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성기의 ‘제주민속총서(濟州民俗叢書)’ 고찰

        최낙진(Choi Nak-Jin) 한국출판학회 2008 한국출판학연구 Vol.34 No.1

        이 논문은 진성기의 제주도 관련 60 여 권의 책 중 ‘제주민속총서(濟州民俗叢書)’로 명명된 책 28권이 갖는 총서로서의 특징과 출판학적 의미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진성기의 ‘제주민속총서’는 전형적인 ‘가총(家叢 )’에 해당한다. 이 총서는 1965년 『남국의 신화』를 시작으로 2008년 『제주도 옛말사전』까지 40년 넘게 진성기 개인에 의해서 저술되고 있다. 총서는 보통 거대 자본과 전문가집단을 동원할 수 있는 대규모 출판사에서나 가능한 출판형태임을 감안하여 볼 때 진성기의 ‘제주민속총서’는 한국 출판사에서 그 유례를 찾기 힘든 사례라고 하겠다. 이 총서에 나타난 연구방법론은 ‘캐어 모음’이라 할 수 있다. 진성기는 1백 50여 회 이상 제주도 곳곳의 답사조사와 800여 명 가까운 전승자(傳乘者)를 만나 발굴하고 채집해낸 민속자료들을 분류하고 해석해 내었다. 진성기는 무형인 민속자원은 캐내어 모으지 않으면 사라져버리거나 원형이 변형되어 버린다고 보았기 때문에 시급히 캐내어 모으는 일에 전념을 일생을 바쳐 왔다. 그의 이러한 자세는 ‘제주민속총서’ 연구방법론으로 자리매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총서에서 진성기는 제주민속컨텐츠를 제주문화의 자주성과 근원성을 밝혀주는 것으로 규정하면서도 보편적인 인류문화사 측면에서 범세계적인 가치로 인식하고 있다. 예를 들면 진성기는 제주 신화와 고대 희랍신화를 견주어 동가성을 부여하고 있는 것이다. 진성기의 ‘제주민속총서’에는 제주민속에 관한 모든 자료들이 망라되어 있다 할 수 있다. 이 총서는 석주명의 ‘제주도총서(濟州島叢書)’마찬가지로 ‘도너 리서치(donor research)’로서 제주도학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제주도학과 관련된 모든 학문 분야에서 활용될 가능성을 열어놓았다고 할 수 있다. 진성기의 ‘제주민속총서’는 제주문화의 원형을 고스란히 보존하고 있는 소중한 문화적 유산에 해당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publication of the Series of Jeju"s Folk Customs (Series of Studies of Jeju Island) as a 28-book series, among the 60 Jeju Island-related books written by Jin Seonggi. The Series of Jeju"s Folk Customs by Jin Seonggi is a typical serial book. This series was written by Jin Seonggi for over 40 years, beginning from the 『Myth of a Southern Country』 published in 1965 and ending at 『Dictionary of Jeju"s old language』 in 2008. Considering that a series of books is generally published by large publication companies, which can mobilize large amounts of capital and group of experts, Jin Seonggi"s the Series of Jeju"s Folk Customs is truly a case that is unmatched in Korean publication history. The research methodology found in this series can be regarded as ‘exploration and collection’. Jin Seonggi classified and analyzed folk-related data he had gathered as he visited and surveyed every corner of Jeju Island for more than 150 times and met more than 800 or so folk people. As Jin Seongi thought intangible folk resources disappear or the origins are changed if they are explored and collected, he devoted his entire life to the exploration and collection of these resources. As such it can be said that his attitude has become the research methodology of the Series of Jeju"s Folk Customs. Also, Jin Seonggi said that the folk contents of Jeju are the source of examination of the independence and origin of Jeju"s culture in this series and recognize them as having pan-international value with respect to the common cultural history of the human race. For example, Jin Seongi endows the same value to the myths of Jeju to the ancient Greek myths. It can be said that Jin Seonggi"s the Series of Jeju"s Folk Customs includes all the data related to Jeju"s folk customs. This series is a ‘donor research’ like the Series of Jeju Island by Seok Junyoung and provides basic data for the study of Jeju Island and it is open to be utilized in all fields of study related to the study of Jeju Island. Jin Seonggi"s the Series of Jeju"s Folk Customs is a precious cultural heritage that preserves the origin of Jeju"s cultural treasures as they are.

