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증례 : 낭성 기관지확장증 환자에서 비대된 관상동맥 -기관지동맥 문합 1예-

        천병철 ( Byoung Cheol Cheon ),박인호 ( In Ho Park ),유정화 ( Jeong Hwa Yu ),장세중 ( Sei Joong Chang ),홍종서 ( Jong Seo Hong ),안경주 ( Kyoung Ju Ahn ),전의용 ( Eui Yong Jeon )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3 No.3

        관상동맥-기관지동맥 간 문합은 특별한 증상이 없는 일반인에서도 관찰할 수 있는 혈관기형이다. 하지만 기저폐질환이 문제가 된다거나 다른 원인들에 의해 문합을 통해 폐로 가는 혈류량이 늘어 심근에 허혈성 증상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우리가 보고한 환자는 심한 낭성 기관지확장증으로 인하여 종격동 내 비정상적 문합의 비대가 심한 환자였다. 환자는 비특이적인 흉통을 주소로 시행한 심혈관 조영술에서 우연히 혈관 이상이 발견 되었고, 기관지동맥 색전술과 폐부분절제술을 통하여 성공적인 치료를 받았다. Anastomoses between a coronary artery and bronchial or mediastinal arteries have been described since the 19th century. Although coronary-to-bronchial artery communication has been well described, it remains an unusual finding. We report one adult case of abnormally enlarged two coronary-to-bronchial artery communications in a severe cystic bronchiectasis patient. In this case, the bronchial arteries were also supplied from the multiple systemic arteries (the internal mammary, subclavian, inferior phrenic and intercostal arteries) because of severe cystic bronchiectasis. We treated the patient by embolization of the bronchial artery with the abnormal anastomoses and then by surgical resection of the cystic bronchiectatic lung lesion. To date, the patient remains free of symptoms.(Korean J Med 73:330-335, 2007)

      • KCI등재

        최근 30년간 국내 논문에 보고된 납중독증에 대한 고찰

        김지연,김종혁,김현우,노지호,이관행,천병철,남상민 대한내과학회 2004 대한내과학회지 Vol.66 No.6

        배경 : 납은 우리 주변 환경에 널리 존재하며 오랜 시간 동안 여러 용도로 사용되면서 많은 납중독 사례가 보고 되었다. 특히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변동남아 국가에서는 한약에 의한 비직업성 납중독이 보고 되고 있다. 방법 : 1973년부터 2002년까지 Medric을 통하여 검색한 납중독 관련 논문들과 이들의 참고문헌을 바탕으로 총 45예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들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특성으로 분류하였다. 1) 보고연도, 2) 연령, 3) 성별, 4) 노출경로, 5) 노출기간, 6) 발현된 중독 증상, 7) 치료 결과 : 전체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41.4세였고, 성별에 따른 분포는 큰 차이가 없었다. 비직업적 납중독은 대부분 한약에 의한 경우들이었다. 한약에 의한 납중독의 경우 한양의 평균 복용기간은 7.3±3.8개월이었고, 복용량은 5 ㎎∼3 g까지 다양하였다. 납중독 환자들의 임상증상은 주로 복통, 두통, 변비 등이었다. 특징적인 실험실 소견으로 빈혈이 관찰되었다. 주 치료 약제는 경구 penicil lamine이 사용되었다. 결론 : 납중독은 임상에서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유사한 질환이 많아 진단하기에 어려운 면이 있다. 특히 비직업성 납중독의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우리나라에서는 서양과는 달리 한약제에 의한 비직업성 납중독이 다수 발견되어 왔다. 본 저자들은 이러한 납중독의 예방과 관리를 위해 건강보조식품이나 한약(특히, 한약류) 등의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제조 및 향후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Background : Because of widespread and long-term use of lead, many lead poisoning cases were reported. Especially, in Korea including Southeast Asia, we observed non-occupational lead poisoning cases by herbal medication. Methods : We identified total 45 cases of lead poisoning through Medric search, from 1973 to 2002. Bibliographies of relevant articles were reviewed. We arranged cases by attributes following 1) reported year, 2) age, 3) sex, 4) exposure sources, 5) exposure duration, 6) clinical manifestation, 7) treatments. Results :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41.4±15.7 year-old. The distribution by sex did not have difference each other. The non-occupational lead poisoning cases were mostly caused by Chinese herbal medication. On the cases of the herbal lead poisoning, average exposure duration was 7.3±3.8 months and the various dosages were taken from 5 ㎎ to 3 g. The major clinical symptoms were abdominal pain, headache, and constipation. The typical laboratory finding was anemia. Major treatment agent was oral penicillamine. conclusion : To differential diagnose of the lead poisoning from many diseases with similar symptoms is very difficult solely on the clinical aspect. Especially, in non-occupational cases it is more difficult. In Korea, non-occupational lead poisoning cases by herbal medication have been discovered more than in western countries. We reviewed about the lead poisoning cases since 1973, so we want to make an aware of scientific and rational making and management of lead in the health supplementary food and herbal medic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