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V광고 언어를 통해 본 우리나라 노인의 이미지

        천현숙(Chun Hyun-suk) 한국어학회 2016 한국어학 Vol.73 No.-

        This study analyzed the elderly appeared in TV commercials to see if any appeared in ads look like, and how often the elderly, keeping in sight the ads in today’s aging society. The results were found to be present in the elderly and disadvantaged in the ad. Among the characters elderly was 3%. Elderly women compared to men is 37.2%, compared to foreign nationals seniors was 9.1%. The old man reached the half background role, especially elderly women, 70% had a background role. Advertising in companies and organizations were shabby elderly or infirm, or in product advertising professionals answer was relaxed look. The elderly and other age groups, but most often it is the elderly who mingle with was less than 10% match with the youth and children. Activities range from older men are at work, older women were recognized in the framework of the home is fixed. The old man had shed more than half a million silent look. If the horse was more than 70% say more than 10 words short. I mean, the contents of the content of such common troubleshooting, patriotic, performance, and fun and cool, flair, quality is extremely small. The old man was closer to 80% if no title is depicted. If the case is referred to as the roll call to age or common nouns that refer to the old man called the office 10% of the total, chairman, president, teachers, doctors, ministers called 7%, the statement is extremely small. In conclusion, advertising, referred to as a mirror reflecting society could still find that there is irony being excluded and the elderly. This is not only a problem in marketing consumer does not bring the sides agree will be a bigger problem in that it does not bring a seamless communication and integration among its members in the social aspect. This study analyzes empirically that are seniors in ad portrayed in any form reports examine the perception of the elderly in our country that puts in front of an aging society as a spring to help broadly through it desirable socialization of the elderly community each member are elderly and achieve a desirable community provides a way to live a life together and win-win, narrowly, will be able to give inspiration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strategy that can attract a significant group of seniors to ever marketing to consumers.