      • KCI등재

        책, 제민일보의 『4·3은 말한다』에 관한 연구 : 신문 연재와 단행본 발행의 저널리즘

        최낙진(Choi, Nak Jin) 한국출판학회 2020 한국출판학연구 Vol.46 No.3

        책,『4·3은 말한다』는 제민일보가 1990년 6월 2일자 창간호부터 1998년 2월 11일자 411호까지 연재한 <4·3은 말한다>를 전예원 출판사가 5권으로 펴낸 단행본이다. 신문 기사 내용이 연작 단행본으로 재편집된 경우이다. 이 논문에서는 신문의 연재기사가 단행본 책으로 출간되는 의미를 저널리즘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제민일보의 장기기획탐사 <4·3은 말한다>는 그간 묻혀있던 4·3을 공식적으로 ‘미디어 의제화’ 하였다. 책『4·3은 말한다』는 지역신문과 다른 전국 유통을 통해 4·3 의제를 전국적으로 확장시키는데 일조하였다. 또한 단행본 책의 속성인 주제의 집중성과 내용의 체계성 요인으로 4·3의 정치적, 법적 제도 마련을 위한 주요 자료로 활용되었다. 책『4·3은 말한다』는 신문 탐사저널리즘이 확보한 4·3의제에 대한 재 점화와 심화의 매체로 기능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는 출판 저널리즘의 유용성이자 특성이기도 하다. The book, A Talk about the Jeju 4·3 Incident, is constructed of five books published by Jemin Ilbo, based on the series of news articles from the first issue published on June 2, 1990, to the 411th issue published on February 11, 1998, by the Jeonyewon Publishing Company. It is a book by re-editing of a series of news artic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eaning of the publication based on the news articles, in terms of journalism. The investigative news coverage, A talk about the Jeju 4·3 Incident, conducted by Jemin-Ilbo officially set up the ‘media agenda’ on Jeju 4·3 that has been silent for a long time. This book helped to expand the agenda of Jeju 4·3 nationally through regional newspapers and other nationwide distribution. Also, it was used as an important document for the preparation of the political and legal regulation of 4·3. The book, A talk about the Jeju 4·3 Incident, could be said to function as a medium for re-ignition of the Jeju 4·3 by investigative journalism. It shows the usefulness and characteristic of publishing journalism.

      • KCI등재

        지역신문 뉴스의 다양성(diversity)과 사회후생(social welfare)의 함의에 관한 연구 -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최낙진(Choi Nak-Jin) 한국출판학회 2005 한국출판학연구 Vol.0 No.49

