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브라질-콜롬비아-페루 아마존 삼국국경지역 초국가적 마약조직범죄의 성장과 지역안보

        차경미 ( Cha Kyung Mi ) 한국포르투갈-브라질학회 2024 포르투갈-브라질 연구 Vol.21 No.1

        상호의존성이 강하되는 국제사회에서 초국가적 조직범죄는 광범위한 국경 지역에서 성장하고 확대되었으며, 지역 및 국제안보의 주요 과제로 등장했다. 특히 브라질-콜롬비아-페루의 아마존 국경지역은 약탈, 기생 그리고 공생의 각 단계가 발전되는 초국가적 범죄가 전개되는 대표지역이다. 삼국의 아마존 국경은 남미지역 유일의 삼국국경은 아니다. 그러나 이 지역은 역내 다른 국경 지역보다도 불법작물재배 및 판매 그리고 불법광업활동, 삼림벌채 및 야생동물 밀반출 등 초국가적 조직범죄 온상으로 발전하고 있다. 브라질-아르헨티나-파라과이 삼국국경은 경제중심지 기능과 동시에 마약 및 무기밀매 등 초국가적 조직범죄가 성장하고 공간이지만, 지리적으로 접근이 어려운 아마존 국경지역과 달리 국가의 통제를 벗어난 회색지대로 묘사될 만큼 취약한 지역은 아니다. 오히려 광범위한 금융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세계시장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으며, 대규모의 인구가 유입되는 곳이다. 아마존 국경지역의 초국가적 조직범죄의 성장은 빈곤과 불평등이 근본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세계화의 진전과 함께 각국 제도의 취약성 그리고 이해를 달리하는 외교정책으로 인해 브라질-콜롬비아-페루 삼국 국경지역에 대한 국가의 통제는 더욱 약화되었다. 이러한 상황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라틴아메리카 국경지역 안보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브라질-콜롬비아-페루의 아마존 삼국국경지역을 중심으로 안보의 위협으로 작용하고 있는 초국가적 조직범죄의 성장 및 확대 과정을 살펴보고, 초국가 조직범죄 대응방안에 대해 재고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우선 초국가적 조직범죄의 진원지로 성장하고 있는 아마존 국경지역의 특징을 살펴보고, 아마존 지역을 거점으로 활동하는 브라질, 콜롬비아 및 페루 삼국의 주요 마약범죄조직의 성장과정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초국가적 조직범죄 대응을 위한 안보협력의 성과와 한계를 토대로 초국가적 조직범죄 대응을 위한 향후 과제에 대해 고찰하였다. In an increasingly interdependent international society, transnational organized crime has grown and expanded across extensive border areas and has emerged as a major challenge to regional and international security. In particular, the Amazon border region of Brazil-Colombia-Peru is a representative area where each stage of transnational crime, including plunder, parasitism, and symbiosis, can be found. The Amazon border between the three countries is not the only tri-national border in South America, but more than other border areas in the region, it is developing into a hotbed of transnational organized crime, including illegal crop cultivation, production and sale, illegal mining, deforestation, and wildlife smuggling. The Brazil-Argentina-Paraguay tri-border functions as an economic center, and organized crime, including drug and weapons trafficking, is growing, but unlike the geographically inaccessible Amazon border region, it is vulnerable enough to be described as a gray area beyond national control. It's not a region. Rather, an extensive financial network has been formed and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global market. As an economic center, it is a place where a large population flows. The security crisis in the Majon border region is related to drug trafficking, organized crime, and illegal armed organization activities, and the exclusion and inequality that symbolizes the region are acting as fundamental factors in the expansion of organized crime. Over the past 20 years, transnational organized crime in Latin America has developed in connection with drug production and trafficking, focusing on the Amazon border region of Brazil, Colombia, and Peru. Control of the Amazon region was further weakened by the institutional weaknesses of the governments of each bordering country and incompatible foreign policies with different interests. Taking this situation into consider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growth and expansion of transnational organized crime, which is acting as a threat to regional security, targeting the Amazon border region of Brazil-Colombia-Peru, which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border area security research in Latin America. We analyzed and explored ways to effectively jointly respond to transnational organized crime. First, we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Amazon border region as a gray area and examined the growth background of major drug crime organizations in the three countries operating as a base in the Amazon region. In addition, by examining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joint security cooperation to respond to transnational organized crime, we reconsidered the tasks for efficient response to transnational organized crime.

