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수지 퇴배사 모의를 위한 준정류모형

        최성욱,최성욱,Choi, Sung-Uk,Choi, Seong-Wook 한국수자원학회 2012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5 No.2

        본 논문에서는 저수지 퇴사 및 배사현상을 모의하기 위한 준정류 모형을 제시하였다. 준정류 모형은 하상은 시간에 따라 변하지만 유동은 정상류라는 가정에 기초한다. 이것은 유동에 비해 매우 장기간에 걸쳐 하도형태가 변하기 때문에 타당하다. 개발된 모형을 저수지 퇴사에 관한 실내실험에 적용하였다. 수치계산을 통하여 상류측에서 공급되는 유사량에 따라 하도의 수심 및 하상경사가 조정되는 것을 보였다. 수치모의에 의한 수위와 하상고가 실험결과와 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모형을 저수지 배사 현상에 관한 선행 실험 조건에 적용하였다. 이 경우에는 배사를 촉진시키기 위해 실험에서 부정류를 발생시켰기 때문에 준정류 모형에 의한 모의결과가 관측자료와 잘 일치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사공급에 따른 평형 수심과 하상경사에 관한 공식을 제시하였으며 수치실험을 통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 quasi-steady model for numerical simulations of reservoir sedimentation and reservoir flushing. The quasi-steady model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flow is steady with time-dependent stream morphology change. This is reasonable because stream morphology changes over a long period, while the flow changes rapidly. The proposed model is first applied to two laboratory experiments for reservoir sedimentation. The channel is shown to be adjusted to new sediment supply at the upstream by changing both the flow depth and slope. Simulated water surface and bed profiles compare favorably to measured data. The model is also applied to reservoir flushing. Good agreement between simulated and measured data is not obtained due to time variation of outflow generated to facilitate the flushing in the experiment. Finally, relationships for equilibrium flow depth and bed slope are proposed and tested through numerical experiments.

      • KCI우수등재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천수방정식의 수치실험

        최성욱,이길성,Choi, Sung Uk,Lee, Kil Seong 대한토목학회 1990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10 No.4

        Numerical experiments of sballow water equations are performed under various boundary conditions by finite element method to simulate the circulation in estuaries and coastal areas. Galerkin method is employed to discretize spatial domain, and for time integration, finite difference method (Crank-Nicolson scheme) is used. This method is tested in five problems, in which first four cases have analytic solutions. The computed values are well in agreement with the analytic solutions in four experiments and the result of the last 2-dimensional ease is resonable. Implicit and two step Lax-Wendroff schemes in time domain are compared, and the results when using four node bilinear and triangular elements are presented. Consequently it takes very long time for complex problems requiring many elements to integrate all the time steps using the implicit schemes. And the explicit scheme requires careful consideration in selecting the time step and the grid size to obtain the desired accuracy. 하구나 연안에서 해수의 순환형상을 모사(模寫)하게 위해 천수방정식(淺水方程式)을 여러 가지 경계조건 하에서 수치해석하였다. 공간영역은 Galerkin방법으로 이산화(離散化)하였으며 시간영역에 대해서는 유한차분법(Crank-Nicolson방법)을 사용하였다. 네 가지 검정실험이 해석적인 해가 있는 일차원 수로에서 행하여졌으며, 해석해를 구할 수 없는 이차원 모형에도 적용되었다. 해석해가 있는 경우 수치모사 결과가 이와 잘 일치하였으며, 이차원 모형에서의 결과도 매우 합당함을 알 수 있었다. 또 일차원 문제에서 4점 bilinear요소와 삼각형 요소를 사용한 결과를 각각 비교하였으며 시간적분도 2단계 Lax-Wendroff방법을 사용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음해법을 사용할 경우 비교적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요소의 갯수가 많아지면 구성되는 대수방정식(代數方程式)이 커지기 때문에 각 시간마다의 계산량이 엄청나게 늘어나게 되며 양해법을 사용할 때는 원하는 만큼의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시간간격이나 공간격자 간격을 선정하는데 각별히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동방 교회와 서방 교회 사제 독신의 역사 비교

        최성욱(Choi, Seong Uk)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2 神學展望 Vol.- No.177