        본 연구는 사회후생(social welfare) 관점에서 제주지역신문의 다양성(diversity)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신문 뉴스의 다양성이 독자 즉 소비자들의 사회후생과 어떠한 함의를 갖고 있는 가를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주민투표일을 전후로 한 제주지역 4개 신문의 다양성 변화는 어느 정도인가? 둘째, 신문 뉴스의 다양성 정도와 사회후생 관계는 어떠한 함의를 갖고 있는가? 이를 위해 제주지역 종합일간지인 제주일보(Jejuilbo), 한라일보(Hallailbo), 제민일보(Jeminilbo), 제주타임스(Jejutimes)의 2005년 5월 20일부터 9월 21일까지 ‘특별자치’ 관련 기사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다양성 변화를 보기 위하여 제주특별자치도 실행의 분수령이라 할 수 있는 7월 27일을 기점으로 하여 제1시기와 제2시기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제주지역 4개 신문사 모두 주민투표일 이후 다양성 정도가 증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뉴스 내용의 1차적 규정자라 할 수 있는 정보원들은 제1시기에 지방정부와 중앙정부의 비중이 높았던 것에 비하여 제2시기에 들어서는 시민ㆍ자생 단체들이 빈번하게 정보원으로 등장하였다. 이는 특별자치 관련 정책이슈들이 관료엘리트 주도에서 시민사회 영역으로 완만하게 이전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주제중심 뉴스에서도 정보원의 변화와 함께 지방자치와 지역발전 등 관료 엘리트들에서 의해서 주도되었던 뉴스 프레임(frame)들이 제2시기에 들어 감소하였다. 반면 교육문화, 노동의료, 생태환경 등의 프레임들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지역민의 일생생활과 관련한 이슈들이 점차 부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건중심 뉴스에서도 제2시기에 들어 지방정부와 중앙정부가 주도하는 정책실행 프레임이 감소한 대신 이들의 정책실행에 따른 비효율과 무능, 갈등을 다루는 뉴스 프레임들이 많아졌다. 이러한 뉴스 프레임들의 변화는 제2시기에 신문사별로도 정보원에 대한 선호도가 다양해지고, 강조하는 프레임들이 다양해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주민투표일 이후 신문사들의 보도태도가 달라졌다기보다는 특별자치 관련 제반 집단들이 각자 입장과 견해를 표명하기 시작한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서 제주지역 신문들이 동질적인 과점(homogeneous oligopoly)상태를 벗어나 다양성 정도를 확대하여 감으로써 독자인 소비자 사회후생의 증대를 가져올 수 있다는 징후를 발견할 수 있었다. This study researched the diversity of topics in local newspapers issued in Jeju province from the point of view of social welfar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wo subjects to find out if diversity of topics in newspaper affects readers, that is, in terms of customers' welfare. Fist, how do topics vary in four newspapers in Jeju province before and after a voting day? Second,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the diversified issues in newspapers and social welfare? To find the answers,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from May 20th to September 21th, 2005 by analyzing articles related to ‘special self-government’ in daily newspapers in the Jeju provinces of Jejuilbo, Hallailbo, Jeminilbo, and Jejutimes. To find such diversities in topics, the research period was segmented into period 1 and period 2: Period 1- from May 20th to July 27th, and Period 2- from July 28th to September 21th. July 27th is critical because it was the voting day for deciding Jeju’s ‘special self-government’ issue.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diversity in articles increased in the four daily newspapers in Jeju province. In Period 1, most of the news were sourced from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central government; in Period 2, however, citizens groups were the frequent sources. That can be interpreted such that the policy issues related to ‘self-government’ were shifted moderately from the bureaucrat-elite to the citizens. Issues-oriented news, news items on self-government, local development, and others led by the bureaucrat-elite decreased in Period 2, while news items on education, culture, labor, medical service, environment, plus local residents-related issues got more importance. Accident-related news, news items on policies led by local and central government decreased, while news items criticizing inefficiency, inability, and conflict in government increased. That shows that sources and news focus varied in the daily newspapers studied. That can also be interpreted such that related citizens groups began speaking their views about self-government rather than daily newspapers being interpreted as changing their broadcasting views. However, I could see an indication through this study that the readers, as customers, could gain more social welfare as newspapers in Jeju province expand their news topics rather than focus on homogeneous oligopoly.

