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학과 및 직업카드를 활용한 단기 진로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김봉환,최명운 한국직업교육학회 2005 職業 敎育 硏究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교사들이 ‘진로와 직업’ 과 같은 진로관련 수업시간에 비교적 쉽게 진행이 가능한 단기진로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이 프로그램이 고등학생들의 진로선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세 가지 심리적 변인인 진로자기효능감․진로정체감․진로결정수준에 실제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고등학생의 진로선택에 있어서는 직업선택과 더불어 학과선택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본 연구진은 이전 연구에서 개발한 직업카드 외에 새로이 학과카드를 추가로 개발하여, 이 두 카드를 활용하여 직업 및 학과와 관련한 정보, 흥미, 자기효능감 수준을 탐색하고 진로목표를 정해보는 단기진로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경기도 시흥시에 소재한 H고등학교의 1학년 학생 36명을 대상으로, ‘진로와 직업’이라는 교과수업 중에 4주간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검사도구는 진로자기효능감검사, 진로정체감검사, 진로결정수준검사이며, 자료분석은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검사결과를 t 검증방법을 통해 비교하였다. 연구결과는 본 연구에서 구성한 단기진로교육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에 모두 다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group education program that highschool teachers can apply at ease to their classes related to students' career like 'careers and vocations', and to look into if the program actuall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ree psychological factors: career self-efficacy, vocational identity, career decision-making level. For high school students, the choice of an vocation and a major was so important in decision on their career. So, besides previously developed vocational card, we developed major card, and developed the brief career education program which is targeted at letting students explore the information, interest, and self-efficacy level which are related to majors and vocations, and set the goal of their career through making the good use of those two cards. To ascertain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we implemented this program to 36 first graders of H highschool located in Siheung, Gyeonggi Province for four weeks during the class named 'careers and vocations'.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Scale, Vocational Identity Scale of MVS(My Vocational Situation), Career Decision Scale, and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done by comparing the results of pre-test with the ones of post-test through T-test. The result of our study shows that the brief career education program that we developed has a meaningful, positive influence on the career self -efficacy, vocational ident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level of high school students.

      • KCI등재

        대면적 CIGS 광흡수층 증착을 위한 선형증발원 개발

        서제형,정승욱,이원선,최윤성,최명운,최진철,최광호,Seo, J.H.,Jung, S.W.,Lee, W.S.,Choi, Y.S.,Choi, M.W.,Choi, J.C.,Jeong, K.H. 한국진공학회 2013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22 No.1

        $600{\times}1,200mm$ 기판에 대면적 CIGS 광흡수층 증착을 위한 선형증발원 개발을 위해 다른 크기의 노즐과 일정한 노즐 간격을 가지는 선형증발원의 플럭스 밀도를 전산 모사하여 플럭스 균일도 ${\pm}5%$의 조건을 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제작된 선형증발원을 이용하여 Cu, In의 단일막 두께균일도를 확인하였고, CIGS 광흡수층을 동시증발법으로 증착하여 박막의 두께균일도 및 증착 조성의 균일도로 선형증발원을 평가하였다. XRF 조성 분석을 통해 구한 조성불균일도는 600 mm 폭에서 $$Cu{\leq_-}5%$$, $$In{\leq_-}7%$$, $$Ga{\leq_-}4%$$, $$Se{\leq_-}3%$$으로 균일한 조성비로 성막된 것을 확인하였고 SEM 분석을 통해 표면 결정립의 형상을 확인하였다. 또한 XRD측정을 통해 선형증발원 방향의 대면적 CIGS 광흡수층이 칼코피라이트 구조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서 개발된 하향 선형증발원이 CIGS 광흡수층 증착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to develop linear source for evaporating $600{\times}1,200mm$ size of large area CIGS absorber layer, we simulated linear thermal source and obtained ${\pm}5%$ thickness uniformity with various nozzle sizes and regular nozzle distance. Flux density was confirmed linear source length. Using this linear source, we tested thickness uniformity of Copper, Indium single layer which was obtained Cu ${\pm}5%$ and In ${\pm}5%$ thickness uniformity. And then CIGS absorber layers were evaporated with In-line single-stage co-evaporation. Large area CIGS absorber layers were confirmed composition uniformity of $$Cu{\leq_-}5%$$, $$In{\leq_-}7%$$, $$Ga{\leq_-}4%$$, $$Se{\leq_-}3%$$ with 600 mm width by XRF. Uniform shape of CIGS absorber layers was confirmed by SEM. XRD showed peaks which indicate chalcopyrite structure of CIGS absorber layers. Thus, developed linear source is suitable for evaporating CIGS absorber layer.

