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화산선계록』에 나타난 선계와 인물 정체성의 관계

        채윤미(Chae, YunMi) 한국도교문화학회 2022 道敎文化硏究 Vol.57 No.-

        본고는 조선후기 한글장편소설 『화산선계록』이 80권 80책이라는 방대한 분량에 규범적 인물의 정체성 혼란에 대한 성찰을 중요한 하나의 문제의식으로 다루며 그러한 문제의식을 다루는데 선계를 전략적 장치로 활용한다는 점을 논의한 결과이다. 화산 선계는 난세에 직면한 남주인공이 사대부의 정체성 가운데 절의를 지킬 것인가, 출사할 것인가의 번뇌가 제시된 세계이다. 천상 선계는 여주인공이 남성적 정체성을 추구하게 된 삶의 근원이 해명되는 세계이다. 평진산 선계는 규방여성이 아내의 정체성을 버리고 신선의 정체성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내막이 드러나는 세계이다. 이 작품은 규범적 인물조차 정체성의 혼란을 경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 가운데 화산 선계를 배경으로 남주인공의 사대부 정체성의 혼란을 다루고 있음은 화산 선계라는 제목이 작품의 문제의식을 반영한 것으로 보게 한다. 이 작품은 정체성의 혼란을 다루는 과정에서 공동체가 요구하는 사회적 정체성과 개인적으로 욕망하는 개별적 정체성의 불일치가 일어나게 된 내막을 제시한다. 이러한 내막에는 개인을 억압하는 사회에 대한 비판적 시선이 투영되어 있다. 이러한 내막이 작품의 주요한 공간으로 설정된 선계를 통해 제시된 것은 고전소설에서 선계란 상상의 산물이자 비현실적 대상이기 때문에, 비판적 시선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배경이 된다고 여겼기 때문일 것이다. 공동체의 가치가 개인의 가치보다 우선시되던 당대의 맥락을 고려할 때, 규범적 인물의 정체성 혼란을 표현하기 위해 선계가 전략적 장치로 활용된 것으로 해석된다. This paper is the result of discussing the fact that Hwasan Sŏnkyerok deals with the identity confusion of normative characters as a problem and uses the realm of the transcendents as a strategic device to deal with such a problem. The Hwasan is a world in which the male protagonist, facing a turbulent period, is troubled by the identity of the nobility. The realm of the transcendents is a world in which the source of life where the heroine pursues masculine identity is explained. Pyeongjinsan Mountain is a world that reveals the inside story of an aristocratic woman who had no choice but to abandon her wifes identity and choose a fresh identity. This novel shows that the normative figure is experiencing identity confusion. In the process of dealing with the crisis of identity, it presents the inside story that a mismatch between the socially required community identity and the individually desired identity inevitably occurs. In this inner story, a critical view of a society that suppresses individuals is projected. This inner story is presented only in the realm of the transcendents because the realm of the transcendents is an object that is difficult to be visible, so it can be a device that can freely express a sense of criticism.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the Joseon Dynasty, this use of the realm of the transcendents is interpreted as a narrative strategy.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논증 텍스트에 나타난 양태 표현의 의미 기능 연구 -‘-(으)ㄹ 것이-’의 사용 양상을 중심으로-

        채윤미 ( Chae Yunmi ) 한국문법교육학회 2018 문법 교육 Vol.3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ing aspect of modal expression on the Korean Learner’s argumentative texts. Modality exists cross-linguistically, but it is not same as in every language. Korean speculative expressions are especially diversified and have similar meanings. Between those similar meanings of a modality, still delicate semantic differences exist, so it is not easy to distinguish them. Such a semantic difference causes varied pragmatic function in the discourse, so it is very important for Korean Learners to acquire semantic differences of speculative expression. The result from analyzation of the using ‘-eul geosi’ as a guess in Korean Learners’ writing shows that the Korean Learners have used the strategy of analogies, refute and future prosp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fundamental data in the selection process for practical sentence patterns, sample sentences, etc., in Korean writing education.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한국어 학습자의 핵심 어휘 및 문법 사용 양상 연구

