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과 교육과정 지역화 정책에 대한 전문가 인식 탐색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및 성취기준 개정을 중심으로-

        천주영 ( Joo-young Chun ),이경건 ( Gyeong-geon Lee ),홍훈기 ( Hun-gi Ho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1 No.6

        교육과정의 ‘지역화’ 정책은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한 방향인 ‘분권화·자율화’ 정책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이러한 교육과정 정책의 변화는 학생들이 지능 정보 사회 도래, 그린 혁명, 저출산 시대라는 미래사회의 뉴노멀에 대응할 수 있도록 사회변화 대처 역량 함양을 꾀한다. 특히 끝없이 확대되고 변화하는 과학과 교육환경과 컨텐츠를 고려하면 과학과 교육과정의 지역화는 다양성을 통한 전문성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과 교육과정 지역화 정책에 대한 전문가의 인식을 통해 과학과 교육과정 ‘시·도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이하 ‘지침’)’과 성취기준 개정 중심으로 교육과정 개정 시점의 시사점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연구 참여자들은 과학과 고유의 특성에 기인하여 교육과정 지역화 확장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고, 17개 시·도교육청을 의미하는 지역 수준 지역화와 학교 수준 지역화 사이에 위치하는 시·도내 지역교육청 또는 마을 단위의 지역화 수준을 인식하였으며, 향후 학교 수준까지 지역화가 도달했을 때 교사의 수준이 지역화의 수준이 될 수 있음에 주목하여 교사 역량 등 교원 정책과의 연계 논의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과학과 교육과정 ‘지침’의 지역화가 이루어지려면, 이와 병행하여 17개 시·도에 일부 성취기준을 자율적으로 구성할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는 공통적인 인식이 나타났다. 그리고 이와 연계되는 과학과 ‘성취기준의 지역화’를 위해서는 ‘성취기준의 재구조화 또는 대강화’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한편, 교육과정지역화 정책에 의해 과학과 교육과정의 다양화·자율화 측면이 제고될 것으로 예측하면서도, 성취기준의 설정은 평가와 직결되기에 과학과 ‘지침’ 내 평가 항목의 기술이 새롭게 이루어지는 등의 정책의 정교화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마지막으로 과학과 특성을 고려할 때, 수업 소재의 지역화를 넘어서서 지침 자체에 지역별 중점 과학교육정책을 명시해 담을 필요가 있음을 언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는 추후 2022 개정 교육과정에 있어서 과학과 교육과정 지역화의 구체적 거버넌스 구축과 과학과 교육과정 ‘지침’ 및 성취기준 개선에 관한 실질적인 정책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curriculum localization policy is closely related to the decentralization and autonomy policy, which is a direction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continuously expanding and changing environment and contents in science education, the localization of the science curriculum has the advantage of advancing to expertise through diversity. In this paper, through experts’ perception of the science curriculum localization policy, the implications of the curriculum revision were confirmed, focusing on ‘MPOE(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curriculum arrangement and implementation guidelines(hereinafter referred to as ‘guidelines’)’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revision of science curriculum. In conclusion, study participants considered that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localization of the curriculum was high due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science practices. And they recognized the level of localization at the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or village’-level between MPOE-level and school-level. When localization reaches the school-level in the future, it was considered necessary to discuss linkage with teacher policies such as teacher’s competency, noting that the level of teachers could become the level of localization. In addition, there was a common perception that in order for the science ‘guidelines’ to be localized, 17 MPOE must be given the authority to autonomously organize some achievement standards in parallel. It was considered that ‘restructuring or slimming of achievement standards’ should precede localiz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in connection with this. On the other hand, it was predicted that the curriculum localization policy would enhance the aspect of diversification and autonomy of the science curriculum, and the establish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was directly related to evaluation, so it recognized the need to refine policies such as new description for evaluation clause in future science ‘guidelines’. Finally, considering science and characteristics, it was mentioned that it is necessary to specify regional intensive science education policies in the ‘guidelines’ themselves beyond the localization of teaching materials.

      • KCI등재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반한 2015 개정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천주영(Joo-Young Chun),이성민(Seong-Min Lee),홍훈기(Hun-Gi H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7

