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곤쟁이, Neomysis awatschensis의 에너지수지에 미치는 PCBs의 영향 I. 곤쟁이에 미치는 PCBs의 급성 및 만성영향

        진평,신윤경,전은미,CHIN Pyung,SHIN Yun-Kyung,JEON Eun-Mi 한국수산과학회 1998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1 No.1

        Acute and chronic responses to PCB toxicity of Neomysis awatschensis were studied by measurement of bioassay, growth, oxygen consumption and nitrogen excretion with concentrations of PCB at 10 and $20^{\circ}C$. 96 hr.-$LC_50$ at 10 and $20^{\circ}C$ were 28.7492 pub and 10.6742 pub, respectively. Survival rates during 60 days exposured to chronic PCB concentrations of 0.5 pub, 1.0 pub, 1.5 pub and 2,0 pub at $10^{\circ}C$ were $85\%,\;80\%,\;75\%$ and $75\%$, respectively and suwival rates at $20^{\circ}C$ $85\%,\;75\%,\;75\%$ and $65\%$, respectively. Average daily growth rate of N. awatschensis exposed to chronic PCB concentrations at $10^{\circ}C$ were 0.039 mm/day in control group and 0.036 mm/day at concentration of 2.0 ppb, while their rates at $20^{\circ}C$ showed 0.072 mm/day in central group and 0.039 mm/day at 2,0 ppb. The growth factors were some similarities between the chronic PCB concentrations, but intermolt periods were related to body size of mysids, temperature and PCB toxicity. Changes in oxygen consumption and nitrogen excretion rates during 60 days exposure to PCB toxicity showed higher in high groups of PCB concentrations. Assimilation and feeding rates of N. awatschensis fed Artemia sp. decreased with increase of PCB concentration at 10 and $20^{\circ}C$. 연안 및 천해에 서식하는 반부유성 갑각류인 곤쟁이, Neomysis awatschensis를 대상으로 수온별 PCB의 시험농도에 따른 생물검정, 성장, 호흡 및 질소배설 등을 측정하여 PCB의 영향으로 인한 생리적 변화를 알아보았다. 곤쟁이에 미치는 PCB의 96시간 후의 반수치사 농도 (96 hr.-$LC_50$)는 $10^{\circ}C$에서 28.7492ppb, $20^{\circ}C$에서는 10.6742 ppb였다. PCB의 만성농도에서 약 60일간 노출시킨 후 생존율은 $10^{\circ}C$의 경우, 0.5ppb에서 $85\%$, 1.0ppb에서 $80\%$ 였으며, 1.5ppb와 2.0ppb에서는 $75\%$를 나타내었으며, $20^{\circ}C$의 경우는 0.5ppb에서 $85\%$, 1.0ppb와 1.5ppb에서 $75\%$, 그리고 2.0ppb에서는 $65.0\%$를 나타내었다. PCB의 각 만성농도에 노출시킨 곤쟁이의 평균체장성장율은 $10^{\circ}C$의 경우 대조구의 경우 0.039mm10ay, PCB농도 2.0ppb에서는 0.036mm/day를 였으며, $20^{\circ}C$에서는 대조구에서 0.072mm/day, 2.0ppb에서 0.039mm/day를 나타내었다. PCB는 탈피간체장증가율에는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탈피기간에는 개체의 크기와 수온에 따라 영향을 나타내었다. 수온별 PCB의 각 실험농도에 노출시킨 곤쟁이의 호흡 및 질소배설량의 변화는 PCB 실험농도의 고수온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섭이 및 동화효율은 $10^{\circ}C$와 $20^{\circ}C$에서 PCB농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KCI등재

        총알고둥 (Littorina brevicula(Philippi))의 오염원에 대한 환경내성 1. 총알고둥에 미치는 유기주석 및 중금속의 급성독성

        진평,이정아,신윤경,이정식,CHIN Pyung,LEE Jung Ah,SHIN Yun Kyung,LEE Jung Sick 한국수산과학회 1999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2 No.5

