a profound understanding of sentence structure that pursues change. In order to revitalize the literary style, King Jeongjo presented examples and styles of Guǎngéwén, selected and trained talented individuals, but when this did not yield significant results, he implemented a literary policy. However, when the styles of the courtiers responsible for writing in the public domain, such as Guǎngéwén, were met with derogatory terms like ‘Chāoqǐ-tǐ(抄啓體)’ and ‘Kuígé-tǐ(奎閣體)’, a conservative attitude towards literature emerged, leading to a focus on Confucian classics in the literary policy.

      • KCI등재

        조선시대 책문(冊文)의 형식과 특징 -『文苑黼黻』 소재 책문(冊文)을 중심으로 -

        최솔잎 ( Choi Sol-ip ) 동방한문학회 2021 東方漢文學 Vol.- No.89

        『文苑黼黻』은 정조 11년(1787)에 조선 전기부터 정조대까지 관각의 문장을 모아 尊賢閣에서 편집하고 摛文院에서 간행한 관찬서이다. 文衡의 직임을 맡은 이들이 모범으로 삼을 수 있도록 열성들의 誌狀과 각종 謄錄에서부터 석학들의 遺稿와 실제로 사용되지 않은 應製文까지 모두 纂集한 것이다. 문체별로 살펴볼 수 있도록 玉冊文ㆍ頒敎文ㆍ慰諭文ㆍ敎文ㆍ敎命文ㆍ竹冊文ㆍ祭文ㆍ哀冊文ㆍ上樑文ㆍ賜祭文ㆍ敎書ㆍ國書ㆍ露布 등 20항목을 두고, 시기순으로 작품을 나열하여 前代의 문장을 살펴볼 수 있게 구성하였다. 본고는 조선시대 관각문 연구의 선행작업으로 형식적이고 의례성이 강한 冊文의 형식과 특징을 고찰하여 조선 왕실에서 표방하였던 글쓰기의 지향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책문의 연원과 변천 양상을 살펴보고, 『문원보불』에 수록된 231편의 책문을 대상으로 하여 유형별로 존호책, 봉책, 시호책 셋으로 나누어 실제 작품 분석을 통해 형식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경전에서 전고를 인용하여 전아하고 장중한 어휘를 구사하거나 평측을 고려한 사륙변려문의 형태로 시각적, 청각적 미감을 추구하는 등의 형식적 특징은 중국의 책문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그것을 그대로 수용하지 않고 적절히 取捨, 選擇하여 조선의 책문이 탄생하였다. 이뿐만 아니라 책문을 작성하고 교정ㆍ교열하는 과정을 통해 왕실의 권위와 위엄을 해치지 않도록 형식을 규범화하는 작업을 시도하였으며, 이것이 자신의 정통을 확립하고 왕권의 기반을 다지는 움직임으로 이어졌다. In 1787 King Jeongjo's 11th year of King Jeongjo's reign, the『Munwonbobul(文苑黼黻)』 was compiled by Jonhyeongak(尊賢閣) and published by Imunwon(摛文 院). In order to serve as a model for those in charge of literature, he collected all kinds of zhizhuang(誌狀)'s from the kings of one's predecession, the posthumous works of the erudite scholars, and the yingzhiwen(應製文)'s that were not actually used. For each style of writing, there are 20 items such as yucewen(玉冊文), banjiaowen(頒敎文), weiyuwen(慰諭文), jiaowen(敎文), jiaomingwen(敎命文), zhucewen(竹冊文), jiwen(祭文), aicewen(哀冊文), shangliangwen(上樑文), cijiwen(賜祭文), jiaoshu(敎書), guoshu(國書), lubu(露布) and others. The works are arranged in chronological order so that you can see the writings of the past generation. The source and transformation of the cewen(冊文) were investigated, and the 231 works contained in the book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zunhaoce(尊號冊), fengce(封冊) and shihaoce(諡號冊), and the style of works was examined.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quoting the authentic precedent from the scriptures, using elegant and solemn vocabulary, and pursuing visual and auditory aesthetics in the style of a siliupianliwen(四六騈儷文) considering pingze(平仄) are based on Chinese Cewen(冊文). However, instead of accepting it as it is, Joseon's Cewen(冊文) was created by appropriately. In addition, the royal family tried to standardize the formality in the process of drafting and proofreading, which led to the establishment of its legitimacy and the consolidation of the foundation of royal authority.

      • KCI등재

        반추가축전용 기후변화대응 비식량자원 거대억새의 생육부위 및 시기에 따른 체내 이용가치 비교 연구

        오성진,송완선,김미소,최솔잎,이수록,김은성,김용수,최낙진 한국유기농업학회 2013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1 No.3

        Miscanthus sacchariflorus var. No. 1 has been newly developed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feed value of M. sacchariflorus var. No. 1 at different growth and harvesting time. Total 3 different miscanthus - 1y4m (first shoot and harvested at 4 month), 2y4m (second shoot and harvested at 4 month) and 2y8m (second shoot and harvested at 8 month). Two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vitro rumen simulated fermentation and In situ dry matter digestibility (DMD). Ruminal pH at in vitro fermentation were higher in M. sacchariflorus var. No. 1 treatments compared to the rice straw (RS). In volatile fatty acid production, 1y4m resulted in higher acetate production than the other M. sacchariflorus var. No. 1 at higher maturity stages.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were observed in propionate and total volatile fatty acid (VFA) productions at 9, 24 and 48 h of incubation times. Higher ammonia nitrogen productions were found as increased maturity of M. sacchariflorus var. No. 1. At In situ experiment, high DMD was detected in the order of RS (60.51%) > 1y4m (57.65%) > 2y4m (57.63%) > 2y8m (46.28%).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young and early harvested M. sacchariflorus var. No. 1 are able to improve its nutrient values in the ruminant anim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