      • KCI등재

        석주명의 ‘제주도총서(濟州島叢書)’에 관한 연구

        최낙진(Choi Nak-Jin) 한국출판학회 2007 한국출판학연구 Vol.0 No.52

        나비박사로 알려진 석주명은 제주도에 관한 책 6권을 집필하였다. 총서 형태로 1947년부터 발간하기 시작한 이 책들 중 제1권 제주도방언(濟州島方言), 제2권 제주도 생명조사서(濟州島生命調査書), 제3권 제주도관계문헌집(濟州島關係文獻集은)은 석주명 생전에 서울신문사에서 출판되었다. 나머지 제4권 제주도수필(濟州島隨筆), 제5권 제주도곤충상(濟州島昆蟲相), 제6권 제주도자료집(濟州島資料鏶) 등은 석주명의 사후에 그의 동생 석주선에 의해 출판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석주명의 제주도 총서 6권이 갖는 출판학적 의미와 그의 제주도 연구가 ‘제주도학(濟州島學)’이라는 지역연구와 어떠한 연관성을 갖고 있는 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석주명의 제주도총서들은 문헌과 고증에 근거하여 제주도와 관련한 다방면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류하여 놓은 책이다. 이 총서들을 보면 제주도에 관한 전반적인 지식을 얻을수가 있다. 석주명이 집대성한 제주도총서는 제주도학 연구의 시발점이 되는 원재료 공장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고 앞으로도 하게 될 것이다. 그 이유는 석주명의 제주도 관련 연구 작업이 일회성, 일과성이 아니라 원대하게 기획되고 철저하게 준비된 출판행위였기 때문이다. 이 총서가 지니는 또 하나의 특징은 비교학적 의미를 가지면서도 결국은 제주도에 관한 통합학문적 자세를 취했다는 점이다. 우리나라에서 지역연구라는 개념이 제대로 서지 않았던 1950년대 이전 상황에서, 석주명의 제주도 총서는 통합적 학문으로서의 지역학 즉 ‘제주도학’을 열었다고 할 수 있다. 석주명의 총서는 제주도학 연구를 위하여 이용의 편의성을 크게 확장하여 놓은 원재료임은 물론 제주도학의 전제(前提)이기도 했으며 자극으로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JuMyoung-Seok, known as ""the Butterfly Expert,"" wrote six books about Jeju Island. Of these books that have been issued since 1947, Jeju Island Dialect Vol. 1, Jeju Island Life Research Vol. 2, and Jeju Island-related Literature Vol. 3 were published by Seoul Newspaper during his life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significance of the publication of a series of studies on Jeju Islan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ok author"s Jeju Island studies and local research. JuMyoung-Seok read every resource on Jeju Island and thoroughly collected it in the course of writing his Jeju Island series. Through this series, we can obtain a general knowledge of Jeju Island. The resources of this series can be appreciated in its bibliographical aspect, as each resource was excerpted based on literature and dealt with from a reasonable standpoint. Another characteristic of the series is that it is essentially a work of comparative literature, adopting the integrated academic position in the end. A look at the contents of this series indicates its consideration allowing us to get a wide knowledge of its field, as it provides collected and integrated resources pertaining to the same kind of knowledge regardless of any trace containing any resource. In addition, this series enables us to carry out comparative studies by arranging similarities or differences so that we can contrast them simultaneously. In the situation prior to 1950,when the concept of local research was not yet established in our country, a Jeju Island series by JuMyoung-Seok contributed to founding local studies into a single integrated body of knowledge now referred to as the ""Jejudo Study.""