        본고는 사제 독신에 관한 연구이며, A.D. 200년부터 800년까지 동방 교회와 서방 교회 독신의 역사를 분석함으로써 사제 독신과 사제 직무 혹은 사목 활동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다. 서방 교회에서 성직자의 독신이라는 주제는 ‘사제 직무’와 ‘사제의 정체성’을 어떻게 이해했느냐에 따라 동방 교회와 조금 다른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3세기 중엽까지, 초기 교회 공동체에서 사목 활동은 ‘제단에서의 희생 제사’보다는 ‘사목적 돌봄’을 의미했고, 다른 그리스도인들과 별도로 구별되는 사제의 직분을 필요로 하지 않았다. 서방에서는 ‘사목적 돌봄’보다 ‘제단에서의 전례 봉사’가 사제 직무에 있어서 우선적인 과제로 자리 잡기 시작한다. 그러나 동방에서는 성직자의 절제 혹은 독신이라는 주제가 다른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적어도 대부분의 지역에서 결혼과 독신은 두 가지의 다른 영성적 삶의 자리로 여겨졌고, 두 가지 모두 신앙의 산물을 진실하게 살아가는 데 합당한 것으로 여겨졌다. 한 쪽 삶이 다른 쪽 삶보다 우월하지 않았으며, 일반적으로 성직자들은 그 신학적 이유를 제공받을 필요를 느끼지 않았고, 따라서 결혼을 선택하는 대신에 독신만을 타당하게 여길 필요가 없었다. 이 논의를 위해, 본고에서는 서방 교회가 사제 독신제를 역사적으로 어떻게 이해했는지 그 규범의 발전 과정, 곧 서방 교회 지도자들이 집중해서 관심을 보였던 제의적인 순수함과 성직자의 독신 문제를 추적해 본다. 그런 다음 동방 교회 공의회의 사제 독신제에 대한 이해를 논의하기 위해, 공의회 규정들을 중점적으로 살펴보며, 동방 교회의 대표적인 두 신학자인 요한 크리소스토무스(Ioannes Chrysostomus)와 니사의 그레고리우스(Gregorius)의 신학적 진술을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동방 교회와 서방 교회를 비교하여 사제 독신이라는 주제에 대한 각 교회의 이해와 접근의 차이점들을 살펴본다. 본고는 독신으로 살아가는 교구 사제들에게 절제의 훈련이 도덕적?영성적으로 어떤 도움을 주는지 제안한다. 곧 고행적인 삶의 최우선 목표였던 ‘마음의 순수함’이라는 주제가 어떻게 사제 독신을 덕 수련의 자리가 되도록 초대하고 있는지 문헌 분석 안에서 실천적이고 윤리적인 토대를 제공한다. This article is a study on priestly celibacy, and explores its relation to priestly ministry or pastoral ministry by analysing the history of celibacy in both the Eastern and the Western Churches from 200 to 800 A.D. In the Western Church the issue of clerical celibacy took a somewhat different course from that in the Eastern Church based on their different understandings of "priestly ministry’ and of ‘priestly identity.’ Until the middle of the third century, pastoral ministry in the young community of the Church referred to ‘pastoral care, rather than ‘sacrificial altar service’,and there was as yet no need for a priestly class, which would be set aside from other Christians. In the West, "liturgical service of the altar’ rather than "pastoral care’ became the primary subject for priestly ministry. In the East, however, the issue of clerical continence or celibacy took a different course. At least for the most part, both marriage and celibacy were seen as two different spiritual paths, and both were considered valid for a true living of the content of the faith. There was no preference for one form of life over the other, and generally clerics did not feel the need to provide the theological reasons and thus justify only a celibate option rather than a marriage option. To do this, this article traces the juridical development of how the Western Church historically understood priestly celibacy, in which the Western Church leaders began to focus their attention on the question of ritual purity and clerical celibacy. To deal with the Eastern Church’s understanding of priestly celibacy, then, I focus on canonical statements of councils and on theological statements of the two major Eastern theologians, John Chrysostom and Gregory of Nyssa. Finally, I explore the different approaches and understandings of each church to the issue of priestly celibacy by distinguishing the Eastern and the Western Church. This article offers something regarding the ways in which the practice of continence can help diocesan priests grow morally and spiritually. In other words, this article provides a practical and ethical framework for such an analysis by exploring how the primary goal of ascetical life -the issue of "purity of heart’一 invites us to consider priestly celibacy as a locus of character development.

