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채인석 ( Chae In-seok ),장효열 ( Jang Hyo-yeol ) 한국자치행정학회 2021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5 No.2

        본 연구는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2018(2차년도) 데이터 공개 자료(2020.12.1.)를 활용하여 전국의 중학생 1학년 코호트 2,438명을 대상으로 SPSS 25.0과 Process Macro 3.5(Model 4)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행복감을 정적으로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관적 건강상태는 우울과 부적으로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울은 행복감에 부적으로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우울은 주관적 건강상태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주관적 건강상태는 행복감을 높이기도 하지만 우울을 통해 간접적으로 낮추기도 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청소년의 행복감을 높이기 위해 주관적 건강상태를 향상시키고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정책과 프로그램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in the effect of subjective health status of adolescents on happiness. To this end, using data from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2018(2nd year) data disclosure date(December 1, 2020)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SPSS 25.0 and Process Macro 3.5 (Model 4) were used to target 2,438 first-year cohorts of middle school students nationwide. Analyzed,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adolescents positively predicted happiness. Second, it was found that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significantly predicted by depression and amulet. Third, depression was found to significantly predict happiness as a talisman. Fourth, depression was found to be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feelings of happiness.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raises the feeling of happiness, but also indirectly lowers it through depress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tried to suggest policies and programs that can improv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reduce depression in order to increase the happiness of adolescents.

      • KCI등재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사례연구

        박헌수(Heon Soo Park),채인석(In Seok Chae),강지은(Ji Eun Kang)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37 No.-

        본 사례연구는 사회복귀시설에 입소한 30세 남자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2010년 8월부터 10월까지 총 5회에 걸친 직업재활 사례 개입 연구이다. 본 사례연구의 목적은 직업재활 사례관리를 통해 직장 내 적응과 사회적응능력을 향상시켜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하며 이와 더불어 가족들의 보호부담을 줄이고 클라이언트의 직업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 지속적으로 직업유지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다음과 같은 목표를 설정하여 5회에 걸쳐 개입하였다. 첫째, 클라이언트의 직업재활에 대한 욕구를 파악하여 적성에 맞는 직업을 탐색하였다. 둘째, 취업 전 직무지도를 통해 직무능력 습득 및 의욕을 강화하였다. 셋째, 취업 후 지속적인 직무지도를 통해 직무능력을 향상시켜 직업만족도를 높인다. 본 사례연구를 통해서 도출된 결론으로,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위해 첫째, 직업재활에 대한 욕구를 파악하고 적성에 맞는 직업을 탐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둘째, 사회복지사는 직무지도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어야 한다. 직무지도원의 전문성이 취업률, 직업유지에 영향을 주므로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현장중심의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정신장애인의 직업적응능력을 향상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개별상담, 사회기술훈련, 대인관계기술훈련, 직무역량강화프로그램 등이 필요하다. 넷째, 취업 후 사회복지사는 지속적인 직무지도를 통해 정신장애인의 직업적응능력을 향상시키고 직업만족도를 높여서 성공적인 직업유지를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따라서 정신장애인의 성공적인 직업재활을 위해 지속적인 사례관리를 통한 직업유지와 자립생활에 대한 지원 계획도 필요함을 인식하게 되었다. The subjects of this case study are mentally injured men in their thirties who are housed in facilities intended for helping them to return to normal life in society, and this study looked at the facilities`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for a total of five times from August, 2010 till November of the same year. This study has its aim at coming up with ideas on effectiv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for the mentally injured people that can help them stand their own feet financially and that help them adapt themselves to their work places and their society despite their physical handicaps. And this study also aims to devise effective ways that can ease their family members` financial burdens and that can increase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jobs in the hope that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jobs will surely help them remain on payrolls of their companies. In order to study these, the following goals were established to look at the facilities`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for a total of five times. First, whether or not the facilities try to develop types of jobs that are suitable with the subjects` aptitudes after finding out their desires regarding their jobs. Second, whether or not the facilities educate them to perform their jobs better before they find employment, and develop any effective education programs that include how to improve their job performance skills and do anything to strengthen the subjects` will to perform their jobs successfully. Third, whether or not they implement any programs that can help the mentally injured people improve their job performance skills by offering job coaching programs continuously even after they find employment and what the facilities do to increase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jobs. In conclusion, a continual management of cases regard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for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is absolutely needed and establishment of support programs intended for helping them stand on their own feet financially by helping them stay on their payrolls is also necessary.