      • KCI등재

        지역 출판산업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연구

        최낙진(Choi Nak Jin) 한국출판학회 2015 한국출판학연구 Vol.41 No.3

        지역출판은 ‘지역’이라는 한계를 태생적으로 갖고 있다. 절대 인구 빈곤으로 독서 인구가 없어 도서시장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이는 다시 지역 출판사업자와 유통업자의 존재를 힘들게 한다. 게다가 전국적 유통망을 갖춘 수도권의 대형 출판사와 인터넷 서점의 등장은 지역출판생태계를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지역출판이 유지될 수는 없다. 지역출판문화 생태계가 생성되고 복원되어야 자기완결성을 갖고 지역이 문화적으로 발전해 갈 수 있다. 지역출판문화 생태계의 생성 및 복원은 지역출판사의 생산자 영역, 출판 생산물이 독자에게 전달되는 유통 영역, 독자의 소비자 영역이 선순환 될 수 있어야만 가능하다. 지역 출판산업이 선순환구조를 갖추기 위해서는 지금이야말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에 의한 정책개발과 지원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지역출판은 지역문화산업 중 지역의 지식 정보 축적과 문화 형성을 위한 ‘지식문화 공공재’에 해당한다. 따라서 우선,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는 지역출판 분야를 사적 영역이 아닌 공공재로서의 인식할 필요가 있다. 공공도서관에 준하는 공공재로서 접근해야 하고, 이에 따른 법적, 제도적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그렇다고 해서 지역출판이 정부의 지원이나 제도 마련만으로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지역출판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는 지역 도서를 소비할 수 있는 독자층이 형성되어야 한다. 지역 독서 수요가 창출되지 않고서는 지역출판문화생태계는 제대로 생성되거나 복원되지 않는다. 지역도서를 대상으로 하여 지역민 책읽기 운동이나 지역 도서 독서 동아리 활성화 등이 이루어져야 하는 이유이다. 책 읽는 도시, 책 읽는 시민이 많아야 지역서점이 살아나고, 이는 다시 지역출판사들의 양서 출판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선순환구조가 지역출판문화생태계의 복원을 가져올 것이다. Regional publishing has Inherently limitation as a 'small area'. In the small area, there is smaller reading population so there is no book market, and this is a bad situation to Regional Publishing businessman and distributors. In addition, the emergence of Internet bookstore and big publishing company on nationwide distribution network in the metropolitan area, it cause bad effect on the Regional publishing ecosystem. In this situation, Regional publishing can not be maintained. Regional publishing culture ecosystem must be created and restored, so it can have completion and Region will growth culturally. The creation and restoration of Regional publishing culture ecosystem should be virtuous circle,in Producers area of regional publishers,in the area of publication's distribution area and in the Consumer area of readers. To have the Virtuous circle in the Regional publishing industry, now we need the Policy Development and Support by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Regional publishing is a 'knowledge culture public goods' among local cultural industy for Knowledge accumulation and culture formation. Therefore, first,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need to recognize the regional publishing as a public goods, not a private area. For Regional publishing, we should have Legal and institutional policy as a public goods like the public library. However, Regional publishing issues are not solved only by legal institutionalization and government support. To activate the Regional publishing , basically readers should be exist in that area. Without demand for reading, Regional publishing culture ecosystem will never be created or restored. For local books, it is necessary to plan Reading Campaign for local residents and need to activate Reading Club. If there is a lot of readers in the area, Local bookstore will get better and it leads to the good book of Regional publishing company. This virtuous cycle will effect on the Regional publishing culture and Restoration of ecosystems.

      • KCI등재

        저널리즘의 맥도날드화(McDonaldization of Journalism)

