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고정역할치료가 초등학생의 개인구념 및 대인불안에 미치는 효과

        차윤정(Cha Youn-Jung),안이환(Ahn Ie-Hwan)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인문학논총 Vol.1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Kelly(1955)의 고정역할치료(Fixed-Role theory)가 대인불안이 있는 초등학생의 개인구념(Personal Construct) 및 대인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산시내 K초등학교 5학년 5개 학급 가운데 대인불안검사(음정순, 2003)의 상위 15%에 해당하는 학생 18명을 선발하여 각각 9명씩(여 5, 남 4)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고정역할 치료는 Kelly가 2주 동안 실시한 6회기의 고정역할치료 프로그램을 본 연구자가 재구성 하였다. 고정역할치료 프로그램은 4주 동안, 주 3회 총 10회를 연구자의 교실에서 방과 후 시간을 이용하여 실시되었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디음과 같다. 첫째, 고정역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개인구념은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고정역할치료 프로그램은 실험집단 아동의 6가지 대인불안(일반적 대인불안, 집단·사회적 대인불안, 친구에 대한 대인불안, 특정인에 대한 대인불안, 이성에 대한 대인불안, 미지인에 대한 대인불안) 가운데 미지인에 대한 대인불안을 제외한 5개 영역애서 매우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고정역할치료는 초등학생의 대인불안에 대한 개인구념의 변화를 통해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법임이 확인되었다. The prnpose of this study is proving the effect of fixed-role theory at elementaIy students' individual construction and interpersonal anxiety. To prove these assumptions, each 9 students are categorized into experimented group and controlled group and the 18 subjects are from K elementary school in Busan. Before taking the program, two groups had individual construction test through interpersonal anxiety test and latticed role-construction. Based on Kelly’s (1955) fixed-role theory program taken 2 weeks in sixth fixed-role thoory program, the researcher, myself, reorganized the program with the six sub-factors of interpersonal anxiety analyzed to know the symptoms of interpersonal anxiety by Eum jung-soon(2003). Fixed-role thoory program was experimented 3 times a week, 10 times in total for 4 weeks with the subjects from experimented group after school in researcher’s clas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below. First, the experimented group’s individual construction experimented fixed-role theory program considerably improved. Second, interpersonal anxiety of experimented group taken fixed-role theory program considerably decreased except the interpersonal anxiety with strangers which is a sub-factor.

      • KCI등재

        도심지역(都心地域)의 아황산(亞黃酸) 가스에 의(依)한 대기오염(大氣汚染)과 수목내(樹木內) 엽(燁)의 수용성(水溶性) 유황(硫黃) 함량(含量) 및 수피산도(樹皮酸度)와의 관계(關係)

        차윤정,이경준,Cha, Youn Jung,Lee, Kyung Joon 한국산림과학회 199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80 No.3