      • KCI등재

        고령 사회, 인쇄 광고에 나타난 노인의 모습

        천현숙(Chun, Hyun-Suk) 한국광고홍보학회 2017 광고연구 Vol.0 No.114

        광고에서 노인은 아직도 소수에 지나지 않았다. 특히 여성, 외국인 노인은 소수 중의 소수였다. 양성평등 시대, 다문화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가 짚어 봐야 할 문제다. 노인은 노인 타깃 광고에 주로 등장했다는 것도 문제로 지적된다. 이는 노인과 비노인 사이에 경계가 존재한다는 것을 방증한다. 이것은 잡지 광고에 노인 등장이 드물다는 것과도 연관된다. 잡지 광고는 절반 이상이 패션, 스포츠, 화장품 광고임을 생각할 때 이러한 미의 영역에서 노인이 소외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타깃과 매체뿐 아니라 제품군에서도 경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노인 등장 광고의 절반이 관공서/단체 광고였다. 비록 모든 제품군에서 노인이 등장하여 노인은 노인 제품 광고에만 등장한다는 인식에는 변화가 엿보였지만 아직도 노인은 기관, 단체에서 펴는 정책의 대상으로서의 인식이 적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노인은 광고 속에서 더 이상 배경이 아니라 주도적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미지도 매우 긍정적이었다. 대부분이 행복하거나 전문가답고, 여유롭고, 활기찬 모습이었다. 노인은 이제 이른바 ‘뒷방 늙은이’가 아니다. 노인이 다른 연령층과 함께 등장하는 모습, 어울리는 모습이 많다는 것 또한 이것을 뒷받침한다. 하지만 청소년과 함께하는 모습은 볼 수 없다는 점, 외국인 노인은 어울리지 못하고 있다는 점들은 여전히 세대 간, 국적 간 간극을 드러내고 있었다. 노인들은 이제 가정이나 일터에 고정되어 있지 않았다. 이제 노인은 남·여, 내·외국인 할 것 없이 ‘뒷방’에서 나와 당당히 활동하고, 즐기는 모습을 보여 주고 있었다. 그러나 노인은 말이 없었다. 말을 하는 경우에도 10어절 이상인 경우는 없었다. 자신의 주장을 펴는 적극적인 모습보다 간접적으로 전달하는 소극적 모습을 보여 주고 있었다. 이것은 노인이 사용하는 문장 유형의 대부분이 서술문이고 청유문, 명령문이 극히 적다는 것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말의 내용은 문제 해결, 민족/애국 등이 많았다. 노인을 이해하는 프레임이 이성적이고 계층적이라는 것이다. 노인을 지칭하는 호칭은 없는 경우가 절반이 넘었다. 노인이 아직 주체적인 존재로서 인정을 받지 못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호칭이 있는 경우 성명, 직책으로 불리는 경우가 나이든 사람이나 가족관계를 가리키는 일반명사보다 더 많다는 것은 노인이 주체적 존재로 인정받을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고 있다. There are still a handful of elderly people in advertising. Especially women and foreigner elderly were few in the minority. It is a problem that we should discuss in the era of gender equality and the multicultural era. It is also pointed out that the elderly appeared mainly in elderly targeted advertisements. This demonstrates the existence of a boundary between the elderly and the non-elderly. This is also related to the rarity of elderly appearances in magazine advertisements. When we consider that more than half of magazine advertisements are fashion, sports, and cosmetics ads, we can see that elderly people are being neglected in this beauty area. We were able to identify boundaries not only in the target and medium, but also in the product category. Half of advertisements for the elderly appeared in government/group advertisements. Although there is a change in the perception that elderly people appear in advertisements for elderly products, the elderly are still perceived as objects of policy by institutions or organizations. However, the elderly were playing a leading role in advertising, not the background any more. The image was also very positive. Most were happy, professional, relaxed, and lively. The old man is not the so-called ‘back room old man’. This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elderly people appear with other age groups, and there are many ways to match them. However, the fact that they can not be seen with teenagers and the fact that foreign elderly people do not fit is still revealing the gap between generations and nationalities. The elderly were no longer fixed at home or at work. Now, the elderly man and woman from the ‘back room’, showed me the activity of being proud and enjoying. However, the elderly person showed only his speech without words. There was no case of more than ten words even if we spoke. It shows the passive aspect that indirectly conveys rather than the positive aspect of opening his claim. This can be confirmed by the fact that most of the sentence types used by the elderly are statements, and there are very few statements or statements. The contents of the words were problem solving, ethnicity/patriot. The frame for understanding the elderly is rational and hierarchical. There are more than half of the titles that refer to the elderly. The lack of a title indicates that an elderly person is not yet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entity. However, in the case of a title, the name of a senior citizen is more likely to be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entity than a general noun indicating an older person or family relationship.

      • KCI등재
      • KCI등재

        성(性)과 언어 힘의 지위 효과 비교

        천현숙 ( Hyun Suk Chun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07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1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언어 힘이 과연 지위 특성으로 작용하는지를 알아보고, 지위 특성으로 작용한다면, 언어 힘과 성이라는 두 가지 지위 특성이 함께 제시되었을 때, 어떤 것이 설득을 결정하는 더 큰 요소인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 결과, 첫째, 언어 힘이 정보원의 사회적 지위와 신뢰성에 대한 인지를 매개로 태도를 변화시켰다는 것 즉 언어 힘이 지위 특성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둘째, 널리 통용되는 지위 특성으로서의 성에 대한 증거도 발견했다. 남성 정보원은 여성 정보원보다 사회적 힘과 지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셋째, 언어 힘과 성은 각각 독립적으로 설득 효과를 발휘했지만, 효과의 강도를 비교해 보았을 때, 언어 힘의 지위 효과가 더 컸다. 남성 정보원이 힘있는 언어로 말을 했을 때 태도는 가장 호의적이었고, 여성 정보원이 힘없는 언어로 말을 했을 때 태도는 가장 비호의적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use, gender and perceived social status and to find out which of the two variables exerts greater influence upon perceived social status and persuasion. The results show that language use functions as status enhancer, mediated by language user s social status and credibility, thus causing attitude change. In terms of gender comparison, male sources were perceived as possessing higher social status exercising greater social power than their female counterparts. In comparison between gender and language use, the former was found to enhance perceived social status much greater than the latter. The impact on favorable attitude change appeared maximized with male sources speaking with language full of confidence. Negative attitude was manifest with female sources speaking with language lacking in confidence.