        우리나라 전 연안의 조간대에 분포하고 있는 총알고둥을 대상으로 TBTCI, Hg 및 Cd의 급성독성과 그에 따른 사망률 및 산소 소비율의 변화를 수온, $15^{\circ}C$와 $23^{\circ}C$ 그리고 개체크기에 따라 살펴보았다. 수온 $15^{\circ}C$에서, 큰 개체 및 작은 개체에 대한 오염원별 급성독성 영향은 TBTCI에서 13일-$LC_{50}$은 각각 0.87 ppm, 0.65 ppm, Hg의 11일-$LC_{50}$은 각각 5.55 ppm, 2.85 ppm, 그리고 Cd의 9일-$LC_{50}$은 각각 13.77 ppm 및 8.46 ppm으로 독성순위는TBTCl > Cd > Hg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온 $23^{\circ}C$에서는, TBTCl의 8일-$LC_{50}$은 각각 0.68 ppm과 0.15 ppm, Hg의 5일-$LC_{50}$은 각각 10.41 ppm과 5.73 ppm이 었으며, Cd의 4일-$LC_{50}$은 각각 13.31 ppm과 4.47 ppm이었으며, 독성순위는 TBTCl > Cd > Hg으로 나타났다. 실험 오염원에 대해서 큰 개체가 작은 개체보다 내성이 강했으며, Hg과 Cd의 경우 $15^{\circ}C$에서보다 $23^{\circ}C$에서 오염원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작은 개체의 내성이 더 크게 감소했다 TBTCI와 Cd에서는 $15^{\circ}C$에 비해 $23^{\circ}C$에서 개체가 작을 수록 저해영향은 크게 작용했다. 총알고둥의 산소소비율은 $15^{\circ}C$보다 $23^{\circ}C$에서, 큰 개체보다 작은 개체에서 더 높았으며, 작은 개체가 농도증가에 따라 더 크게 감소했다. Littorina brevicula, a common small herbivorous gastropod, inhabits in almost every rocky and/or boulder shores of Korea with high density. The survival rates and oxygen consumption rates of this species exposed to tributyltinchloride (TBTCl), mercury (Hg) and cadmium (Cd)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emperatures (15, $23^{\circ}C$) and individual sizes (12$\pm$0.5, 5$\pm$1 mm). At temperature $15^{\circ}C$, acute inhibitory concentrations for large (12$\pm$0.5 mm) and small (5 $\pm$1 mm) size individual showed that 13 day-$LC_{50}$ for TBTC1 were 0.87 and 0.65 ppm, respectively, 11 day-$LC_{50}$ of Hg were 5.55 and 2.85 ppm, respectively and 9 day-$LC_{50}$ of Cd were 13.77 and 8.46 ppm, respectively. At $23^{\circ}C$, acute inhibitory concentrations of pollutants on the large and the small size individual showed that 8 day-$LC_{50}$ of TBTCl were 0.68 and 0.15 ppm, respectively, 5 day-$LC_{50}$ of Hg were 10.41 and 5.73 ppm, respectively, and 4 day-$LC_{50}$ of Cd were 13.31 and 4.47 ppm, respectively. The order of toxicity on the species was TBTCl > Cd > Hg. Oxygen consumption rates during exposure to TBTCl, Hg and Cd toxicity were decreased more in small size than in large size individuals at 15 and $23^{\circ}C$.

      • KCI등재

        Palaemon macrodactylus의 생활사에 따른 에너지 수지

        진평,김흥윤,신윤경,CHIN Pyung,KIM Heung-Yun,SIN Yun-Kyong 한국수산과학회 1992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5 No.5