      • KCI등재

        취업한 정신장애인의 직업유지에 관한 연구 -직무만족, 자기효능감, 취업의지, 직업적응능력, 직업환경만족도를 중심으로-

        남연희(Nam Yeun-hee),채인석(Chae In Seok) 한국직업재활학회 2009 職業再活硏究 Vol.19 No.1

        본 연구는 취업한 정신장애인의 직무만족도, 자기효능감, 취업의지, 직업적응능력, 직업환경만족도와 직업유지기간이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연구결과를 기초로 장애인의 직업유지를 지원하기 위한 직업재활 서비스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 취업의지, 직업환경만족도, 직무만족과 직업유지기간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직업유지기간에 따라 직업적응능력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연구결과 25개월 이상이 24개월 이하에 비해 직업적응능력이 낮아지는 결과를 통해서 장기근속을 유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정신장애인의 직업환경만족도는 정신장애인 직업적응능력과 직무만족에 있어서 중요한 변수이며, 자기효능감은 직무만족과 직업적응능력에 있어서 중요한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업적응능력이 자기효능감과 직업환경만족도가 직업유지기간에 관련성이 있다는 결과를 통해 이에 대한 프로그램개발이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취업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서비스 개입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기근속하고 있는 정신장애인의 기능수준에 맞춘 개별화, 차별화된 직업적응능력 프로그램의 개발과 개입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물리적ㆍ심리적인 직업환경의 개선과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개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정신장애인의 장기근속을 유도할 수 있는 직업환경개선과 함께 임금보상등 다양한 접근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presenting rehabilitation service for improving the duration of job maintenance for the worker with mental disorders. Examined what relevant to the duration of job maintenance for the worker with mental disorders and job satisfaction, self-esteem, the will of employment, job adaptation skill, satisfaction of work environment. Here we reveal the results from this study. First, It does not related self-esteem, the will of employment, satisfaction of work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and the duration of job maintenance, but job adaptation skill is important affect factors. And the result on study is required institutional mechanism lead to long term through more than 25 months compared to less than 24 months. Second, satisfaction of work environment for the worker with mental disorder is an important variable for job satisfaction and job adaptation ability. And self-esteem is a key variable for the job adaptation skill.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support to the job maintenance should be make because job adaptation skill is related to self-esteem, and satisfaction of work environment is related to the duration of job maintenance for the worker with mental disorders.

      • KCI등재

        척수손상장애인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자기효능감 매개효과 중심으로

        남연희 ( Yeun Hee Nam ),채인석 ( In Seok Chae ),이승준 ( Seung Joon Lee ),천덕희 ( Duk Hee Chun ),김영삼 ( Young Sam Kim ) 慶熙大學校 社會科學硏究院 2011 社會科學硏究 Vol.37 No.2

        본 연구는 척수손상장애인의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2009년 10월 6일부터 12월 30일까지 전라북도에 거주하고 있는 척수손상장애인을 대상으로 설문한 자료 총 111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이 삶의 만족도에 59.0%의 설명력이 있었으며, 사회적 지지가 자기효능감에 비해 높은 영향력이 있었다. 그리고 사회적 지지는 자기효능감을 통해서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서 척수손상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사회적 지지를 강화하고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서비스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look into whether or not self-efficacy mediates between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of those with Disability Owing to Spinal cord Injury. In order to carry out this study, those with Disability Owing to Spinal cord Injury, residents of Jeollabuk-do Province. were given questionnaires and asked to answer the questions that appear on them. A total of 111 copies of respondence were analysed which collected from the subjects. The survey period was from Oct. 6th, till Dec. 30, 2009.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have influence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surveyed subjects by 59.0 percent and among the two element, social support was found to have a lot stronger influence, compared to self-efficacy. Social support was found to have exert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life satisfaction when they have self-efficacy as well. The findings show that in order to enhance life satisfaction of those with disability caused by spinal cord injury, it is necessary to boost social support and develop more various social welfare programs and provide them with services more actively that aim to improve their self-efficacy.