      • KCI등재

        수도승 운동 안에서 독신의 역사

        최성욱(Choi, Seong Uk)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3 神學展望 Vol.- No.182

        본고는 수도자들의 독신에 관한 연구이며, 사막의 은수 고행주의자들과 공주(共住)형태의 수도승 운동 안에서 독신의 역사를 분석함으로써 독신생활과 ‘마음의 순수함’의 상관관계를 살펴본다. 독신은 라틴어 ‘caelebs’에서 온 단어로서, ‘혼자 사는 것’ 혹은 ‘배우자 없는 삶’을 뜻한다. 그러나 사막의 은수 고행자들이나 공주생활 형태의 수도자들로 예시된 자기연마의 훈련으로서 독신은 단순히 결혼과 가정생활을 포기하는 것과는 달랐다. 이 논의를 위해 본고는 카시아누스(Cassianus)의 저술을 분석함으로써 사막의 은수자들이 그들의 독신을 어떻게 이해했는지 그 역사적 발전을 추적해본다. 사막의 고행주의자들에게, 특히 안토니우스(Antonius)에게 독신은 자기의 내적연마와 그리스도교적 덕 수련의 의미가 담겨 있었다. 이들에게 독신생활의 가치는 ‘마음의 순수함’을 추구하기 위한 수단이라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었다. 바실리우스에 의하면 공동체 혹은 수도승 운동안에서의 고행주의는 마음의 순수함을 이루기 위한 자기연마와 영적 자기점검에 집중되어 있었다. 이는 수도자들의 공주형태의 독신도 단지 성적절제라는 의미보다 덕 수련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사막의 은수자들과 초세기 수도자들에게 고행훈련의 목표는 ‘마음의 순수함’을 추구하는 것이었다. 그렇다면 오늘날 사목적 이유로 독신을 살아가는 교구사제들은 수도승 운동의 독신에서 어떤 윤리적 교훈을 발견할 수 있는가? 독신에 관한 수도자들의 관점은 오늘날 교구사제들의 독신생활에 어떤 전망을 제시해 주는가? 본고의 목적은 ‘마음의 순수함’이라는 주제가 어떻게 교구사제들의 독신생활에도 그리스도교 덕 수련의 자리가 되도록 초대하고 있는지 고찰함으로써, 교구사제독신을 위한 실천적이고 윤리적인 토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This article is a study on monastic celibacy, and explores its relation to ‘purity of heart’ by analyzing the history of celibacy in both the Desert Eremetic Ascetics and cenobitic monasticism. Within the Western context, celibacy originated from the Latin term ‘caelebs’, which means “to live alone or single life without a spouse.” However, living celibacy, as a practice of cultivating oneself as exemplified in the Desert Ascetics and early cenobitic monks, was quite different from simply forgoing marriage and family life. To do this, this article trac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how the Desert Ascetics understood their celibacy by analyzing the works of Cassian. Celibacy for the Desert Ascetics, St. Antonius in particular, had the meaning of cultivation of the inner-self and the practice of the Christian virtues. The value of their celibate life included the means in order to pursue ‘purity of heart.’ According to St. Basil, communal or monastic asceticism focuses on cultivating and spiritually monitoring oneself in order to achieve purity of heart. This shows us that their cenobitic style of celibate life also had the meaning of cultivating virtues rather than merely sexual renunciation. Pursuing ‘purity of heart’ was the goal of ascetic practices for the desert eremitics and early cenobitic monks. Then, what ethical lesson for diocesan priests who live celibacy for the purpose of pastoral ministry today can be found in the celibacy of the monastic movement? How can the monastic perspective on celibacy suggest a vision for diocesan priests toda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ovide a practical framework for celibate diocesan priests by exploring how the issue of ‘purity of heart’ invites us to re-consider celibate life for diocesan priests as a locus of Christian character development.