        최낙진(Choi, Nak-Jin) 한국출판학회 2009 한국출판학연구 Vol.35 No.1

        이 연구에서는 맥도날드의 성공을 이끈 특성인 효율성(efficiency), 계산가능성(calculability), 예측가능성(predictability), 통제(control) 등 네 가지 요인을 갖고서 국내 지하철 무료신들의 맥도날드화(McDonaldization) 경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료신문들은 효율성의 극대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 신문들은 통신사등 뉴스 제공업체와의 제휴와 모(母)신문사 뉴스를 재판매하는 방식을 통해 기사 단위 당 생산비용 절감효과를 도모하고 있었다. 또한 지하철 입구에서 직접 배포 하는 방식을 통해 신문소비속도를 증가시켜 효율성의 극대화를 실현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무료신문들은 뉴스 제공업체의 기사를 활용하는 정도가 매우 높고, 자사(自社) 기자 생산에 의한 기사도 단순한 형태가 많아 기사 생산 과정이 단순하고 명확한 편이었다. 무료신문들이 계산가능성을 실현해가는 경우라 할 수 있다. 셋째, 무료신들은 신문 패키지화 및 매뉴얼화가 이루어졌다 할 정도로 지면 구성과 내용 논조 면에서 표준화 경향이 뚜렷하여 예측가능성도 높다고 할 수 있다. 예측가능성은 신문 제품과 서비스가 언제 어디서나 동일하다는 것을 통해서만 달성할 수 있는 항목이다. 한편, 통제와 예측가능성은 상호연접성이 강하다 할 수 있다. 통제는 특정의 범위를 넘어서지 못하게 하는 것에서 이루어지는데, 연구대상 신문들의 지면구성과 내용면에서 이러한 경향들을 찾아볼 수 있었다. 독자 피드백의 부재도 일종의 통제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피드백이 잦다보면 신문사의 통제력이 그만큼 약화되는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연구대상 무료신문들은, 세계 어디를 가도 같은 제품이 같은 방식으로 공급되는 프랜차이즈 맥도날드처럼 맥페이퍼(McPaper)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일종의 맥저널리즘 (McJournalism)으로 명명할 수 있는 조건들을 갖추고 있는 셈이다. 이러한 맥저널리즘은 관료제의 합리성이 민주주의의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는 ‘합리성의 불합리성(irrtionality of rationality)’ 논의처럼 저널리즘적 후퇴 경향을 가져올 수도 있다. Thisstudy examined the degree that 'Free newspapers' distributed in domestic subways are becoming similar to Mcdonald’s items (Mcpaper) and their journalistic characteristics through the following four factors that led to McDonald’s success: efficiency, calculability, predictability and control. In result, it can be derived that Free newspapers appear to have a strong tendency towards ‘McDonaldization’ of journalism. Such Free newspapers focused on maximization of efficiency. The newspapers examined in this study showed a reduction of production cost per article by affiliating with news suppliers such as news agencies. They also achievedcost efficiency by reselling news from a parent company. Moreover, it was found that direct distribution in subways minimizes the chances of other media outlets of being selected, as well as increases the speed of delivery to the reader, thus leading to maximization of efficiency. Free newspapers had a high degree of utilization of articles by news providers. They also rana great deal of simple and plain articles produced by their own reporters, thus making the process easy and clear per article. This illustratedthe materialization of calculability of Free newspapers. Predictability is an item that can be achieved only by the assumption that newspapers and the accompanying services are always identical.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Free newspapers are made in a sort of packaged and mechanical manner. For this reason, they had a clear tendency to become standardized in terms of article configuration and tone of content. It can be said that control and predictability in the newspaper industry are strongly connected. Control is achieved by preventing passage beyond a certain extent. The examined newspapers showed such a tendency in article configuration and contents. It is also assumed that the absence of reader’s feedback serves as a controlling factor. This is because frequent feedback would result in the corresponding amount of weaker control on the part of the newspaper company. Just as franchised McDonald’s food is identical everywhere in terms of taste and presentation, these Free newspapers exhibit a high degree of homogeneity in terms of editing and contents. It seems to be well argued that they satisfy requirements to be labeled Mc-journalism. It, however, should be noted that such rationality of Mc-journalism in terms of making them available fast and free of charge could trigger journalistic retreat. In other words, further studies on the ‘irrationality of rationality’ in Mc-journalism are necessary.