      • KCI등재

        중학생의 사이버비행과 현실비행과의 관계에서 학업무기력의 매개효과

        이승준 ( Lee Seung-joon ),채인석 ( Chae In-seok ),김낙호 ( Kim Nak-ho ),김호성 ( Kim Ho-sung ) 한국자치행정학회 2021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5 No.1

        본 연구는 중학생의 사이버비행과 현실비행이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사이버비행과 현실비행과의 관계에서 학업무기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2018(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전국의 중학생 1학년 코호트 2,590명을 대상으로 SPSS 25.0과 Process Macro 3.5(Model 4)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학생의 사이버비행과 현실비행 사이에서 학업무기력이 매개 역할을 하고, 사이버비행은 학업무기력을 매개하여 현실비행에 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학생의 사이버비행이 높을수록 학업무기력이 높을수록 현실비행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사이버비행, 현실비행, 학업무기력에 대한 시사점과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yber delinquency and reality delinquency on academic helpless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helpless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 delinquency and reality delinquency. To this end, using data from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s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2018(1st year), SPSS 25.0 and Process Macro 3.5(Model 4) were used to target 2,590 first-year cohorts of middle school students nationwid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academic helplessness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cyber delinquency and reality delinquency of middle school students, cyber delinquency mediated academic helplessness to indirectly significantly affect reality delinquency, an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cyber delinquency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higher the academic helplessness, the higher the reality delinquency.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nd intervention plans for the cyber delinquency, reality delinquency, and academic helpless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were presented.

      • 메타분석을 활용한 중증장애인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남연희(Nam Yeun-Hee),채인석(Chae In-Seok) 한국복지행정학회 2008 복지행정논총 Vol.18 No.2

        본 연구는 메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국내 중증장애인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에 관한 성과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1990~2007년 동안 이루어진 논문 및 학술잡지 중 국회도서관과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원문을 제공하는 116편을 대상으로 최종 6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립생활연구경향을 살펴보면 연구는 1990년대부터 시작되었으나 활성화된 시점은 2000년 이후이며, 연구주제는 방법론적인 연구보다는 문제 중심적인 정책이나 서비스에 집중되었다. 또한, 개별적인 장애를 반영하기보다는 종합적인 방향으로 집중되었다. 둘째, 일반적인 특성요인, 가족적 특성요인, 사회적 특성요인에 대해 연구자가 코딩하여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3가지 요인 모두다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메타분석을 통해 개별적인 연구결과들을 종합하여 중증장애인이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들을 확인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추후 연구에 보다 효율적이고 전문성 있는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연구의 체계를 만드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며, 자립생활연구경향을 분석하고 한 쪽으로 치우친 연구의 방향을 바로 잡는 탐색적 연구를 했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rrange the accomplishments of domestic studies on factors affecting the independent living of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by applying a meta-analysis. The original texts of 116 theses, dissertations and articles provided by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were selected, and six theses, dissertations and articles were finally selected from among the data.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a pervasive trend in the studies on independent living, the first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1990s, and full-scale studies have been implemented since 2000. Concerning the themes, the studies mostly dealt with problem-centered policies or services rather than methodology, and covered disabilities from an all-around perspective without concentrating on any particular types of disabilities. Second, the correlation among general, family and social characteristics was checked after the data were coded, and all the three factors had an impact on independent living. The attempt to make a meta-analysis of the findings of the different studies wa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ed what affected the independent living of severely disabled people.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pave the way for more efficient and professional future research on the same theme. Specifically, this study made an exploratory effort to find out the trend in studies on independent living and lead the lopsided research trend in the right direction.

      • KCI등재후보

        DEA를 이용한 화학물질 배출에 대한 지역별 효율성 분석

        정수현(Su-Hyeon Jeong),채인석(In-Seok Chae),성지연(Ji-Yeon Seong),가정희(Jung-Hee Ga),김재연(Jae Youn Kim) 한국위험물학회 2015 한국위험물학회지 Vol.3 No.2

        Recently, the chemical management is getting more important due to the increase in chemical accidents and environmental damages. However, most of the chemical’s management is focused on the use phase rather than emission stages. In this paper, the regional chemical emission efficiency was analyzed by using DEA with focusing the emission of chemical substances. Since the outcomes include the good ones such as sales revenue as well as bad ones like carbon dioxide, waste water and solid wastes, undesirable model showed not only efficient regions but also inefficient ones unlike the SBM (Slack-based measure) model. It seems to be that in SBM model chemical emissions and carcinogenic emissions act just as a positive factor. But in undesirable model these act as the negative ones and due to this effect, the efficiency of heavy chemical emission regions were decreased.