      • KCI등재

        강제실향민의 불평등 개선을 위한 라틴아메리카지역 국가의 공동대응: 카르타헤나 선언에서부터 브라질 행동강령까지

        차경미 ( Cha¸ Kyungmi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20 비교문화연구 Vol.59 No.-

        라틴아메리카 지역은 1970년대와 1980년대 중앙아메리카를 중심으로 확산된 내전으로 인해 강제실향민이 팽창했다. 이를 계기로 지역 국가 정상들은 1984년 콜롬비아에서 개최된 미주기구 정상회담을 통해 난민에 관한 카르타헤나에서 선언문(la Declaración de Cartagena sobre los Refugiados)을 채택하였다. 카르타헤나 선언문은 기존의 난민범위를 확대하여 내전 또는 대규모의 인권침해 피해자까지 난민으로 정의하였다. 이후 1994년 산호세 선언(la Declaración de San José) 그리고 2004년 멕시코 선언과 행동강령 (la Declaración y Plan de Acción de México)을 통해 지속적으로 양산되는 강제실향민의 인권보호를 위한 다각적인 지원책과 협력강화를 모색하였다. 2000년 접어들어 강제실향민 문제는 심화되었고 이전과 다른 특징으로 전개되었다. 콜롬비아와 멕시코 및 중앙아메리카지역을 중심으로 확산된 마약테러, 과테말라와 온두라스의 보호자를 동반하지 않은 아동실향 그리고 베네수엘라의 정치와 경제적 위기로 강제실향민은 확대되었다. 브라질에서는 아마존 그리고 페루에서는 광산지역 개발을 둘러싸고 원주민의 실향이 발생했다. 이러한 상황아래 2014년 12월 카르타헤나 선언 30주년을 맞아 라틴아메리카 지역 정상들은 카르타헤나 선언문 이행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강제실향민의 인권보호 및 불평등 완화를 위한 새로운 방안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영구적인 난민감소를 위해 향후 10년간 지역차원에서 공동으로 추진할 브라질 행동 강령(Plan de Acción de Brazil: PAB)을 채택하였다. 본 연구는 카르타헤나 선언을 시작으로 브라질 행동강령까지 지난 30년간 그 어느 대륙보다도 강제실향민의 인권과 불평등완화를 위해 지속적인 방안을 마련해온 라틴아메리카 지역국가의 공동 노력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그동안 논의된 난민 및 강제실향민에 관한 주요 쟁점들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항구적인 난민문제 해결을 위한 라틴아메리카지역 국가의 공동대응 방안을 살펴본다. The civil war, which spread across Central America in the 1970s and 1980s, led to the expansion of forced displaced persons, so Latin America faced various problems. And so, the local countries adopted the Declaration at the Summit of the Organization of American States held in Cartagena, the Caribbean coastal city in Colombia. The Cartagena Declaration extended the range of existing refugees and defined even victims from civil wars or massive human rights violations as refugees. After this, the Latin American local government established the San Jose Declaration in 1994 and the Mexico Declaration and Plan de Acción in 2004 to establish policy efforts for the continuously growing forced displaced persons. In Latin America, the forced displaced people were growing constantly due to armed conflict over drug terrorism, economic and political crises, and conflict over the development of mines and the Amazon since 2000. The forced displaced people were mainly from the area of indigenous people and African-ethnic groups. In considering this, the issue of forced displacement is thought to be the result of the structural inequality in the Latin American society in which various conditions overlapped. On the occasion of the 30th anniversary of the Cartagena Declaration in December 2014, the governments of 31 countries in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discussed the cooperation schemes regarding the refugees and forced displaced persons with an assessment of the Declaration’s implementation. And they adopted the Plan de Acción de Brazil for the next decade under the goal of mitigating stateless persons. This study examined the efforts and future tasks of the Latin American local government to improve the inequality of forced displaced people based on the building process of the Plan de Acción de Brazil from the Cartagena Declaration.

