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학자로서의 최치원(崔致遠)의 위상과 면모 -『조선왕조실록』과 ‘사산비명(四山碑銘)’을 중심으로

        최경애 ( Choi¸ Gyeong-ae ) 한국동서철학회 2021 동서철학연구 Vol.- No.101

        최치원은 한국 고유의 전통 사상인 ‘풍류’에 대해 밝힌 사상가이다. 그는 신라 시대의 학자로 유·불·도의 사상에 정통하였다. 최치원이 삼교의 사상에 정통했다는 사실은 그를 평가하는 데 있어 상반된 결과를 가지고 왔다. 특히 『조선왕조실록』을 보면 그는 ‘유학적 정통성’을 가진 학자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거나, ‘도학을 정밀히 연구하지 않았다’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하였다. 물론 한 학자에 대해 시대가 변하면서 각기 다른 평가가 내려지는 경우는 많이 있다. 하지만 같은 시기에 이렇게 상반된 평가를 받은 이유는 무엇일까? 본 논문은 ‘유학자로서 최치원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와 부정적인 평가 가운데 어느 평가가 보다 온당한가’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되었다. 평가의 정당성에 대한 근거는 최치원이 지은 ‘사산비명(四山碑銘)’에서 찾아보았다. 인간 최치원 그리고 정치가 최치원의 유학자적 면모들을 짚어봄으로써 부정적인 평가에서 근거로 삼는 유학적 정통성에 대한 논의가 정당하지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hoi Chi-won is a thinker who revealed the traditional Korean idea of 'Pung-ryu'. He was a scholar of the Silla Dynasty and was well versed in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he fact that Choi Chi-won was well versed in the ideas of the three religions resulted in conflicting ways of evaluating him. In particular,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he received positive reviews as ‘a scholar of Confucian orthodoxy’, or negative reviews that ‘he did not study Confucianism precisely’. Of course, there are many cases where different evaluations are made of a scholar as times change. But why did he get such conflicting reviews during a single period? This paper was designed to discover which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evaluations of Choi Chi-won as a Confucian scholar are more reasonable. The rationale for the justification of the assessment was found in ‘Sa-San-Bi-Myeong(四山碑銘)’ written by Choi Chi-won. Looking at Choi Chi-won's Confucian aspects of ‘human beings’ and ‘politics’, we could see that the discussion on Confucian legitimacy based on negative assessments was unjustified.

      • 최치원의 풍류사상이 현대를 사는 우리들에게 주는 시사점

        최경애(Gyeong-ae Choi)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9 철학과 문화 Vol.41 No.-

        최치원 선생은 「난랑비서」에서 “우리나라에 현묘한 도가 있다. 이를 ‘풍류’라고 한다. 가르침을 세운 근원은 ‘선사’에 자세히 실려 있거니와, 내용은 곧 삼교를 ‘포함’한 것으로서, 뭇 생명체를 접촉하여 변화시킨다.”고 하여 ‘풍류’에 대해서 서술하였다. ‘풍류’에 대한 기록은 신라대의 「진감선사비문」을 비롯하여 선생이 남긴 비문들의 여러 곳에서 나타난다. 그의 사상은 삼교일치적인 성격을 띄고 있다고 평가되어 왔는데, 그가 남긴 비문인 「진감선사비문」에서, ‘대저 도는 사람 으로부터 멀리 있지 않고, 사람은 나라에 따라 차이가 없다. 이런 까닭에, 우리나라 사람들이 불법이나 유학을 배우는 것은 필연적이다’라고 하여 ‘풍류’가 삼교를 아우를 수 있는 사상임을 확실히 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그가 말하는 ‘풍류’사상이 신라시대 이전부터 우리 고유의 전통의 사상이 확실히 존재했음을 밝혀주는 것인 동시에 세계인들이 어울려 함께 살아가며 문화적인 그리고 종교적인 충돌의 상황에 직면한 지구촌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인류의 보편성과 문화 및 종교의 보편성에 대한 영감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Choi Chi-won said in his Nan-lang-bi-seo : There is a wise and mysterious truth in our country. This is called a Poongryoo. ‘The origin of the teachings about it is detailed in Seon-sa, the contents are involved in the three religions, and it touches and changes every life.’ he explained. Records of poongryoo were shown in various places of the inscription left by the teacher, including the Jin-gam-seon-sa-bi-mun of Silla Dynasty. His ideas have been assessed to be the three-religions’ unity, and he said in the inscription ‘Jin-gam-seon-sa-bi-mun’, the truth is not far from a person, and a person does not differ from country to country. For this reason, it is inevitable for Koreans to learn illegality or Confucianism. So, he makes sure that poongryoo is the idea that can encompass the three religions. In this paper, we wanted to confirm that his idea of poongryoo clearly had existed before the Silla Dynasty and that it inspires us to live in a global village era where people around the world live together and are faced with cultural and religious conflicts.

      • KCI등재

        일반논문 : 지적장애 특수학교 고등학생들을 위한 사회적 통합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김정효 ( Jeong Hyo Kim ),최경애 ( Gyeong Ae Choi ),명수진 ( Su Jin Myung ),배종천 ( Jong Cheon Bae ),정동혁 ( Dong Hyeok Ch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교육문화연구 Vol.19 No.1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 고등학생들의 사회성 발달 및 참여 학생들 간의 사회적 관계 형성 측면을 강조한 사회적 통합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실행함으로써 특수학교 및 일반학교간 사회적 통합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통합프로그램은 운영 및 참여자들에게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학교간 사회적 통합프로그램에 참여한 지적장애 고등학생들은 사회성 및 적응행동이 향상되었다: (2) 일반학생들은 통합프로그램의 참여 경험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며 장애학생과의 사회적 관계 형성을 경험하였다: (3) 장애학생들의 부모들 역시 자녀의 프로그램 참여에 만족하였고 통합활동 성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4) 사회적 통합프로그램을 운영한 특수학교 및 일반학교 교사들은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이 프로그램을 통해 사회적으로 성장하였다고 평가하였으며, 프로그램을 통해 공교육의 가치와 역할과 더불어 교사로서의 역할 및 정체성을 되돌아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간 통합활동 프로그램의 실제 및 지원을 위한 논의와 제언이 이루어졌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wo folds, including, (1) to design 1-year inclusive program to promote social integration of students attending the special school for intellectual disability and regular high school, and (2) to implementing the inclusive program between two schools and examine the effect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demonstrated that the intervention program affect positively to all participants, including (1) the program improved social skills and adaptive behaviors of participating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2) high school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this study had experienced building social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rough the intervention program; (3) parents of participating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evaluated the program positively, related to program outcomes and their children`s experiences of inclusion; and (4) teacher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reconsidered the role and identification of teachers and value of public education after implementing the intervention program to their students. Discussions and the implications for inclusive educational practices and further research were 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