      • KCI등재

        부상분리 공정의 접촉영역 모델을 이용한 이산화탄소와 공기 기포의 충돌 및 입자 분리효율 비교 평가

        양종원 ( Yang Jong-won ),최용호 ( Choi Yong-ho ),채인석 ( Chae In-seok ),김미숙 ( Kim Mi-sug ),정용훈 ( Jeong Yong-hoon ),김태금 ( Kim Tae-geum ),곽동희 ( Kwak Dong-heui ) 한국물환경학회(구 한국수질보전학회) 2019 한국물환경학회지 Vol.35 No.1

        In recent years, carbon dioxide (CO<sub>2</sub>) bubbles emerged as the most widely applied material with the recycling of sequestrated storage to decrease global warming. Flotation using CO<sub>2</sub> as an alternative to air could be effective in overcoming the high power consumption in the dissolved air flotation (DAF) process. The comparison of DAF and DCF system indicated that, the carbon dioxide flotation (DCF) system with pressurized CO<sub>2</sub> only requires 1.5 ~ 2.0 atm, while the DAF system requires 3.0 ~ 6.0 atm. In a bi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le separation, the single collector collision (SCC) model was used and a series of simulations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collision and flotation between CO<sub>2</sub> bubbles and air bubbles. In addition, laboratory experiments were sequentially done to verify the simulation results of the SCC model. Based on the simulation results, surfactant injection, which is known to decrease bubble size, cloud improved the collision efficiency of CO<sub>2</sub> bubbles similar to that of air bubbles.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e flotation experiments showed similar results with the simulation of the SCC model under anionic surfactant injection. The findings led us to conclude that CO<sub>2</sub> bubbles can be an alternative to air bubbles and a promising material as a collector to separate particles in the water and wastewater.

      • KCI등재

        미세기포를 이용한 호소 퇴적토의 인 부상분리 및 인의 거동특성 평가

        최용호(Yong-Ho Choi),정용훈(Yong-Hoon Jeong),양종원(Jong-Won Yang),채인석(In-Seok Chae),곽동희(Dong-Heui Kwak) 대한환경공학회 2019 대한환경공학회지 Vol.41 No.6

        정체수역의 퇴적된 침전물에서는 수환경 상태에 따라 인이 용출되어 수체에 영양소 공급원으로 작용하여 호소의 수질관리를 어렵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호소의 부영양화 억제를 목적으로 퇴적토에 함유된 인 제거를 위하여 미세기포를 호소 퇴적층 표면에 분사하여 수체로부터 인을 제거하기 위한 가상적 실내 실험을 실시하였다. 퇴적물 부상실험 및 응집제 주입량에 따라 제거되는 인에 대해서 T-P, PO₄-P 그리고 SRP (soluble reactive phosphorus)의 제거특성을 조사하고 이를 기초로 인의 형태 변화와 수체 내부에서의 거동특성을 살펴본 결과, 저층수와 퇴적토에 함유된 인을 일정수준 이상으로 제거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응집시간 등 부상분리 운전조건은 일반적인 수처리 운전범위와 다소 달랐으며, 특히 Al:P 몰비는 하수처리장의 고도처리 공정에 비하여 크게 높은 15~20 범위에서 수체로부터 안정적으로 인을 부상 제거할 수 있었다. 한편, 부상분리 후 재침전하여 alum이 포함된 표면의 피막을 형성하는 침전물층은 저부 퇴적토에서 용출되는 인을 흡착 억류하여 수체로의 인 용출을 차단하는 일종의 capping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Phosphorus (P) released under the anoxic condition in the sediments of stagnant water body acts as a nutrients source on the eutrophication of lake and hinders water management and nutrients control. In order to remove P in the sediments, a hypothetical condition that micro-bubbles are injected on the bottom surface of sediment layer was configured, and a series of experiment was carried out on the basis of the laboratory scale of the stepwise flotation process. The experiment results which the removal efficiency of T-P (total phosphorus), PO₄-P, and SRP (soluble reactive phosphorus) was investigated and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P was evaluated revealed that effective removal efficiency of P contained in the sediment could be achieved by the flotation using micro-bubbles. The operation conditions of flotation including flocculation time were different from the typical water treatment processes, and especially the molar ratio of Al to P was stable in the high range of 15~20 rather than the advanced treatment process of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s. On the other hand, the surface film layer formed by the re-sediments and contained aluminum after flotation can perform an effective function as capping to block P release from the deep sedi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