      • KCI등재
      • KCI등재

        문학,문화 : 라틴아메리카 지역연구동향 및 개별국가연구

        차경미 ( Kyung Mi Cha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1 비교문화연구 Vol.22 No.-

        With the beginning of systemized research on Latin American region as a part of the third world in the mid-60s, Latin American regional studies in Korea acquired a steppingstone for development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Hankoo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Central & South American Regional Study, the creation of Central & South America Research Center, and Latin American Society established in the mid-80s. Latin American regional studies achiev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growth with the natioal globalization policy in the 90s, and research centers related to Latin America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P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Dankook University, and Sunmoon University have contributed to the activation of regional studies. In spite of such achievements, Latin American regional studies, which have developed with 40 years of history, still possess problems that need to be solved. This study achieves qualitative analysis on theses published from 2000 to March 2001 in main Latin America regional study academic journals in Korea to analyze Latin American regional study trend of the recent 10 years in order to search measures for activating Latin American regional studies. Academic journals used in analysis include 『Ibero America Research』of Seoul National University Research Center of Central & South America, Spain, 『Central & South America Research』of Hankoo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Research Center of Central & South America, 『Ibero America Research』of P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Central & South America Center, and 『Latin America Research』published by Latin American Society. According to analysis on publication ratio of published theses according to field, it was presented that culture and politics fields occupied the highest ratio. Social and cultural fields, the elementary studies of regional research which have previously presented a weak research tendency, have achieved noticeable development during the past 10 years. According to analysis on researched nations, Latin America regional study was weighted in particular nations, and nations of economic size and political influence within region were selected as main subjects of research. Furthermore, several nations were not researched at all. For the last 10 years, the depth and width of the Latin America regional study had been decided by the degree of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significance occupied by the nation. It can be said that studies based on overall understanding on regional countries of Latin America have been relatively weak in individual nation study. Furthermore, studies that separate issues to achieve analysis based on the awareness theory of individual branches can be regarded dominant among studies based on entire Latin America. These studies still possess limitations in failing to deviate from the outline of particular region and topic.

      • KCI등재

        페루 -볼리비아 접경 푸노(Puno) 지역 아이마라(Aymara)원주민 종족갈등의 원인

        차경미 ( Kyung Mi Cha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5 비교문화연구 Vol.41 No.-

        라틴아메리카 대륙에서 안데스 산맥지역은 다양한 원주민종족 집단이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이러한 종족 중에서 아이마라족은 케추아족과 함께 가장 대표적인 원주민 집단을 구성한다. 특히 티티카카호수를 중심으로 페루와 볼리비아 양국 접경지역에 밀집되어 있는 아이마라 원주민은 각각 국가의 소속을 달리하지만 하나의 삶의 터전 속에 동일한 문화권을 형성하며 공통의 정체성을 추구해 왔다. 그동안 아이마라 원주민은 종족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언어를 바탕으로 다른 원주민 집단과 구분되는 역사성과 특수성을 강조하며 동일종족으로서의 유대감을 유지해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양국 접경지역의 중심지인 푸노(Puno)주를 중심으로 아이마라 원주민의 종족갈등이 표면화 되고 있다. 독립이후 근대국가 건설과정에서 형성된 인위적인 영토 경계선으로 분리된 이후 라틴아메리카 원주민은 협조와 경쟁이라는 틀 속에서 문화적 유사성과 동시에 차이를 강조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역사적 맥락과 함께 최근 들어 페루와 볼리비아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동일한 종족이 서로 다른 국가의 틀에 묶이면서 발생하는 새로운 종족 갈등이 전개되고 있다. 아이마라 원주민은 외부와의 경쟁에서 문화와 역사적 특수성을 강조하며 자신들을 하나의 단일한 종족으로 인식하며 단결하지만, 내부의 이해관계를 둘러싸고 충돌할 경우 서로가 문화적 전통을 상실했다는 비난을 가하며 종족 내부에서도 차별과 구별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종족간의 갈등은 한 지역에 공존하고 있는 타 종족간의 갈등에서 비롯되는 경향이 있으나 페루와 볼리비아 아이마라 원주민의 경우 양국이 접경을 유지하고 있는 푸노주를 중심으로 오랜 역사를 통해 형성된 종족의 유대감이 현실의 조건에 의해 갈등구조로 변화하는 양상을 타나내고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아이마라 원주민 종족갈등의 심화원인을 분석하였다. In the Andes regions of Latin America continents, groups of diverse native tribes are intensively distributed. Among these tribes, the Aymara compose the most representative group of natives along with the Quechua. Especially, the Aymara who are concentrated on the border areas of Peru and Bolivia centered on Lake Titicaca have pursued common identity forming the same cultural area although they belong to different nations. In the meantime, the Aymara have maintained a sense of fellowship while emphasizing historicity and specialty, which are differentiated with groups of other natives based on a language constituting identity of the tribe. However, recently, focused on Puno State as the center of the border areas of both countries, the tribe’s conflicts come to the surface. After being divided by the artificial boundary line, which was formed in the course of building modern countries after the independence, natives of Latin America started to emphasize differences simultaneously with cultural similarity in the frame of cooperation and competition. Together with the historical contexts, lately, focused on the border areas of Peru and Bolivia, as the same tribe came to be bound by the frameworks of different nations respectively, a new tribal conflict is being developed. Though the Aymara unite emphasizing cultural and historical specialty and recognizing them as one tribe, when they conflict with each other over inner interest, a tendency to form the identity of differentiation and distinction appeared even in the inside of the tribe. Usually, disorder between tribes seems to be originated from intertribal strife, which coexists in one region. In case of the Aymara of Peru and Bolivia, centered on Puno State where both countries maintain the border, an aspect that the fellowship of the tribe, which was established through old history changes into conflict structures by realistic conditions comes out. In understanding this point, this study analyzed the historical origin of the conflict of the Aymara and the deepened cause of the tribal disorder.