        교육과정 성취기준은 교육의 목표 및 내용과 평가의 방향을 제시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만큼 교육과정 총론의 철학을 구현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을 기반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마찬 가지로 성취기준이 특정 범주 및 개념 이해에 집중되어 있다. 이는 2015 개정 교육과정 과학과의 성격 및 과정중심평가의 방향과 충돌하므로 다양한 활동과 탐구가 가능 한 성취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5-6학년군 성취기준에서 상위인지가 3-4학년 군보다 오히려 감소했으므로 학년에 따른 인지과정 차원의 체계적인 위계화를 고려해야 한다. 셋째, 성취기준에 특정 서술어 사용 빈도가 높고 대부분의 서술어가 ‘이해하다’ 인지과정에 속하므로 인지과정의 다변화를 위해 성취기준 서술어 사용의 다양화와 명료화가 필요하다. 넷째, ‘내용+행동’으로만 진술된 현재의 성취기준은 교사가 현장에서 ‘방법’ 측면을 재확인 및 고찰해야 하는 어려움이 생기므로 성취기준 제시 형태에 대해 검토해야 한다. 다섯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역량 중심 교육과정으로서 2015 개정 교육과정 과학과 핵심 역량을 성취기준에 구체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과학과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미래 성취기준 개발에 대한 보다 정밀한 전략이 요구된다. The achievement standards is critical to implementing the philosophy of curriculum, as it has the ability to present the aims and goals of education and the direction of evalu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ccording to Bloom’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chievement standards are focused on specific categories and understanding concepts, like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This conflicts with the nature of curriculum and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refore, various achievement standards should be prepared for various activities and exploration. Second, meta-cognition in the 5-6 grade was less that it in 3-4 grade rather. Thus, the systematic stratification of cognitive processes according to the academic grade shall be considered. Third, because the frequency of a particular description is high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most of the descriptions are in the cognitive process of the ‘understand’, the diversification and clarification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is required for diversity the cognitive processes. Fourth, the current achievement standards stated only by the ‘content+action’ form have difficulties requiring teachers to review and consider them in class. Therefore, it shall be reviewed for the form of achievement standards statement. Fifth, the 2015 revise curriculum is a competency -based curriculum, so it needs to be specifically reflect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Science core competencie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conclusion, a more precise development strategy is required for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future curriculum based on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Science.

      • KCI등재

        한국 과학과 교육과정의 지역화 동향 분석 연구 : 초등학교 시·도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을 중심으로

        천주영(Chun, Joo-young),이경건(Lee, Gyeong-geon),홍훈기(Hong, Hun-g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7

        목적 2022 개정교육과정 추진 방향의 하나로 ‘지역 분권화·자율화’가 제시된 상황에서 제6차 교육과정에서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한국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 지역화의 동향을 시·도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과학과 교육과정의 맞춤화·다양화를 분석하여 과학 교과의 지평 확장 가능성을 모색하고, 교육자치에 대한 요구가 높은 현시점에서 미래형 교육과정 준비를 위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방법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의 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지침’) 148건을 수집하여, 그 가운데 과학과 교육 중점에 관한 갱신이 이루어진 97건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분석 방법으로서는 ‘지침’ 내용의 시간적 변화와 공간적 다양성 측면에서의 분석을 병행하였다. 시간적 측면에서는 국가 교육과정 시기별 ‘지침’의 과학과 교육 중점을 분석하여 각 교육과정 시기별 특징을 기술하였고, 공간적 측면에서는 지역별 ‘지침’에서 나타나는 특색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 3인이 지역별 특성을 코딩하고, 합의에 의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시간적 측면 분석은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 지역화가 시간의 큰 흐름에서 그 양과 질의 측면에서 점차 내실화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보여주며, 공간적 측면에서는 지역별 자연 환경 및 과학관 등의 비형식 과학교육 요소가 초등 과학 교육과정 지역화에 핵심적 역할을 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또한 시간적 측면과 공간적 측면을 아울러 전반적으로 국가 수준 교육과정 문서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는가 하면, 특정 지역 교육청에서 나타나는 과학과 교육 중점의 내용이 타 지역 교육청의 문서로 확산되는 경향 또한 발견할 수 있었다. 결론 시·도 교육과정에 중심화와 탈중심화라는 상반된 영향력이 동시에 작용하게 될 경우에 시·도 단위 ‘지침’ 구성의 어려움이 예상되므로 2022 개정 교육과정 고시를 대비하는 현 상황에서 향후 교육과정 지역화를 위한 정책은 ‘지침’ 구성의 자율성을 일관적으로 보장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이라는 개별 교과 교육과정의 지역화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점, 그리고 교육과정 지역화에 대한 통시적인 관점을 취하였다는 점 등에서 고유한 독창성과 의의를 지닌다. Objectives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RNC) is known to be oriented to ‘regional decentralization and autonomy’.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 of localization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from the 6th National Curriculum (NC) to the 2015 RNC based on the MPOE(Metropolitan·Province Office of Education) guidelines of curriculum arrangement and implementation. We explored the possibilities of broadening science subject education through optimization and diversification, and elicited implications for the future-oriented curriculum. Methods We collected 148 guidelines for elementary education from 17 MPOE, and selected 97 of them as data to be analyzed, which spanned from the 6th NC to the 2015 RNC. We delineated the temporal pattern and the spatial diversity found in the guidelines. We paralleled temporal analysis and spatial analysis. For the temporal aspect, we describ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cus’ of science education in guidelines according to the NC period. And for the spatial aspect, we specified differences between regions and provided distinctive cases. Total of 3 researchers code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made an agreement. Results The temporal aspect analysis of this study shows that elementary science and curriculum localization are moving toward the maturity in terms of quantity and quality. And in the spatial aspect, it shows that informal science education resources such as natural environment and science museums play a key role in localization of science curriculum. While NC document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MPOE guidelines in general, we could also find that some content in the guideline of a specific region had spread to others. Conclusions Possible confliction between the influences of centralization and decentralization would make constructing the MPOE guidelines difficult. Therefore, future curriculum localization policies need to assure the autonomy of MPOEs consistently. This study has its uniqueness focusing on the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and taking a diachronic viewpoi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