        낙동강 하구지역에 서식하는 대형동물군중의 풍부한 무리의 하나인 붉은줄참새우, Palaemon macrodactylus를 대상으로 수온 $15^{\circ}$와 $25^{\circ}$에서 Artemia nauplii를 먹이로 공급하며 사육하면서 성장, 탈피, 생식, 산소소비 및 질소배설과 에너지 함량을 측정한 자료로부터 전 생활사를 통한 개체의 에너지 수지를 분석하여 에너지 흐름의 동태 및 생태적 효율을 파악하였다. 수온 $25^{\circ}$에서 부화발생한 zoea I기 유생이 치하로 성장하는 데는 18일이 소요되었다. 치하에서 성체의 총평균 체장성장율은 $15^{\circ}$에서 0.079mm/day, $25^{\circ}$에서는 0.122mm/day였다. 치하 및 성체자웅의 각 탈피간 체장증가율은 $3.2\%-13.2\%$ 범위로서 성장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으며, 자웅 및 수온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25^{\circ}$에서의 체장별 탈피기간은 $15^{\circ}$에 비하여 유의하게 짧았고, 성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유생이 성장에 사용하는 에너지는 (4.94cal/mg)$\times$(건중, mg), 치하 및 성체는 (4.55cal/mg)$\times$(건중, mg)이었다. 유생이 탈피로서 상실하는 에너지는 (0.178ca1/mg)$\times$(건중, mg), 치하 및 성체 자웅의 건중에 대한 탈피체 중량은 $8.9\%-14.2\%$로서 성장함에 따라 탈피 에너지의 사용량은 현저히 증가하였다. 체물질 조성에서 계산한 호흡열 계수는 유생, 치하 및 성체 모두 4.58cal/ml $O_2$였다. 동화효율은 유생이 평균 $61.5\%$, 치하 및 성체의 동화효율은 약$80\%-90\%$로 추정 되었다. 전유생기간 동안의 총성장효율 $(K_1)$ 및 순성장 효율 $(K_2)$은 각각 $18.33\%$ 및 $32.63\%$, 성체는 각각 $21.30\%-31.04\%$ 및 $30.03\%-39.34$로 나타났다. In order to estimate energy budgets of Palaemon macrodactylus, larvae of the shrimp were reared in the laboratory at constant conditions $(25^{\circ}C: 31-32\%o),$ and then juvenile to adult of the shrimp were reared at $15^{\circ}C\;and\;25^{\circ}C$ in the laboratory. Energy used by the reared shrimps were calculated from estimates of data on feeding, growth, molting, metabolism, nitrogen excretion, and energy content. Juveniles and adults reared in the laboratory, which fed on Artemia nauplii, had an average daily growth rates of 0.079 mm/day at $15^{\circ}C\;and\;of\;0.122mm/day\;at\;25^{\circ}C$. The average growth factor* of P. macrodactylus males and females ranged from $3.2\%$ for adult to $13.2\%$ for juveniles individuals, respectively. Intermolt periods were related to body size of the shrimp and to temperature. Average laboratory growth curves were calculated from data on growth factors and intermolt periods to body size of the shrimp at $15^{\circ}C\;and\;25^{\circ}C$. The calorie contents of the shrimp, their molts, eggs and larvae were determined by biochemical composition and oxygen bomb calorimetry. The average amount of energy used in growth for larvae and juvenile to adult were 4.94 cal and 4.55 cal per dry weight in milligram, respectively. The ammount of oxygen used in metabolism was calculated from size, temperature-specific respiration rate. To convert the ammount of oxygen used in respiration into the equivalent energy lost heat was estimated from the data on chemical composition for the larvae and adult, the values was 4.58 cal/ml $O_2$. The energy content per egg was 0.078 cal. The assimilation efficiency estimated by nitrogen content of food and egested faeces gave $61.5\%$ for the larvae. The efficiencies for juvenile to adult ranged between $79.4\%$ and $90.1\%$ The gross growth efficiencies $(K_1)$ and net growth efficiencies $(K_2)$ of P macrodactylus showed $18.33\%\;and 32.63\%$ for total larval stages, ranged from $21.30\%\;to\;31.04\%\;and\;from\;30.03\%\;to\;39.34\%$ for juvenile to adult, respectively.