      • KCI등재

        라디오 광고에서 언어 힘의 설득 효과와 정보원 성(性)의 영향

        천현숙(Chun Hyun Suk),리대룡(De Ryoung Lyi) 한국마케팅과학회 2006 마케팅과학연구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라디오 광고에서 정보원이 사용하는 언어 힘이 설득에 효과가 있는지를 관찰하고, 그 효과를 정보원의 성 그 자체의 효과와 비교해 봤을 때 과연 어떤 것이 설득을 결정하는 더 큰 요소 인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 문제와 관련하여 선행 연구들은 일관성 없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어떤 연구는 오디오 커뮤니케이션에서 언어 힘의 설득 효과는 화자의 성에 달려있다고 주장했고(Carli, 1990), 또 어떤 연구는 오디오 커뮤니케이션에서 언어 힘의 설득 효과는 화자의 성에 관계없이 나타나는 굳건한 효과임을 주장했다(Holtgraves & Lasky, 1999; Erickson, Lind, Johnson, & O"Barr, 1978). 이에 본 연구는 라디오 광고에서 언어 힘과 정보원 성의 상호작용을 관찰함으로써 언어 힘의 설득 효과에 정보원의 성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험적 증거를 제시하고자 했다. 실험 결과, 라디오 광고에서 정보원이 사용하는 언어 힘은 설득에 강한 효과가 있으며, 그 효과는 정보원 성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는 언어 힘의 지위 효과가 성의 지위 효과보다 더 강력하다는 것을 함축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power-of-speech have an impact on persuasion in radio CM and to determine what is stronger variable either power-of-speech or sex of source. Previous research showed confused result about this issue. Some research supposed the effect of power-of-speech depend on sex of source(Carli, 1990) but the others supposed it is not(Holtgraves & Lasky, 1999; Erickson, Lind, Johnson, & O"Barr, 1978). So present research is designed to show empirical evidence about this issue examining the interaction between effect of power-of-speech and sex of source. Result revealed that power-of-speech affects strongly on persuasion and that effect have no interaction with sex of source. This result means that the effect of power-of-speech is stronger than the effect of sex of source. But in attitude toward product exceptionally, female source using powerful speech induce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 product than female source using powerless speech whereas male source using powerful and powerless speech induce same attitude toward product.

      • KCI등재

        텔레비전 광고를 통해서 본 이 시대 "엄마"의 모습

        천현숙(Hyun Suk Chun),마정미(Jung Mee Mha) 한국광고홍보학회 2013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5 No.2