      • VLIW 시스템의 개발과 디지털 신호 처리에의 응용 연구

        최성욱(Seong-Uk Choi),김경훈(Gyeong-Hoon Kim),정보윤(Bo-Yoon Jeong),문종식(Jong-Shick Moon),서장원(Jang-Won Seo),박명순(Myong-Soon Park),전중남(Joong-Nam Jun),김석일(Suk-Il Kim),전문석(Moon-Seog Jun) 한국정보과학회 199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1A

        최근 멀티미디어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더욱 빠른 프로세서의 처리 속도를 요구하고 있다. 명령어 수준의 병렬성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프로세서중 수퍼 스칼라 기술은 점차 증가되는 하드웨어 복잡성등의 문제가 있어 앞으로는 VLIW(Very Long Instruction Word)가 중요한 프로세서 개념으로 이용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VLIW 시스템 개발을 위해 충북대, 고려대, 숭실대 3개학교가 공동으로 진행한 프로젝트의 중간 결과를 기술하였다. 충북대학교에서는 새로운 형태의 수퍼스칼라형 VLIW 프로세서를 설계하고 있으며 고려대학교에서는 컴파일러를 개발한다. 숭실대학교에서는 멀티미디어 응용 프로그램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알고리즘을 본 연구에서 개발하는 VLIW 시스템에 효과적으로 응용하는 방안에 관해 연구하고 있다.

      • KCI등재

        동성애에 관한 교회의 가르침과 자기배려의 덕 : 덕의 윤리학 관점에서 사목적 돌봄의 의미

        최성욱(Choi, Seong Uk)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2015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5 No.2

        본 논문은 동성애에 관한 연구이며, 동성애에 관한 교회 가르침의 주안점이 동성애 행위와 경향의 개념정립에서, 동성애자에 대한 사목적 돌봄으로 옮겨가는 지점을 분석함으로써, 동성애자들과 그리스도교 신앙 공동체와의 상관관계를 고찰한다. 교회의 가르침에는 '이성애자(異性愛者)'와 '동성애자(同性愛者)'의 구분이 없고, 다만 남성과 여성이 그들의 성정체성(sexual identity)을 서로 존중하고 상호 보완적 관계를 받아 들여야 한다고 가르친다. 본고는 덕의 윤리학을 비판적 방법론으로 사용하고, 자기배려의 재귀적 개념을 통해 사목적 돌봄의 의미론적 확장을 시도한다. 그리스-로마 전통과 초기 그리스도교 전통에 따르면, 자기배려는 단순히 자기기술이나 자기관리의 문제가 아니라, 자기인식과 자기변형을 경험하려는 사람들의 영적훈련이었다. 본 논문이 윤리 신학자들의 비판적 관점들을 소개하지만, 본 연구의 목적은 동생애에 관한 교회의 가르침에 대한 도덕적 논의가 아니다. 신학적 논쟁 혹은 재해석은 논외다. 대신, 본 논문은 동성애자들을 향한 교회의 사목적 관심의 전환점을 제3차 임시총회 「의안집」 (Instrumentum Laboris)과 제14차 정기총회 「의제개요」(Lineamenta)의 사목적 질문들 안에서 발견한다. 비록 이 문헌들이 동성애자들에 관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지 않지만, 본 논문은 이 문헌들의 사목적 질문을 살펴봄으로써 오늘날 사목자들에게 실천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덕의 윤리학 관점에서 자기배려의 덕이 어떻게 신앙 공동체와 동성애자들 모두를 위한 '사목적 돌봄'의 의미를 재고찰 하도록 초대하는지 보여주기를 희망한다.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issues of homosexuality, and explores inter-relationship between homosexual persons and the Christian community by analyzing the locus from which magisterial teaching begins to change its major interest from the definiton of homosexual action and tendency to pastoral concern for the homosexual persons. Within the magisterial teaching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heterosexual and homosexual persons, but only that men and women should accept their respective sexual identities each other and complemental relationships. This article uses virtue ethics as a critical methodology and tries to elaborate on the semantic extnesion of pastoral care through the recursive notion of self-care. According to the Greco-Roman and early Christian tradition, self-care is not simply a matter of self-technology or self-management, but spiritual exercises for the person to expereince self-awareness and self-transformation. Even though this article introduces the critical viewpoints of moral theologia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a moral deabet on the church's teaching on the homosexuality. Theological arguments or reinterpretations are out of the qustion. Rather, this article finds examples of the turning point of the church's pastoral concerns towards homosexual persons in light of the pastoral qustions of Instrumentum Laboris and Lineamenta. Although these documents do not give concrete pastoral suggestions for the care of the homosexual persons, this article tries to provide a paractical framework for ministers today by exploring their pastoral questions. By doing this, this aticle hope to show how the virtue of self-care from a virtue ethics perspective invites us to re-consider the meaning of pastoral care for both the community of faith and the homosexual person.