      • KCI등재

        직업카드 개발 모형 구안

        유형근(Yu Hyeong Keun),이강찬(Lee Gang chan),최명운(Choi Myeong w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9

        본 연구는 진로교육과 상담에 활용할 수 있는 직업카드 개발 모형을 구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이를 위해 문헌 연구와 이전에 개발된 직업카드들의 개발 과정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직업카드 개발 모형을 구안하였다. 구안된 직업카드 개발 모형은 전문가 타당화 과정을 거쳐 수정 및 보완하여 최종 모형이 개발되었다. 최종 직업카드 개발 모형에서는 개발 절차를 4개의 단계와 10개의 과정, 30개의 세부활동으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 단계는 ‘개발 준비 단계’로 이 단계에서는 개발팀 구성 및 선행연구 분석이 이루어진다. 두 번째 단계는 ‘카드 구안 단계’로 이 단계에서는 직업 및 기입 내용 선정, 카드 초안 제작, 카드 초안 타당화, 카드 제작 등의 4개 과정이 수행된다. 세 번째 단계는 ‘매뉴얼 구안 단계’로 이 단계에서는 활동 목표 및 내용 선정, 매뉴얼 초안 구안, 매뉴얼 타당화, 매뉴얼 제작 등의 4개 과정이 수행된다. 네 번째 단계는 ‘효과검증 단계’로 이 단계에서는 카드 및 매뉴얼의 적용 및 평가가 이루어진다. 본 연구를 통해구안된 직업카드 개발모형은 지금까지 직업카드개발모형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문제점을 보완하고 전문가의 타당화 과정을 거친 것으로, 연구자들이 이 모형을 기반으로 다양한 직업카드와 교육 및 상담 관련 도구들을 효율적으로 개발하여 활용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vocational cards development model that can be used for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this purpose, literature research and development process of previously developed vocational cards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the final model was developed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the developed vocational cards development model through the professional validation process. In the final vocational cards development model, the development process consisted of 4 steps, 10 processes, and 30 detailed activities. The first step is the ‘development preparation step’. At this step, the development team is composed and the preceding research analysis is conducted. The second step is the ‘card making step’. In this step, four processes are conducted: job and entry details, card drafting, card validating and card making. The third step is the ‘manual design step’. At this step, four processes are performed: selection of activity goals and contents, manual drafting, manual validating, and manual making. The fourth step is the ‘validating step’. In this step, the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cards and manuals are performed. The vocational cards development model of this study is developed by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vocational cards development models so far.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fficient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various vocational cards and tools for education and counseling.

      • KCI등재

        대상의 발달 특성을 고려한 직업카드 개발의 방향 탐색

        유형근(Yu Hyeong Keun),오정희(Oh Jung hee),정윤희(Jung Yun hee),이강찬(Lee Gang chan),최명운(Choi Myeong w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8

        본 연구는 학교 급을 중심으로 대상별 직업카드 개발 연구의 현황을 살펴보고 직업카드를 개발하고 활용하는 연구자 및 현장 전문가들에게 대상의 발달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직업카드의 선택 및 활용에 대한 실질적인 정보와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직업카드’, ‘카드개발’을 주제어로 수집된 직업카드 개발 연구 총 12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카드의 개수, 기입내용, 개발과정의 구성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내에서 직업카드 개발이 시작된 이후 대상의 학교·급별에 따라 다양한 직업카드가 개발되고 있었다. 학교·급별 직업카드의 개수, 기입내용에 차이가 있었지만 학교·급에 따른 일관된 기준을 발견하기 어려워 대상의 진로발달을 고려한 직업카드의 개수 및 내용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직업카드 개발과정의 경우 연구자들 마다 상이한 방식으로 카드개발과정을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근 자문위원 구성 및 타당화 과정이 강조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추후 대상의 발달특성을 고려한 직업카드 개발방향 및 개발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rends in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cards for each subject, focusing on the school level, and to provide researchers and field experts who develop vocational cards with practical information and tasks on the selection and use of appropriate vocational cards. To do this, 12 studies were collected for the study of Vocational Cards and Cards Development , which were analyzed using the number of cards, the content of writing, and the composition of the development process. As a result, various vocational cards have been developed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since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cards in Korea. 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number and writing contents of the vocational cards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it is difficult to find a consistent standard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so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consistent standard considering the career development of the student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vocational cards development process, researchers have different ways of developing the cards,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process of composition and validation of the advisory committee is emphasized recently.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vocational cards considering the student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