        매스미디어에서 나타나는 여성에 대한 역할과 외관은 현실세계에서 여성의 이미지와 역할로 고려되는 정형화된 모습으로 그려진다. 특히 TV 광고는 사회적 계급의 표준적인 스타일이나 역할 모델을 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이게 하며 또한 이러한 스테레오타입을 현실세계에서 현모양처라는 역할을 더욱 확산,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최근 TV에 나타난 여성에 대한 스테레오타입이 변하기 시작했다. 이 논문은 사회적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엄마의 모습을 한국 광고를 통해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를 위해 내용분석방법을 사용하였으며 한국광고정보센터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2012년2/4분기와 4/4분기의 광고 중 226개의 텔레비전 광고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자면 우선 엄마 모델의 외적 모습은 좀 더 비전통적인 모습으로 그려진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외관적인 변화와 달리 광고내용에서는 여전히 전통적인 여성의 모습이 존재하고 있었다. 특히 모성은 시대의 변화와 관계없이 오히려 더 공고하게 자연적이고 불변의 원칙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결론적으로 최근 광고에 나타난 엄마의 모습에는 주제적 존재로서의 엄마와 보조적 존재로서의 엄마 모습이 공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female role and image in the media have been inextricably associated with what the public consider as those of women in reality. Television commercials have perpetuated viewers to passively accept both the standardized life styles and the role models of social classes. In addition, the women`s models have repeatedly been presented, which has led to reinforcing the typical models of a good wife and a wise mother in the real world. However, the traditional stereotypes have recently been changed on the TV commercials. This paper aims to research the representations of a mother on Korean TV commercials affected by the social shift. A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226 TV advertisements in database of the Advertising Information Center during the second and fourth quarter of 2012 yea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appearance of a mother on the TV commercial advertisements seems much more non-traditional. but the gender stereotype is still traditional in advertising contents. In particular, motherhood is regarded as natural and immutable. In this sense, despite the fact that women`s status and role has been changed in relation with modern society, their role as a mother has been repeated and reinforced.

      • KCI등재

        유머가 광고 기억에 미치는 영향 분석

        천현숙(Hyun Suk Chun) 한국광고홍보학회 2008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0 No.4

        본 연구는 유머 광고가 효과가 있는지 없는지 하는 것보다, 언제 유머 광고가 효과가 있는지, 그리고 그 효과의 이면에 있는 처리는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결과, 첫째, 유머가 강하고 메시지 주장과 관련되었을 때, 유머의 주의를 모으는 메커니즘은 기억을 위한 긍정적 효과로 바뀐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결과는 강한 유머 자체가 항상 효과를 보증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말해준다. 둘째, 유머는 보는 사람의 기분 상태를 긍정적으로 만듦으로써 그들의 주의를 이끌어내고, 그 결과 광고 내용을 더 기억시킨다는 것을 발견했다. 셋째, 유머-메시지 관련성이 메시지 주장 회상에 미치는 영향력은 인지욕구가 낮은 사람들보다 인지욕구가 높은 사람들에게 더 크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유머를 사용하려는 광고 실무자들에게 목표 청중을 세분화하고 타깃팅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유머가 과연 광고의 이해를 높이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기술인가?’라는 오랜 의문에 답을 제시함과 동시에 유머 광고가 소비자들에게 호감을 주고 주의를 끌 것이라는 광고 실무자들의 관습적인 믿음에 이론적 뒷받침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n does humor influence on ad memorability and what is the process underlying such effects. The results show that humor`s attention gaining mechanism may translate into positive effects for memory when humor is both strong and related to the message. It means that strong humor itself is not always guarantee effects of advertising. This joint impact of humor strength and humor-message relatedness on claims recall is mediated by attention and mood. And higher humor-message relatedness induce higher recall among individuals with a high need for cognition than individuals with a low need for cogn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how target and segment the audience of humor advertising.

      • KCI등재

        텔레비전 광고언어 사용의 변화

        천현숙(Hyun Suk Chun),마정미(Jung Mee Mha) 한국광고홍보학회 2014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6 No.2