      • KCI등재

        자주새우, Crangon affinis의 총대사에 미치는 기아의 영향

        진평,신윤경,CHIN Pyung,SHIN Yun-Kyung 한국수산과학회 1992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5 No.5

        자주새우, Crangon affinis 서식지의 동계$(7^{\circ}C$, 춘. 추계$(15^{\circ}C$ 및 하계$(25^{\circ}C$의 평균 수온대에서 일정기간 (0, 5, 11, 17, 25days) 절식시킨 후 체물질의 화학적조성, 산소소비 및 질소배설률을 측정하여 환경변화에 대한 생리적 적응의 일면을 조사하였다. 1. 자주새우의 체물질조성은 단백질 $68.6\%$, 지질 $7.0\%$, 탄수화물$4.1\%$, 키틴$6.3\%$, 그리고 회분은 $14.6\%$였다. 2. 기아상태 에 서도 고온일수록 탈피 빈도는 높았으며 동일 절식기간 동안 고온일수록 체중 및 체물질의 감소는 더욱 컸다. 3. 산소소비율은 기아가 계속됨에 따라 고온일수록 현저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기아 25일 경과 후의 각 수온구별 산소소비율은 유사하였다. 4. 수온별 각 실험구간의 $Q_{10}$치는 실험온도구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기아가 계속됨에 따라 상당히 감소하였다. 5. 총배설질소량은 고온일수록 증가하였으며 배설질소의 주성분은 암모니아였다 그리고 총배설질소량은 어느 실험수온구에서나 기아가 계속됨에 따라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6. 기아 25일 경과후 수온 7, 15 및 $25^{\circ}C$에서 이화된 단백질은 각각 체단백질의 1.8, 2.5 및 $3.3\%$였다. 7. 기아초기의 O:N 원자비는 22-25이고, 기아상태가 지속됨 에 따라 8이하로 낮아져 기아동안의 에너지원으로 단백질을 이용함을 보였다. Biochemical composition, the rates of nitrogen excretion in the form of ammonia, amino acids and total nitrogen, and oxygen consumption of the shrimp Crangon affinis were measured at three temperature regimes $(7,\;15,\;and\;25^{\circ}C)$ and the variations were also determined for starvation periods (1-25 days). The composition of the major biochemical fractions was analysed into carbohydrate: $4.2\%,\;protein:\;68.6\%,\;lipid:\;7.0\%,\;chitin:\;6.3\%,\;and\;ash:\;14.6\%,$ all expressed as percentage of dry weight. Molting frequency was lower at $7^{\circ}C\;than\;25^{\circ}C$ during the period of starvation, and during the same period the higher temperature was, body weight and body compositions the more decreased. Through all starvation periods $O_2$ consumption tended to decrease but total nitrogen tended to increase at any temperature regimes. The dominant form of excreted total nitrogen was ammonia-N at any temperature. From the O:N ratio it appeared that carbohydrate and lipid reserves were quickly exhausted (1-5 days), and that proteins were the substrates oxidized to meet the energetic requirements of C. affinis at any temperature. After 25 days of starvation the O:N ratio remained constant near a value of 8, which indicates that only proteins were being utilized at three temperatures. After 25 days of starvaion C. affinis excreted 23.01ug N/mg body nitrogen per day at $7^{\circ}C,\;32.97\mu g\;N/mg$ body nitrogen per day at $15^{\circ}C,\;and\;44.81\mu g\;N/mg$ body nitrogen per day at $25^{\circ}C$, and lost about 1.75, 2.47 and $3.29^{\circ}C$ of body protein per day at 7, 15, and $25^{\circ}C$ respectively.

      • KCI등재

        총알고둥 (Littorina brevicula(Philippi))의 오염원에 대한 환경내성 2. 유기주석 및 중금속에 대한 총알고둥의 성장, 대사 및 조직학적 변화

        진평,이정아,신윤경,이정식,CHIN Pyung,LEE Jung Ah,SHIN Yun Kyung,LEE Jung Sick 한국수산과학회 1999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2 No.5