      • KCI등재후보

        그란 콜롬비아(Gran Colombia)지역의 국경과 영토

        차경미(Cha, Kyung-mi)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코기토 Vol.- No.70

        근대사 속에서 전개된 라틴아메리카지역 국가의 영토분쟁은 동일한 역사적 유산을 놓고 분쟁국 모두 이를 자국의 역사라고 주장하는데서 비롯되었다. 이런 점에서 라틴아메리카지역 국가의 영토분쟁은 국제정치 질서뿐만 아니라 국내문제의 주요 쟁점으로 발전했다. 그란 콜롬비아(Gran Colombia)를 포함한 라틴아메리카 지역 국가의 국경선은 식민행정 분할체계에 토대를 두고 발전했으며 독립전쟁 이후 새로운 국가건설과정에서 변경 그리고 갈등의 원인으로 작용했다. 독립전쟁 동안 정치엘리트들은 권력을 효과적으로 중앙집권화하는 데 실패했고, 전쟁은 지속적으로 탈 중앙집권화의 역사를 만들었다. 그란 콜롬비아 지역 크리오요들은 하위계층의 정치적 동원력에 대한 두려움과 식민본국에 대한 불만을 계기로 독립운동을 주도했으며, 자신들 중심의 새로운 단일국가건설을 시도했다. 그러나 엘리트들은 단일권력을 형성하는 대신 서로 경쟁함으로써 분열했다. 볼리바르(Simon Bolivar)를 중심으로 시도된 지역통합의 좌절로 그란 콜롬비아지역의 분화는 그 어떤 곳보다 심화되고 가속화되었다. 라틴아메리카 지역 국가들의 영토분쟁의 양상은 각 지역의 역사적 특수성 속에서 파악되어야 한다. 18세기까지 콜롬비아와 베네수엘라 국경선은 분명하지 않았다. 그란 콜롬비아 해체이후 양국의 국경선 문제가 대두되었으며 이것은 수 많은 분쟁의 원인이 되었다. 동일한 역사적 유산을 가진 콜롬비아와 베네수엘라는 국경형성 이후 국경에 대한 자국의 역사적 권리를 주장하며 분쟁하기 시작했다. 본 연구는 남미 단일국가건설의 이상이 시도되었던 그란 콜롬비아 지역의 중심지인 콜롬비아(Colombia)와 베네수엘라(Venezuela)를 중심으로 국경선문제가 초래한 적대적 양상에 기초하여 양국의 분쟁이 발생하고 전개되는 과정을 조명해 볼 것이다. 양국의 영토분쟁은 동일한 역사적 유산을 놓고 전개된 라틴아메리카지역 국가의 갈등과 대립적인 역사해석에 대한 사례연구가 될 것이다. The territorial dispute in Latin American countries that has developed in the modern history began from the claim of the countries in dispute that the same historical heritage was their own history. In this regard, the territorial dispute in Latin American countries has developed to not only the key issues in respect of international political order, but also the key issues in domestic problems. The border of Latin American countries, including Gran Colombia has developed, based on the division system under colonial administration, and caused theconflicts and the changes in the process of nation-building, since the revolutionary war. During the revolutionary war, political elites failed to centralizethe power effectively, and the war continued to decentralize the power. Criollo in Columbian region led the revolutionary war, and attempted to establish the unitary state of them, because of their fear about the lower-tier class"s ability of political mobilization, and their complaints about thecolonizing country, However, the elites competed with each other and were divided, instead of forming the unified power. The failure of regional integration that was attempted around Simon Bolivar, made the division of Gran Colombiaintensified, resulting in accelerated territorial division. The aspect of Latin American countries" territorial dispute should be apprehended in view of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 of each region. Until the 18th century, the border Colombia and Venezuela was unclear. Since the dissolution of the Gran Colombia, the issue of border between the two countries has been highlighted and this has caused many disputes. Colombia and Venezuela, with the same historical legacy claimed their right over the border, since the national building and started disputing. This study, based on hostile aspect caused by the issue of border, will illuminate the process in which the dispute between two countries, targetingColombia and Venezuela in which the establishment of the unitary state in Latin America was once attempted. This study will become the case study for the analysis of the national conflict in Latin America that has developed, based on the same historical heritage and the conflictualinterpretation of histor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국어교육을 위한 역할모델의 유형과 국어교육에서의 역할모델 도입의 방향