        본 연구는 1993년의 텔레비전 광고와 2013년의 텔레비전 광고에 사용된 광고 언어의 양상과 차이를 분석하여, 시대별 광고언어에 나타난 언어변화와 사회적 변화를 고찰하고자 한다. 내용분석을 통해 두 시기 총 546편의 텔레비전 광고의 광고언어를 비교 분석해본 결과 광고언어의 구성요소, 광고의 길이, 광고의 격, 광고의 주요화자, 광고내용 등에서 의미 있는 변화가 포착되었다. 1993년 광고 카피는 멘트+내레이션+자막(37.1%)의 형태가 가장 많았으나 2013년 광고 카피는 내레이션+자막(46.5%)의 형태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광고 언어의 길이 역시 주목할 만한 변화를 보여주었는데, 1993년 광고에서는 단어 26개 이상의 아주 긴 언어를 사용한 광고가 45.8%였으나 2013년 광고에서는 28.1%밖에 되지 않았다. 또한 최근 텔레비전 광고 언어에는 신조어, 비속어, 유행어, 줄임말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반어 사용이 증가하여 전통적인 언어관습이 변화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높임말이 줄고 반어 사용(45.4%)이 늘었다는 것은 우리 사회가 수평적인 사회나 탈권위적인 사회로 변화해 가는 경향을 보여주기도 하고 혹은 우리 언어에 서구적인 언어문화가 영향을 미친 것이라 해석할 수 있다. 한편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의 영향으로 광고언어의 길이가 점차 짧아지고 언어보다는 이미지로 소통하고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thesis aims to investigate a change in the relations between language and society based on advertising language analysis by comparing TV advertisements in the periods of 1993 and 2013. A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546 TV commercials during the two periods. As a result, it is shown that advertising language elements, usage, words and main narrators presented in the advertisements have significantly shifted. Specifically, a percentage of 37.1 of the combination of messages, narrations and captions were used in the year of 1993, while a portion of 46.5 of narration and caption were remarkably seen in the year of 2013. In regard to the number of the advertising words, a rate of 45.8 of the advertisement products in 1993 were shown to use lengthy messages composing more than 26 words, but a percentage of 28.1 of the advertisements in 2013 appeared to generate only the same number of the words. Moreover, recent years of TV commercial language have seen an increase of neologism, slang, buzzwords and acronym. In particular, a growing portion of using informal language(45.4 %) significantly represents a social shift related to equality of society in which its authority has been decentred. This phenomenon is deeply associated with language, which has been influenced by the Western culture. On the other hand, language expressed in advertisement products implies linguistic changes in which the numbers of advertising words have been decreased and the images have been promoted by internets and social media.

      • KCI등재

        국내 지상파 방송광고 제도에 대한 광고 실무자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천현숙(Chun, Hyun-Suk),장승익(Jang, Seung-Ik),마정미(Mha, Jung-Mee) 한국광고홍보학회 2015 광고연구 Vol.0 No.107

        최근 방송 · 통신 융합 환경에 따른 급격한 환경 변화로 인해 방송광고 규제 개선이 현실화 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광고 실무를 맡고 있는 광고주, 광고대행사, 매체사 전문가들이 인식하는 각 방송광고 규제 정책의 흐름과 규제 정책의 우선순위, 그리고 어떤 방송광고 규제 개선의 정책 대안이 가장 바람직한지를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서로 다른 입장을 가진 주체들이 합의점을 찾을 수 있는 현실적이고 실현 가능한 광고 규제 개선 방안을 논의하고자 하는 목적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구체적으로 문헌조사를 통하여 관련 연구 동향 및 방송통신융합 환경에서의 국내 광고규제 현황과 쟁점을 진단하고, 광고대행사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전문가 인터뷰를 실시하여 이러한 주요 쟁점에 대한 광고 현장에서의 인식을 파악하였다. 지상파 방송광고 규제에 관해 광고주와 광고대행사의 실무자들을 심층 인터뷰한 결과, 규제 개선의 필요성이 가장 크고 가장 시급한 것은 간접광고/협찬고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규제개선이 필요한 제도는 프로그램 광고의 시간 횟수, 광고금지 품목, 가상광고와 중간광고의 개선 및 도입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방송통신융합 시대 광고규제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해 논의하여 보았다. 이러한 규제 개선 방안은 차별화된 광고 수요를 창출하여 방송 산업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With the rapid change in the recent environment of broadcast convergence, adequate considerations of broadcast advertising regulations has been importantly taken. In this circumstance, this study attempts to recount the trends of advertising regulations concerned with broadcast convergence, providing the desirable directions of regulations. Specifically, in order to research both the trends and the directions, the focus of this paper is on broadcast advertising experts" priority over regulatory policies,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broadcast advertising regulatory policy, and the most desirable combination of its policy alternatives. This paper is accordingly concerned with the acceptable guidances of adequate regulations for terrestrial broadcast advertising. In terms of literature research, the research trends and the position of advertising regulations have been examined, drawing on the key issues of advertising regulations in the circumstance of convergence. Depth interviews have also been conducted in order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the experts (advertisers and advertising agencies) about the key issues of advertising regulations in advertising convergence. As a result of literature research and depth interview, the adequate provision requirements for advertising regulations have been explored as follows. Firstly, PPL and advertising notice need to be improved. Secondly, advertising codes for frequent time, advertising prohibited items, virtual advertising and midprogram advertising have to be regulated. Thus, the improvement plans on terrestrial television advertising regulations can be expected to produce the differentiated demands for advertising, which will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broadcasting industry.