      •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캐릭터 디자인에 관한 연구

        최성욱(Seong-Uk Choi),배환국(Hwan-Kook Bae),이재필(Jae-Pil Lee),김기태(Ki-Tae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1B

        캐릭터를 디자인하는 작업은 전에 없던 새로운 형태의 모습을 만드는 일이므로 디자이너와 같은 사람의 창조적인 능력을 빌어야만 했다. 본 논문은 자연적 선택과 유전학의 이론에 기인하고 있는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작된 창조적인 캐릭터 자동 생산 도구와 그 자동화 도구의 제작 원리를 소개함으로써 컴퓨터를 이용하여 간단한 형태의 새로운 캐릭터를 만드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유전자 알고리즘의 선택, 교차, 그리고 돌연변이의 기능을 캐릭터 다자인에 적용하여 사요자의 기호에 따라 선택을 수행하게 하였고 그 선택된 개체들을 비트 단위로 교차와 돌연변이를 적용하여 부모의 형질을 물려받은 다음 세대의 자식 개체로 진화시키는 과정을 시뮬레이션 하였다.

      • KCI등재

        교구 사제의 영성과 성윤리

        최성욱(Choi, Seong Uk)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6 神學展望 Vol.- No.195

        본고는 교구 사제의 영성에 관한 연구이며, 전문직 윤리의 관점에서 교구사제의 영성과 성윤리의 연관성을 고찰한다. 본고가 도달하려는 주요 목표는 성윤리의 주제들을 안내하는 것뿐만 아니라, 교구 사제들의 영적 · 도덕적 책임을 숙고하기 위한 분석의 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는 오늘날 성윤리 분야를 비롯하여 윤리신학의 전 영역에 영향을 주었던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역사적 전환점들을 주의 깊게 고찰한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까지 윤리신학의 법률적인 경향은 행위-중심, 법-지향, 그리고 죄-중심의 도덕관을 반영하고 있었다. 그러나 윤리신학의 쇄신은 기본적으로 교본주의적 논의를 인간-중심, 관계-중심에 초점을 맞춘 도덕적 삶의 논의로 발전시켰다. 그 결과 오늘날 성윤리 분야는 다양한 학문과의 통섭관계를 유지하면서 다양한 주제에 관여하게 되었다. 이제 섹슈얼리티는 자기 자신을 어떻게 이해하는지 그리고 타자와의 관계가 한 사람의 성품 형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기초로, 영적인 삶의 다양한 영역에 관여하는 용어가 되었다. 더구나, 최근 북미를 중심으로 불거진 아동 성추행의 위기는 사목자를 위한 성윤리와 전문직 윤리에 대한 논의를 촉구했다. 다른 전문직 종사자들과 달리, 교구 사제에게는 성윤리에 관한 전문적인 안내를 감당할 ‘윤리강령’이 전무하다. 비록 아동 성학대의 사례들을 직접 다루지는 않지만, 본고의 목적 중 하나는 성추행의 예방책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고는 리처드 M. 굴라의 제안에 따라, 우리 인간의 관계적 특성을 고려하여 재구성한, 전문직 종사자로서 사목자에게 필요한 다섯 가지 덕목을 제안한다. 이 덕목들은 자애, 정의, 신의, 자기 존중감, 그리고 현명의 덕이다. 논의를 마치면서 본고는 다섯 가지 책임의 범위에 입각하여 교구 사제에게 필요한 ‘윤리강령’을 제안한다. This article is a study on a spirituality for diocesan priests and explores its relation to sexual ethics from a professional ethics perspective. The major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not only to guide the issues of sexual ethics, but also to offer an analytical framework for the spiritual and moral responsibilities of diocesan priests. To do this, the article carefully explores the historical shift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which affected the entire moral theology including the area of contemporary sexual ethics. The legalistic tendency of moral theology on the eve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reflected a moral perspective that was an act-centered, law-oriented, and sin-centered approach. However, the renewal of moral theology has fundamentally developed from the manualist debate to the discussion that focuses on a person-centered and relationship-oriented moral life. As a result, sexual ethics, nowadays, pertains to a wide range of subject matter, while maintaining a consilience with other studies. Sexuality has now become a much broader term of spiritual life, based on how we understand ourselves and how relating to others shapes one’s character development. Moreover, the latest child abuse crisis in North America has brought to the discussion of sexual ethics and professional ethics for pastoral ministers. Unlike many other professionals, diocesan priests have no ‘code of ethics’ which can afford professional guidance for sexual ethics. Even though this article does not investigate child abuse cases directly, one of the purposes is to give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of sexual abuse. In light of the ways in which we are relational, this study offers a set of five virtues reconfigured for pastoral ministers based on the work of Richard M. Gula. Those virtues are charity, justice, fidelity, self-esteem, and prudence. At the end of the debate, this article offers a ‘code of ethics’ for diocesan priests according to the five levels of responsibility.

