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시장 트렌드 분석을 통한 진화론적 제품 컨셉의 형성구조와 제품 전략에 관한 연구

        천하봉 ( Chun Ha-bo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9 한국디자인포럼 Vol.24 No.-

        지식정보화 사회에 있어 네트워크의 발전은 트렌드의 흐름이 향후 어떻게 전개될지 예측하기 어렵게 만들고 있다. 따라서 기업들이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시장에 도입함에 있어 그 어느 때보다 소비자의 선택에 대한 결과를 예측하기 어렵게 되었다. 디자이너 또한 논리적 근거가 약해짐으로 발생하게 되는 소모적 상황에 대해 개선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기업의 상황과는 다르게 시장에서는 소비자들의 냉정한 판단을 통해 형성되는 다양한 제품 트렌드가 존재한다. 이러한 소비자 선택에 기인한 제품의 성공과 실패는 논리적으로 입증되기 보다는 소비자의 심리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마치 여러 생물의 종들이 서로 경쟁하며 적자생존, 조직루틴, 돌연변이의 과정을 거치면서 진화해 나가는 모습과도 흡사하다고 볼 수 있다. 즉, 트렌드는 유동적인 소비자에 의하여 불규칙적으로 형성되어 가는 진화의 과정으로 설명될 수 있다. 그렇다면 기업의 새로운 방향이나 전략을 수립함에 있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예측위주의 정량적인 트렌드분석을 활용하기 보다는 현재 시장에서 소비자들의 흐름에 의해 자연적으로 형성되어지는 제품인자의 구조를 분석하고, 그곳에서 다음 세대 제품이나 서비스의 전략적 가치와 프로세스를 찾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현재와 같이 불확실한 사회적 흐름 속에서 보다 시장 지향적이면서 지속적인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는 전략적 발판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트렌드 결정요소를 제품의 형질, 즉 인자로 규정하고 이러한 인자의 구조를 진화론적 관점에서 해석하여 우성인자, 혁신인자 그리고 최적화 인자로 정의 내렸다. 또한 이러한 인자의 결성구조를 분석하여 경쟁력 있는 제품 컨셉의 형성구조와 지속가능한 전략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기업의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전략적인 틀을 제안하였다. In the knowledge informatization society, the rapid development of network makes it difficult to expect the direction the trend will flow to. Therefore,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enterprises to expect the result of selection of the time to launch new products or services in the market and it is required to designers to improve the wasting situation caused by weak logical background. Differently from such situation of enterprises, various product trends formed by the consumers` cool decisions exist in the market and the success and failure of such products chosen by the consumers are not logically proved but have the property to be decided by the psychological factors of consumers. This property is similar with the shape that many kinds of organisms evolve through the processes of survival of the fittest by mutual competition, organization routine, and mutation. That is, the trends may be explained as the process of evolution that is irregularly done by the dynamic consumers. If it is correct, it is required for the enterprises in establishing new directions or strategies to analyze the structure of product factors, which are naturally formed by the flow of the consumers in the current market, and to seek for the strategic values and processes of the next generation products or services based on such factors, rather than using quantitative trend analyses focused on expectation of politics, society, culture, and economy. By doing so, the enterprises would be able to make the strategic ground for market-oriented and continuous competitiveness in the uncertain social flow like present time. In this study, the factors to determine the trends are defined as the nature, i.e. factors, of products and these factors are defined as dominant factors, innovational factors, and optimization factors at the viewpoint of evolution theory. The forming processes of competitive product concepts and sustainable strategies were studied by analyzing the forming processes of such factors and, based on this result, the strategic frames to continuously maintain and develop the competitiveness of the enterprises are suggested.

      • KCI등재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른 주거공간의 공간경험디자인 체계에 관한 연구

        천하봉(Ha Bong Chun)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3 한국디자인리서치 Vol.8 No.1

        최근 라이프스타일의 다양화, 공유경제의 활성화에 따른 사회적 트렌드의 변화는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주거공간의 본질적 기능과 영역에 다양한 변화를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변화를 가져온 주거의 형태와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요인들을 분석하여 주거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생활공간을 정의하고, 통합된 생활공간에서 운영되는 콘텐츠 서비스를 통한 주거경험의 특성과 운영체계, 그리고 공간을 기반으로한 생활 플랫폼에서 경험디자인의 특성과 구현 체계를 유형화 하였다. 본 연구의 범위와 방법은 생활공간에서 경험디자인의 특성과 구현 체계에 대한 유형화를 위하여 첫째, 주거 형태와 라이프스타일 변화의 특성을 문헌조사와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하여 변화된 생활공간을 정의하고 둘째, 공간별로 분석된 공간경험디자인의 특성 요인을 바탕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 방향성을 구체화하였다. 셋째, 체계화된 공간경험디자인의 특성을 바탕으로 생활 플랫폼으로써의 구조 개념과 경험디자인의 구현 체계를 유형화하였다. 본 연구는 주거 공간에서 통합된 경험 구현을 위한 생활공간의 정의와 구현 체계에 관한 연구로 플랫폼으로써 공동 주택의 변화에 대한 방향성과 체계를 구체화하기 위한 접근이며, 연구 결과로 도출된 생활공간에서의 경험디자인 구현 체계를 기반으로 이론화될 수 있는 기본적인 틀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Recent social trends - the diversification of lifestyles, and revitalization of the sharing economy - has led to significant changes in the fundamental functions and residences, particularly in apartmen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fine an optimized residential space by analyzing housing forms and lifestyle change factors. The study further categorizes the characteristics and operation system in an integrated living space including the integrated experience design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 system for service content development and operation. The study scope and methods to classify the characteristics and systems of integrated experience design in integrated housing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housing forms and lifestyles were defined through literature and previous research. Seco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the study direction was established using the analyzed factors of space experience design. Third, the structure concept of living platforms and the systems for implementing experience design were classified using the actualized space experience design characteristics. This study focuses on the basic concepts and systems for implementing integrated experiences in residences. Subsequently, it approaches the direction and systems for changes in housing as a unified platform. This study provides a framework that can be theorized using the experience design system for living spaces derived from its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