        차경미(Cha, Kyung-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8

        본고는 현재 국어교육이 처한 위기, 즉 학습자의 국어 학습에 대한 낮은 흥미와 태도, 진로교육에서의 문제 등을 엄중하게 인식하고, 이와 관련된 새로운 연구 문제로서 국어교육을 위한 역할모델 연구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역할모델의 개념과 교육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역할모델은 Nauta와 Kokaly(2001: 82-83)를 따라 ‘자신의 진로나 궁극적 관심사와 관련하여 자신이 존경하고 닮고 싶어 하는 인물로서 단순히 귀감이 되는 것뿐만 아니라 방향을 제시하고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학업 및 진로 발달을 촉진시키는 사람’으로 정의하였다. 역할모델의 국어교육적 의의는 크게 1) 국어 학습에 대한 동기 부여 및 흥미 유발 2) 국어 및 국어 학습, 국어 능력에 대한 태도 변화 추동 3) 국어 능력 신장을 위한 구체적 모델링(modeling) 대상 제공 4) 학습자의 진로(국어과의 진로교육 및 국어과 진로교육 관련) 발달에 긍정적 영향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Ⅲ장에서는 국어교육에서 제시할 수 있는 역할모델의 유형을 크게 1) 국어 교사, 2) 부모, 3) 유명인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각 유형의 특징과 의의를 예시를 통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Ⅳ장에서는 역할모델 도입의 방향성을 교육과정 및 교과서 차원, 학습자 차원으로 나누어 시론의 수준에서 살펴보았다. This paper seriously recognizes the current crisi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is, learners low interest and negative attitude toward Korean language learning, and problems in career education. And proposes role model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related new research problem. To this end, first, the concept of role model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were examined. The concept of role model follows Nauta & Kokaly (2001: 82-83): a person whom someone respects and wants to resemble in relation to his or her career and ultimate interests, also a person who promotes academic and career development by playing a supporting role. The significance of the role model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the aspect of motivating and inducing interest in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the aspect of driving changes in attitude toward Korean language, learning Korean language and Korean language ability, the aspect of providing specific modeling targets for enhancing Korean language ability, and the aspect of learners choice of career. Next, in chapter III, the types of role models that can be present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divided into 1) Korean language teachers, 2) parents, 3) celebrities, and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each type are examined through examples. Finally, in chapter IV, the direction of role model introduction is presented by dividing it into curriculum, textbook level, and learner level.