      • KCI등재

        지역출판유통의 현황과 특성 연구

        최낙진(Choi, Nak Jin) 한국출판학회 2018 한국출판학연구 Vol.44 No.3

        본 연구에서는 지역출판문화생태계의 ‘생산-유통-소비’ 중 유통영역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출판도매업은 서울과 수도권에 편중되어 있었으며, 출판 도소매업 사업체 수는 지역에서 최근 증가하고 있다. 도매업 종사자는 전체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소매업 종사자는 증가하고 있다. 이 결과는 지역에서 소규모 서점의 등장과 함께 종사자 수가 증가했음을 가리킨다. 동시에 대규모 도매업은 서울과 경기에, 영세 소매 유통업은 지역에 편재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서점은 전체적으로는 수도권을 포함 모든 지역에서 감소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지역출판유통은 출판문 화생태계의 선순환고리 측면에서 대책들이 수립되어야 하는 상태라 할 수 있다. 정책적, 제도적 개입이 필요한 이유이다. In this study, I deal with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local publishing distribution in the production-distribution -consumption sequence of the local publishing culture ecosystem. The publishing companies reviewed are concentr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holesale and retail publishing companies have increased in the region. In addition, the number of workers in the retail industry has been increasing, as opposed to a decrease in wholesale workers. This shows that the number of workers has increased with the emergence of small bookstores in the region. It also shows that wholesale trade handling large-scale distribution is concentr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hereas mostly small retail distribution businesses are ubiquitous in the region. Bookstores have also been found to be somewhat more common in the metropolitan area, but the number of bookstores has been steadily declining in all regions. On the other hand, it should be noted that although their number and power are not yet significant, independent publishers that publish books by individuals or small groups and independent bookstores circulating these books are emerging. Overall, local publishing distribution has the same problems, such as structural contradictions and imperfections, as those found in Korean publishing distribution as a whole, and with the addition of special circumstances such as the narrowing of local markets, the loop of good circulation in the publishing culture ecosystem is collapsing. Therefore, policy and institutional intervention is needed.

      • KCI등재후보

        신문사와 방송사 인터넷 정보콘텐츠 제공방식의 비교연구

        최낙진(Choi Nak-Jin),김재영(Kim Jae-Young) 한국방송학회 2002 한국방송학보 Vol.16 No.2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매체인 방송사와 신문사의 홈페이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기존 전통매체가 지닌 매체적 특성들이 그대로 반영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홈페이지 디자인의 형식적인 측면에서는 인터넷신문과 인터넷방송 각각이 기존 전통매체의 특성들이 반영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한 정보전달 방식의 내용적인 측면에서도 기존의 매체와 유사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기사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사전정보의 제공 유ㆍ무, 동영상정보의 제공 유ㆍ무, 기사와 관련된 연관기사 링크의 유ㆍ무를 살펴본 결과, 신문의 경우는 텍스트 위주의 기사를 제공하고, 연관기사를 방송에 비해 보다 많이 제공하였다. 한편 방송의 경우는 동영상정보를 주로 전달하였다. 그리고 정보전달방식에서 전통매체처럼 주로 텍스트를 활용하는지 아니면 동영상 및 사진정보 활용을 살펴본 결과, 전통매체처럼 신문의 경우는 텍스트 위주의 정보콘텐츠를 제공하고, 방송의 경우는 동영상을 많이 활용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사진정보는 신문의 경우 대형이미지를 사용한 반면, 방송은 중형 및 소형을 주로 활용한 것을 볼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전통매체에 기반을 두고 운영하는 인터넷신문과 인터넷방송의 홈페이지에서는 기존 매체의 정보콘텐츠 제공방식의 선호도가 높게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attempts to explain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media still applies to web site design and content by examining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the traditional media of the Korean newspapers and broadcasting networks and their websites.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internet homepages of the newpapers and broadcasting networks resemble the traditional media format. In the methods of providing information, we identified that there were similarities in the traditional media and the internet homepages, We also found minor differences in picture image, motion clip, and linkage to other articles between the homepages. Our results found the newspaper homepages presented more text information and more relative links to articles than the Korean broadcasting homepages. However, in the case of motion clips, the broadcasting homepages presented more motion clips than the newspapers. The result showed that the methods of delivering information identified the traditional media way of using more text information more prevalent in the newspaper webpages than in the broadcasting. In the case of broadcasting, the use of the still picture image and motion clips were greater. Additionally, the comparison of the size of the image presented in both homepages showed that the newspaper homepage provided a larger size(over 255pixel X 170pixel) still image than the broadcasting homepage. The broadcasting homepage provided mainly medium sized(under 255pixel X 170pixel and over 142pixel X 99pixel) or small (under 142pixel X 99pixel) still images.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this paper suggests the Korean media web sites were based on the traditional media format with preferences corresponding to the related media.