        우리나라 전 연안의 조간대에 분포하고 있는 총알고둥을 대상으로 생존, 성장, 호흡, 배설에 미치는 유기주석, 수은 및 카드뮴의 만성저해성 연구를 통하여, 오염으로 인한 독성과 그에 따른 내성등을 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온 $23^{\circ}C$에서 80일 동안 TBTCl, Hg 및 Cd의 각 실험농도에 폭로시킨 총알고둥의 생존율은 TBTCl, 0.9$\mu$g/$\ell$에서 $80\%$, Hg, 200$\mu$g/$\ell$에서 $25\%$, 그리고 Cd, 100$\mu$g/$\ell$에서는 $45\%$였다. 각 실험농도에 폭로된 총알고둥의 일일 평균 성장률은 대조구에서 0.023mm/day였으며, TBTCl의 경우는 0.1 $\mu$g/$\ell$에서 0.019mm/day로 $17.39\%$, 0.9 $\mu$g/$\ell$에서는 0.014 mm/day로 $39.13\%$ 감소하였으며, Hg의 경우는 50 $\mu$g/$\ell$에서 0.015 mm/day로 $34.78\%$, 200 $\mu$g/$\ell$에서는 0.008mm/day으로 $65.22\%$ 감소하였다. 그리고 Cd의 경우는 5$\mu$g/$\ell$에서 0.017 mm/day로 $26.09\%$, 100 $\mu$g/$\ell$에서는 0.008 mm/day으로 $65.22\%$ 감소하였다. TBTCl, Hg 그리고 Cd의 각 저해농도에 폭로시킨 총알고둥의 호흡 및 질소 배설률은 폭로시간의 경과에 따라 대체로 폭로전반에는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각 오염원에 따른 조직학적 변화양상은 TBTCl에서 아가미, Hg에서는 소화관 그리고 Cd의 경우에는 발 근육층부분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The survival rates of Littorina brevicula exposed to experimental concentration regimes of TBTCl, HB and Cd on the large and the small size individuals during 80 days were $80\%$ at 0,9ppb TBTCl, 40 and $25\%$, respectively at 200ppb Hg, and 75 and $45\%$, respectively at 100ppb Cd. The growth rates of the experimental animals exposed to each concentration for 80 days was 0.023mm/day at control, 0.019mm/day at 0.1ppb and 0.014mm/day at 0.9ppb TBTCl, 0.022 mm/day at 5ppb, 0.008 mm/day at 200ppb Hg, and 0.017 mm/day at 5ppb, 0.008mm/day at 100ppb Cd. The respiration rates and excretion rates of the experimental animals exposed to chronic concentration of TBTCl, Hg and Cd were decreased until approximatively 40 days and increased after, Toxic effect of pollutants on L. brevicula was highest at TBTCl. The histological injury of L. brevicula exposed to TBTCl, Hg and Cd was shown at gill, digestive organ and muscle, respectively.

      • KCI등재

        곤쟁이, Neomysis awatschensis의 에너지수지에 미치는 PCBs의 영향 II. 에너지수지에 미치는 PCBs의 영향

        진평,신윤경,전은미,CHIN Pyung,SHIN Yun-Kyung,JEON Eun-Mi 한국수산과학회 1998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1 No.1

        연안 및 천해에 서식하는 반부유성 갑각류인 곤쟁이, Neomysis awatschensis를 대상으로 수온별 PCB의 시험농도에 따른 성장, 호흡, 질소배설, 섭이 및 에너지 함량을 측정하여 에너지 수지를 분석하였다. 성장, 탈피 및 호흡에 사용한 에너지를 파악하기 위해 곤쟁이의 몸체 및 탈피체의 에너지 함량을 구한 결과 각각 5.52cal와 2.17ca1였다. 곤쟁이 치하가 성체로 성장하는 동안 $10^{\circ}C$의 경우, 섭이에너지는 대조구에서 3.755ca1, 2.0ppb에서는 3.420cal 였으며, 이 가운데 각각 $70.19\%$와 $67.53\%$를 동화하였다. 그리고 $20^{\circ}C$에서는 섭이에너지가 대조구에서 5.998ca1, 2.0ppb에서는 4.166cal를 섭이하였으며, 동화효율은 각각 $76.50\%$와 $70.50\%$로 2.0ppb 농도구에서 낮았다. 그리고 $20^{\circ}C$의 경우 총동화에너지의 각 부분별 사용에너지 중 호흡에 사용한 에너지가 대조구에서 $45.78\%$, 2.0 ppb농도에서 $62.27\%$으로 대조구에 비해 2.0ppb 농도구 에서 대사에 사용하는 에너지가 많았다. Analysis of energy budget in Neomysis awatschensis exposed to PCB toxicity was carried out by measurement of bioassay, growth, oxygen consumption, nitrogen excretion at 10 and $20^{\circ}C$. Energy contents of the body, molted exoskeleton and eggs, which measured to understand used energy for growth, molt and oxygen consumption were 5.52cal/mg, 2.17 cal/mg and 6.15 cal/mg, respectively. Feeding energies at $10^{\circ}C$ were 3.755ca1 in control group and 3.420 cal at 2.0 ppb concentration, of them, $70.19\%$ and $67.53\%$ of their energies were assimilated. At $20^{\circ}C$, feeding energies were 5.998 cal in control group and 4.166 cal at 2.0 ppb concentration. The assimilation efficiency of the mysid estimated by ash-ratio method ranged between $11.5\~67.5\%$ and $73.4\~70.5\%$ with PCB toxicity at $10^{\circ}C$ and $20^{\circ}C$ respectively. Energy used by respiration of total assimilated energy was $45.18\%$ in control group and $62.27\%$ in 2.0 pub concentration at $20^{\circ}C$, and energy used by metabolism was high 2.0 ppb concentration than control group.