      • KCI등재

        퀴어 주체로서 낙태한 여성의 우울증과 애도하는 교회 : J. Butler의 관점에서 한국 사회의 낙태 담론 분석

        최성욱(Choi, Seong Uk),최연수(Choi, Yeon Su)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2021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11 No.1

        본 논문은 한국 사회의 낙태 담론을 분석하여 ‘돌봄의 윤리’가 필요한 여성의 자리를 발견하고, 낙태한 여성들에 대한 사목적인 차원에서 ‘신학적 윤리’의 전망을 점검한다. 많은 경우 낙태를 여성의 ‘자기결정권’ 혹은 ‘권리’의 문제로 접근하지만, 일각의 여성주의 담론은 낙태한 여성에 대한 심리학적이고 현상학적인 연구를 시도한다. 즉, 상처입고 공적으로 애도하지 못해서 모호한 주체로 살아가는 이들에 대한 ‘내적 변화에 대한 연구’를 시도한 것이다. 본 논문은 상반된 두 가지 여성주의 담론을 비교하고 낙태와 관련된 교회의 입장을 정리함으로써, 낙태 담론의 계보학적 변화의 순간을 확인한다. 교회는 부부들에게 생명에 대한 봉사를 완수하라고 권유하고, 한국 사회의 낙태 담론은 낙태를 체험한 여성에 대한 현상학적 돌봄의 주제를 다루기 시작했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소포클레스의 비극에 등장하는 안티고네를 퀴어 주체로 해석한 버틀러의 저서 『안티고네의 주장』을 이용한다. 버틀러가 제시한 ‘젠더 정체성 이론’(패러디, 수행성, 우울증)을 급진적 여성주의자들의 담론 분석을 위한 해체 도구로 사용한다. 사랑하는 대상을 잃고도 공적으로 애도하지 못하는 안티고네의 내적 상태를 패러디하여, 공적으로 애도하지 못하는 낙태한 여성들의 상황을 분석한다. This article is to find the locus of women in need of ‘an ethic of care’ by analyzing the abortion discourse in the Korean society, and to show theological ethics’ perspective in the pastoral context. In many cases, abortion is approached as a matter of woman’s right or self-determination, but some feminist discourse tries to study the abortion from a psychological or phenomenological approach. On the other hand, other feminists try to conduct study on the internal change of women undergoing abortion, who live as an ambiguous subject because they are wounded and unable to mourn publicly. By comparing two conflicting discourses of feminism, and confirming the position of the Church teaching on the issues of abortion, this study explores the moments of genealogical shift. The Church encourages married couple to complete the service of life, and abortion discourses in Korean society begin to deal with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the care of women who experienced abortion. To analyze it, this study uses Antigone’s Claims, which is Judith Butler’s writings interpreting Antigone as a queer subject. Antigone appears in the Sophocles’ tragedy. By using Butler’s gender identity theory(parody, performitivity, depression) as a deconstructing lens for the discourse analysis of radical feminism. By making a parody the internal condition of Antigone who lost her beloved object, but could not mourn publicly, this study analyses the condition of women who experienced abor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