      • KCI등재후보

        한국신문에 나타난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담론

        최낙진(Nak-Jin Choi)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5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9 No.3

        본 연구는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논의가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한국 신문들의 사설에 관한 담론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은 ‘일본의 보통국가론’, ‘미국의 동아사아 회귀론’, ‘중국경계론’, ‘북한위협론’ 등 4가지 담론구조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보통국가론’은 평화헌법 개정이나 해석 개헌을 통해 일본이 국제공헌을 하겠다는 것이다. ‘미국의 동아시아 회귀론’ 은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논의가 미국의 군사외교전략과 연계되어 있음을 가리킨다. ‘중국경계론’은 G2로 부상한 중국을 경계하기 위해서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확보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북한핵무기위협론’은 북한의 핵무기 개발로 일본의 안보 위협에 대한 이야기이다. 이처럼 한국신문에서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과 관련한 다양한 층위의 담론들이 존재함에도 이 담론들은 크게 ‘진정성’ 담론과 ‘안보’ 담론의 틀에 묶여 있다. ‘진정성’ 담론은 일본 보수우익 정치세력들을 향하고 있으며, 그들의 태도와 행동에서 진정성이 느껴지지 않는다는 ‘비진정성’ 담론이다. 그러니만큼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논의는 어떠한 것이든 믿을 수 없으며 경계할 수밖에 없는 것이 된다. 한편 ‘안보’ 담론은 한국이 처한 특히 군사적 현실에 관한 것으로,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논의를 한국의 안보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 한국의 안보가 ‘한 · 미 방위조약’을 기본 틀로 하고 있는 이상, ‘미 · 일’ 동맹 나아가 ‘한 · 미 · 일’ 3각 안보동맹 차원에서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논의를 바라보아야 한다는 ‘현실성’ 담론이다. 한마디로 ‘진정성’ 담론과 ‘안보’ 담론은 한국에서 집단자위권을 둘러싼 다양한 담론들의 근거로 작동하고 있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how discussions on the right of collective self-defense of Japan are developed in Korean newspapers. Towards this end, an analysis of the discourse on editorials of conservative, moderate and liberal newspapers was performed with a total of 166 editorials as research target.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differentiation between conservative, moderate and liberal newspapers was not found clearly in relation to the right of collective self-defense. This trend was maintained even in the period divided in accordance with the political power of Japan. It can be inferred that a discourse about the right of collective self-defense itself cannot be accommodated by a variety of perspectives in Korea, or it is tied to the frame of a particular discourse. In more detail, the discourse bout the right of collective self-defense appeared divided into five conceptual layers such as ‘Japan’s normal state theory’, ‘the United States’ ‘pivot to East Asia strategy’, ‘theory of caution against China’, ‘North Korea threat theory’ and ‘theory of conflicts in Northeast Asia’. Nevertheless, these discourses of various layers are specified by the two representative discourses. The one is discourse of ‘sincerity’, and the other is discourse of ‘security’. The discourse of ‘authenticity’ is towards Japanese right-wing conservative political forces, and it suggests that there is no authenticity in their attitudes and behaviors. In this regard, the discussions on the Japan’s right to collective self-defense cannot be reliable, and there is no choice but to exercise precaution. The discourse of ‘security’ is especially about military reality with which Korea is faced, and it approaches the discussion on the Japan’s right to collective self-defense from a perspective of Korean security. This suggests that since the basic framework for the security of Korea is based on the ROK-U.S. Mutual Defense Treaty’, the discussion on the Japan’s right to collective self-defense should be dealt with in terms of ‘the US-Japan Alliance’, and further, ‘the US-ROK-Japan Triangular Security Alliance. In short, the discourse of ‘authenticity’ and ‘security’ turned out to serve as the dominant discourse of various discourses in Korea with respect to the right of collective self-defen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