      • SCOPUSKCI등재

        Chlorella의 유기산대사에 관한 연구

        진평,이영록,Chin, Pyung,Lee, Yung-Nok 한국미생물학회 1965 미생물학회지 Vol.3 No.2

        Using the synchronous culture method and the manometric technique, changes in respiratory activities, utilization of some organic acids (succinate, malate, lactate and acetate etc.) and its effect on glucose metabolism in Chlorella cells at different growing stages were measured. 1) Endogenous respiration of the cells was not active at growing stage and was almost constant throughout the early ripening, maturing and division stages. 2) Lactate was utilized as respiratory substrate better than other organic acids tested. Exogenous respiration of glucose was most active at growing and maturing stages and was decreased strikingly at division stage. 3) Succinate and citrate inhibited endogenous and glucose respiration of the cells throughout the all life cycle. 4) Malate and acetate were utilized in the cells at early growing and division stages better, and malate enhanced the glucose respiration while in case of acetate it was depressed. 5) Calcium ion inhibited not only permeability of respiratory substrate but endogenous respiration itself.

      • KCI등재

        날개망둑 치어의 생존, 성장 및 산소소비율에 미치는 염분의 영향

        강주찬,진평,이정식,신윤경,조규석,KANG Ju-Chan,CHIN Pyung,LEE Jung-Sick,SHIN Yun-Kyung,CHO Kyu-Seok 한국수산과학회 2000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3 No.5

        염분에 대한 날개망둑의 내성범위를 파악하기 위한 일환으로 이들의 생존, 성장 및 대사에 미치는 염분의 영향을 40일간 사육 실험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날개망둑의 생존율은 염분 $10.1{\%_{\circ}}$ 이상에서 $90{\%}$ 이상을 나타냈으나, 염분 $6.7{\%_{\circ}}$ 이하에서는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고, 담수에서는 40일째 $5{\%}$의 생존율을 보였다. 성장은 $20.2{\~}33.6{\%_{\circ}}$의 염분 범위에서 유사한 체장, 체중의 증가 및 일일성장률을 나타냈으나, 염분 $10.1{\%_{\circ}}$ 이하에서 유의한 감소가 관찰되었다. 산소소비는 염분 $20.2{\~}33.6{\%_{\circ}}$에서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염분 $13.4{\%{\circ}}$ 이하에서 염분이 감소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염분 13.4, 10.1, 6.7 및 $3.4{\%_{\circ}}$에서 각각 15.8, 19.3, 18.6 및 $24.1{\%}$의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 담수에는 $28.2{\%}$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낮은 염분에서 생존, 성장 및 산소소비율이 낮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으며, 염분의 농도차이가 연안지역이나 기수지역에서 자연사망율에 잠재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The juvenile Bobiids, Faronirobius gymnauchen, were reared for 40 days under $0{\~}33.6{\%_{\circ}}$ salinity conditions to examine the effects of various salinity on its survival, growth and oxygen consumption rates, Survival rate was significantly declined below $6.7{\%_{\circ}}$ salinity, and daily growth rate was also reduced below $10.1{\%{\circ}}$. Body length and weight of gobiids reared below $10.1{\%_{\circ}}$ were smaller than those of gobiids reared above $20.2{\%_{\circ}}$. Oxygen consumption rate in the salinity conditions ${\leq}13.4{\%_{\circ}}$ was significantly reduced with decreasing salinity than that in natural seawater ($33.6{\%_{\circ}}$), This study revealed that low salinity reduced survival, growth and oxygen consumption rates of the juvenile gobiids suggesting potential influence on the natural mortality of F gymnauchen in the coastal areas.