        본(本) 연구는 우리나라 도심지역(都心地域)과 외곽지역(外廓地域)의 산림에서 자라고 있는 수목을 대상으로 엽중(葉中) 수용성(水溶性) 유황(硫黃) 함량(含量)과 수피(樹皮) 산도(酸度)(pH)를 측정함으로써, 도심지역(都心地域)의 오염상태(汚染狀態)를 진단하고 이러한 측정 방법이 대기오염(大氣汚染)의 생물학적(生物學的) 지표(指標)로서 적합(適合)한가를 구명하였다. 조사대상지는 오염지역(汚染地域)(서울의 남산(南山), 곽악산(冠岳山), 북한산(北漢山), 수원(水原)의 팔달산(八達山)과 비오염지역(非汚染地域)(강원도(江原道) 평창(平昌))으로 나누어 선정하였고 공시수종으로는 소나무 (Pinus densiflora S. et Z.)와 신갈나무 (Quercus mongolica Fisch.)를 선택하였다. 시료의 채취는 생육시기별로 나누어 1990년 5월, 8월, 10월에 3회 실시하였으며, 엽중(葉中) 수용성(水溶性) 유황(硫黃) 함량(含量)을 $BaSO_4$ 중량법(重量法)으로 측정하고 수피산도(樹皮酸度)를 pH meter로 측정하였다. 대기중(大氣中) 아황산(亞黃酸)가스 농도(農度)는 도시의 경우 1990년도 환경처 발표자료를, 평창의 경우는 임업연원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엽중(葉中) 수용성(水溶性) 유황(硫黃) 함량(含量)은 대기중(大氣中) 아황산(亞黃酸)가스 농도(農度)가 증가(增加)할수록 증가하였는데(상관계수(相關係數) 0.52), 남산(南山)지역에서 소나무와 신갈나무가 각각 0.170%와 0.081%의 함량(含量)을 나타내어 비오염지역(非汚染地域)인 평창(平昌)(소나무 0.023%, 신갈 0.034%)에 비해 상당히 높았다. 수피산도(樹皮酸度)(pH)는 대기중(大氣中) 아황산(亞黃酸)가스 농도(農度)가 증가할수록 낮은 pH를 보였는데 상관계수(相關係數 -0.52), 남산(南山)지역에서 소나무와 신갈나무에서 각각 pH 3.42과 3.63을 나타내어 평창의 pH 3.94와 4.93에 비해 훨씬 낮은 수치를 보였다. 시간별(時期別) 조사(調査)에서는 8월이 5월과 10월에 비하여 엽중(葉中) 수용성(水溶性) 유황(硫黃) 함량(含量)이 더 낮고, 수피(樹皮)의 pH는 더 높은 값을 나타냈는데, 이는 6-8월 기간중의 많은 강우량(降雨量)에 의하여 대기(大氣)가 정화(淨化)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소나무와 신갈나무의 수종간(樹種間) 비교에서는 오염지역(汚染地域)에서는 엽중(葉中) 수용성(水溶性) 유황(硫黃) 함량(含量)과 수피(樹皮)의 pH 모두에서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지만, 비오염지역(非汚染地域)의 수피(樹皮) 산도(酸度)(pH)에서는 신갈나무가 고유의 특성으로 인하여 소나무에 비해서 수피의 pH가 높고, 대기오염(大氣汚梁)에 따라서 소나무 수피보다 더 큰 변화를 나타냈다. 따라서 엽중(葉中) 수용성(水溶性) 유황(硫黃) 함량(含量)과 樹皮嚴度(pH) 는 대기오염(大氣汚梁)의 생물학적(生物學的) 지표(指標)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수피산도(樹皮酸度)는 측정 방법이 간편하면서도 대기오염(大氣汚梁)에 더 민감(敏感)한 지표(指標)라고 결론(結論) 짓는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between atmospheric $SO_2$ concentration and both soluble sulphur contents in the tree leaves and bark pH to test the possibility of using them as bioindicators for air pollution. Mt. Kwanak, Mt. Nam, Mt. Bukhan (located in Seoul) and Mt. Paldal (located in Suwon, Kyonggi-do) as polluted areas and Pyongchang, Kwangwon-do as an unpolluted area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Soluble sulphur contents in the leaves and hark pH of two tree species (Pines densiflora S. et Z. and Quercus mongolica Fisch.) were analyzed in May, August, and October, 1990 by $BaSO_4$ precipitation method and pH measurement, respectively. In both species, concentration of soluble sulphur in the leaves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atmospheric $SO_2$ (correlation coefficient : 0.52). Soluble sulphur contents in the 2-year-old needles of Pines densiflora (0.170%) and current year leaves of Quercus mongolica (0.081%) in Mt. Nam in the center of Seoul were higher than those in unpolluted Pyongchang area (0.023% and 0.034%, respectively). Bark pH decreased with increasing atmospheric $SO_2$ concentration (correlation coefficient : -0.52). Bark pH of P. densiflora (pH 3.42) and Q. mongolica (pH 3.63) in Mt. Nam were lower than those in Pyongchang area (pH 3.94 and pH 4.93, respectively). Both soluble S content in the leaves and bark pH were recognized as suitable bioindicators for air pollution by $SO_2$. Especially, bark pH showed more sensitive response to air pollution by $SO_2$ than soluble S concentration in the leaves. The lowest concentration of soluble sulphur and the highest bark pH in August were considered to be due to heavy rain during the rainy season. Soluble S content in the leaves and bark p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5% level between the two species in polluted areas.

      • KCI등재

        도심지역의 아황산 가스에 의한 대기오염과 수목내 (樹木內) 엽의 수용성 유황 함량 및 수피산도와의 (樹皮酸度) 관계

        차윤정(Youn Jung Cha),이경준(Kyung Joon Lee) 한국산림과학회 199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80 No.3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between atmospheric SO₂ concentration and both soluble sulphur contents in the tree leaves and bark pH to test the possibility of using them as bioindicators for air pollution. Mt. Kwanak, Mt. Nam, Mt. Bukhan (located in Seoul) and Mt. Paldal (located in Suwon, Kyonggi-do) as polluted areas and Pyongchang, Kwangwon-do as an unpolluted area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Soluble sulphur contents in the leaves and hark pH of two tree species (Pines densiflora S. et Z. and Quercus mongolica Fisch.) were analyzed in May, August, and October, 1990 by BaSO₄ precipitation method and pH measurement, respectively. In both species, concentration of soluble sulphur in the leaves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atmospheric SO₂ l.correlation coefficient : 0.52). Soluble sulphur contents in the 2-year-old needles of Pines densiflora (0.170%) and current year leaves of Quercus mongolica (0.081%) in Mt. Nam in the center of Seoul were higher than those in unpolluted Pyongchang area (0.023% and 0.034%, respectively). Bark pH decreased with increasing atmospheric SO₂ concentration (correlation coefficient : -0.52). Bark pH of P. densiflora (pH 3.42) and Q. mosagolica (pH 3.63) in Mt. Nam were lower than those in Pyongchang area (pH 3.94 and pH 4.93, respectively). Both soluble S content in the leaves and bark pH were recognized as suitable bioindicators for air pollution by SO₂. Especially, bark pH showed more sensitive response to air pollution by SO₂ than soluble S concentration in the leaves. The lowest concentration of soluble sulphur and the highest bark pH in August were considered to be due to heavy rain during the rainy season. Soluble S content in the leaves and bark p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5% level between the two species in polluted ar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