      • KCI등재

        TV 광고 크리에이티브 요소에 대한 소비자 반응 연구

        천현숙(Hyun Suk Chun),마정미(Jung Mee Mha) 한국광고홍보학회 2012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4 No.4

        이 연구는 TV CF의 소비자 댓글 연구를 통해 다양한 특성을 가진 소비자들이 실제로 광고 크리에이티브의 어떤 구체적인 요소를 선호하며, 그 선호의 이유가 무엇이지를 보다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실제 소비자의 크리에이티브 선호 요소를 고찰하고자 했다. 연구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우선 광고 크리에이티브 요소에 있어 소비자들은 청각적 요소와 시각적 요소 중 시각적 요소에 보다 주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 제품, 배경, 시각적 수행과 같은 시각적 요소에 대한 글이 멘트, 음악과 같은 청각적 요소에 대한 글보다 훨씬 더 많이 나타났다. 청각적 요소 중에는 광고 멘트의 내용과 의미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의 속성을 언급할 때는 적합성에 대해 언급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또한 광고에 등장하는 제품에 대해서는 디자인이나 기능보다는 제품의 특성에 더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광고의 배경과 관련하여서는 주로 사물보다는 풍경에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 제작 작업 중 시각적 수행과 관련해서는 주로 제작 방법과 화면의 구성 및 짜임새에 대해서 관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 크리에이티브에 대한 소비자 반응 유형을 전체적으로 보면, 소비자의 인지적 반응 중에서는 효과/기능 차원의 평가가 가장 많았다. 효과/기능차원의 평가에서는 ``적절성``측면, 제작/수행차원에서는 ``명확성`` 측면, 가치/표현적 측면에서는 ``세련됨`` 측면에 관한 내용이 가장 많았다. 소비자의 감정적 반응 중에서는 감정 서술적 표현이 가장 많았다. 감정을 서술할 경우, ``즐거움`` 측면에 대한 내용이 가장 많았다. 광고를 본 후 댓글을 작성하는 소비자들은 대체로 광고에 대해 긍정적으로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광고 댓글은 주로 광고 텍스트에 대한 반응인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 댓글 작성자의 인구통계학적 분석에 의하면 여성이 남성보다 더 긍정적으로 반응하는 경향이 있었다. 30대와 40대는 중립적 반응에 대한 비율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더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content analysis of the comments on TV commercials and to analyze types of these commentary. This study examines commentaries appearing in tvcf.co.kr during 25∼31, March, 2012. We have selected 584 comments on ads. These were composed of 10 product ads, public campaigns, performance(movie, play, concert) ads, political ad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analyzed that in responses on creative elements, there were more responses about visual elements, model, product, background, visual performance, etc. than responses about auditory elements, ment, BGM, SFX, etc., in the commentary. And the details and meanings of ment are more frequent than any other auditory elements. Second, it was analyzed that in the response types, there were more positive responses than negative responses in the commentary. In particular, female comment-writers are more positive than male comment-writers. And comment-writers in their thirties take a neutral attitude than any other age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