      • KCI등재후보

        콜롬비아의 국내실향민(IDP : Internally Displaced People) 증가원인

        차경미(Cha, Kyung Mi),최병일(Choi, Byoung Il)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2 코기토 Vol.- No.72

        콜롬비아의 국내실향민은 식민시기를 거쳐 19 내란과 20세기 양당간의 갈등으로 발생한 정치폭력사태 그리고 불법무장조직의 위협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그러나 우리베(Alvaro Uribe : 2002~2010)정권 등장 이후 국내실향민 규모는 폭발적으로 팽창했다. 특히 아프로-아메리카공동체는 이전과 달리 국내주요 실향민 배출지역이 되었다. 우리베 정권은 미국의 대 마약-테러지원책인 ‘플랜 콜롬비아’를 기초로 국가안보정책을 추진했다. 그 결과 국가안보 개념이 인간안보개념과 충돌하여 개인의 인권은 국가안보의 목적아래 조직적으로 침해되었으며 민주주의는 유보상태에 놓여 있다. ‘플랜 콜롬비아’ 운영 이후 콜롬비아의 국내실향민 규모는 확대되었을 뿐만 아니라 증가원인도 이전과는 다른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마약퇴치 및 불법무장조직에 대한 콜롬비아 정부의 강경책은 국내실향민증가의 주요원인으로 작용했다. ‘플랜 콜롬비아’운영 이후 이전과 달리 폭력은 전국적으로 확산되었고, 불법작물 혹은 무장조직과 관련 없는 지역민의 희생이 동반되었다. 불법무장 조직들은 정치 혹은 군사적 전략지에 대한 영토 통제를 위해 무력을 활용하였고 민병대와 국가는 공권력의 이름으로 농민의 토지를 강탈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실향민은 양산되었다. 무력분쟁으로 인한 인권유린은 국내실향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했지만, 그 이면에는 경제적 이해와 맞물려 있었다. 우리베 정권의 국가안보정책은 경제적 전략지인 태평양와 대서양지역을 새로운 분쟁지역으로 변모시켰고, 이것은 아프로-아메리카 공동체 해체와 국내실향민 증가라는 결과를 초래했다. As violent rebellions, not wars, make up 90 percent of international conflicts after the Cold War, the significance of national security developed into protecting the lives of innocent citizens. As a result, the novel concept of human security merged. The idea of security evolved from essential values and menaced territory of traditional military security to the issues that may deteriorate the quality of lives of citizens and become threatening factors to national security. In the case of Colombia, however, Plan Colombia, carried forward by the enormous support of the USA followed by the Cold War, tightened up militarization. Moreover, with the rise of the Uribe administration, civil rights were systematically violated for the purpose of national security. The Uribe administration (2002-2010) prosecuted its national security based on Plan Colombia, US-funded Colombian government program aimed at restricting drugs and terrorism. Subsequently, the notion of national security contradicted the concept of human security the government responsible of national security became its own danger. Along with the expansion of domestic armed conflict, the hardline policy of Colombian government for Anti-Drug and paramilitary groups turned out to be a principal reason for the increased number of the Colombian IDPs. In the year of 2002, El Choco state located in the Pacific Coast, in which the Afro-American are densely populated, became the most IDP-concentrated state. As a way of accumulating of capital and consolidating power by a particular group, which is far off from the twentieth century’s national development model, violence was engaged. In the meantime, the number of the Colombian IDPs continuously grew. After Plan Colombia was employed, however, not only did the scale of the IDPs in Colombia amplify, but also the phenomenon seemed to be triggered by different factors than those fromthe earlier period. The Pacific area, which had no part in armed conflict prior to Plan Colombia, now turned into the center of the armed conflict as it converted into the foothold of paramilitary groups after the Amazon region was forcefully closed down by the governme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grounds for the Colombian IDPs will be examined by comparing between the former and the latter phases of Plan Colombia. In addition, the cause for the rapidly increasing number of the IDPs in Colombia after the arrival of the Uribe administration, particularly revolving around the Afro-American, will be thoroughly analyzed. In consequence of Plan Colombia, new, systematic form of violence that differentiates from the earlier period occurred. The violence expended to the entire nation as innocent citizens irrelevant to the paramilitary groups were sacrificed. The significant upsurge of the Colombian IDPs after the year of 2002 explained the claim that the violence in the twenty first century would target innocent civilians. The paramilitary groups exercised strict control with violence over territories for political or military reasons while the militants by the government, abusing the governmental authority, reinforced the ownership of the territories of civilians to expand the occupied zone. In the course of battle, the IDPs gradually enlarged. Although the violation of human rights caused by the armed conflict affected the IDPs directly, there existed economical interests behind the matter. The Uribe administration’s national security policy, forthe occupation of territory through military strategy, not only spread the IDPs in Colombia but also transformed the Pacific region, a repository of resources and energy, into a new disputed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