        채윤미(Yunmi Chae),길호현(Ho hyun Kil),왕연(Yan Wang)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22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생산한 내러티브 텍스트의 언어적 표현에 대한 사용 양상을 한국어 모어 화자의 텍스트와 비교하여 살펴보고, 객관적인 방법으로 그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에 이루어졌던 분석 방법과 차별화를 두어 텍스트 마이닝의 언어 네트워크 기법을 활용하였다.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다고 판단되는 어휘와 문법적 요소를 추출한 후, 텍스트 구조에 따라 어휘와 시제·상의 사용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두 집단은 대부분 도입부, 사건 전개부, 결말부 구조에 따라 글을 전개하였으며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구조별 핵심 어휘와 어휘 간 관계성을 살펴본 결과 도입부, 사건전개부, 결말부에서 두 집단은 주제에 따른 내용의 차이를 보였으며 외국인 학습자의 경우 도입부에서 1인칭 대명사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특징이 나타났다. 또한 각 구조에 나타난 시제·상의 사용 양상을 살펴본 결과 외국인 학습자는 한국인 모어 화자에 비해 시제와 상, 그리고 양태성을 지닌 문법 요소에 대해서도 다양하게 활용하지 못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는 학습자가 초급에서 배운 문법 사용에 익숙해져 있으며 시제와 상과 관련한 습득은 아직 불완전한 것으로 보여 이에 대한 학습이 요구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정성적인 연구 방법을 통해서는 확인하기 어려웠던 언어적 특징을 전산화하여 명시적으로 파악하고 결과를 도출하려고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usage patterns of linguistic expressions in narrative texts produced by foreign Korean learners compared with the text of Korean native speakers, and to reveal their characteristics objectively. To this end, the semantic network technique of text mining was used to differentiate it from the existing analysis methods. After extracting the words and grammatical elements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we examined how the use of word, tense, and aspect differed according to the text structure. Korean native speakers and foreign Korean learners mostly developed their writings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introduction, events, and conclusion,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key words and words for each structure, the two groups showed differences in content according to the topic in the introduction, events, and conclusion. Foreign learners displayed a characteristic of excessive use of first-person pronouns. In ad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usage patterns of tenses and expressions in each structure, it was confirmed that foreign learners were unable to utilize the grammatical elements with tenses, aspect, and modalities as variedly as native Korean speakers did. This shows that the learner is accustomed to using grammar learned at the beginner level, and the acquisition related to tense and phase is still incomplete; hence, learning is requir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computerize and explicitly identify linguistic features that were difficult to confirm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derive at results.

      • KCI등재

        중국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교육에 관한 연구 -중국 출간 한국어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김지혜(Kim Jihye),채윤미(Chae Yun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해외 현지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의 경우 잘못된 화용적 정보로 인해 오류를 야기시킬 수 있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중국에서 출간된 한국어 통합 교재를 분석하여 한국어 요청 화행 교육의 실태를 알아보고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하였 다. 이를 위해 중국 현지에서 출판되어 중국 내 대학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3종의 한국어 초 중급 교재 11권에 나타난 요청 화행 표현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문법표현의 위계화, 제시 대화문의 적절성, 요청 화행의 다양한 상황 제시 부족, 요청 화 행 학습을 위한 연습 및 활동 제시의 부족 등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요청 화행은 매우 일상적이면서도 중요한 화행이며, 요청의 성격 상 청자에게 부담을 줄 수 있어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요청 화행의 교육을 위해서는 화자와 청자의 정보를 정확하게 제시하는 것을 비롯하여 요청 화행이 이루어지는 적절한 상황이 교재에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교재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해외에서의 한국어 교육을 위해서 실제 한국어 담화 상황을 잘 반영하여 상황 중심의 화행 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어야 한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analysis of Korean textbooks which are published in china so that can recognize the reality of Korean request speech-act education in china and discuss those problems. Because there are some mistakes in pragmatic infromations in Korean textbooks which are published in china so it can bring students make pragmatic errors. So when teachers convey the contents to students they need more appropriacy and veracity. We select the 11 Korean textbooks in elementary level and intermediate level which are using well in universities in china then analyzed those request speech act expressions. We find the hierarchy of grammar expressions, the appropriacy of sample conversation, the lack of request speech-act expressions and the lack of those expressions’s exercises and activity. The request speech act is a normal daily expression but it can make audiences feel pressured so meanwhile need use various of strategies. Therefore, when teaching Korean request speech-act expressions we need present the accurate information about audiences and speakers and present the interaction conversational. Especially in oversea areas which most dependence on Korean textbooks needs reflect more reality conversation environment in Korean textbooks.

      • KCI등재

        한중 학술 논문에 나타난 대인 관계적 메타담화 표지 대조 연구 - 결론 부분을 중심으로-

        왕연 ( Wang Yan ),채윤미 ( Chae Yunmi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23 텍스트언어학 Vol.55 No.-

        This study aims to reve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interpersonal metadiscourse markers that appear in the conclusion texts of academic papers in the field of Korean and Chinese language education. For analysis, a list of interpersonal meta-discourse markers was selected by referring to Hyland(2004) and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we examined interpersonal metadiscourse markers focusing on hedge markers, booster markers, author attitude markers, and author reference markers that appeared in the conclusions of 30 Korean and 30 Chinese artic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as a commonality in that the author attitude marker was frequently used in both Korean and Chinese articles, and the use of the booster marker was the least. In addition, in terms of frequency, it was found that hedge marks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in Korean articles, and author reference marks were used the most in Chinese articles. The causes of this pattern could be explored in various factors such as thesis structure, norms of the academic community, way of thinking and cultural influence, and type of research in the two count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emphasized the need to select and use genre characteristics of texts and meta-discourse markers in teaching reading or writing academic text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suggested that an appropriate educational direction needs to be establish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