      • KCI등재

        징거미 새우, Macrobrachium nipponense(De Haan) 유생의 탈피주기와 관련한 생리적 변화

        신윤경,진평,SHIN Yun-Kyung,CHIN Pyung 한국수산과학회 1994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7 No.4

        Larvae of the freshwater shrimp, Macrobrachium nipponense(De Haan) were reared in the laboratory under constant conditions ($25^{\circ}C,\;7\%0$ S), and their feeding rate, oxygen consumption, ammonia nitrogen excretion, and growth were measured at regular intervals during development from hatching to post larval stage. Growth was measured as dry weight, carbon, nitrogen, hydrogen, protein and lipid. All these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traits revealed significant changes from instar to instar. Average feeding rate was high in intermolt stage of the molt cycle and it showed a bell-shaped pattern. Respiration(R) increased from hatching to post larval stage. Excretion(U) increased in intermolt phase of larvae and it showed a bell-shaped variation pattern, in all larval instars with a maximum near the middle of the molt cycle. Regression equations describing rates of feeding, growth, respiration and ammonia excretion as functions of time during individual larval molt cycles were inserted in a simulation model, in order to analyse time-dependent patterns of variation as well as in bioenergetic efficiencies. Carbon was initially increased and nitrogen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in premolt phase during individual molt cycles. Protein remained clearly the predominant biochemical constituent in larval biomass. 담수산 징거미새우, Macrobrachium nipponense의 유생을 부화후부터 후기유생단계까지의 전 유생기간동안 수온 $25^{\circ}C$, 염분 $7\%0$의 일정한 조건하에서 사육하고 섭이율, 호흡율, 배설율 및 성장율을 측정하였다. 성장은 건중, 탄소, 질소, 수소 및 단백질, 지질의 함량변화로서 측정하였는데 단백질보다는 지질이 더 높은 비율로 축적되었다. 그리고 모든 생리적, 생화학적 특성은 각 유생단계간에 그리고 개체의 탈피주기에 따라서 상당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평균섭이율은 탈피간기에 가장 높았으며 bell-shaped 양상을 나타내었다. 호흡율은 부화후부터 후기유생 단계까지 계속 증가한 반면, 배설율은 탈피간기에서 증가하여 bell-shaped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생리적, 생화학적 자료로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발생변화의 양상과 생물에너지학적 효율을 분석하기 위하여 섭이율, 성장율, 호흡율 및 배설율등을 회귀방정식으로 나타내었다. 탈피주기동안 탄소는 초기에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암모니아 질소는 탈피전기까지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단백질은 탈피전기의 중기에 다소 높은 축적을 보이면서 탈피전기의 말기까지 일정량을 유지하면서 체물질을 구성하는 우점성분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 KCI등재

        화력발전소 냉각계통이 해양생물에 미치는 영향 I. 기초생산력에 미치는 영향

        이순길,진평,YI Soon Kil,CHIN Pyung 한국수산과학회 1987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0 No.5

        본 연구는 1985년 5월부터 1986년 5월까지 삼천포 화력발전소를 대상으로 발전소 냉각계통의 가동이 식물플랑크톤의 기초생산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발전소 냉각계통이 총기초생산력에 미치는 영향은 평균 $7.5\~58.9\%(4.6\~12.1mgC/m^3/h)$이었으며, 순기초생산력의 경우는 이보다 높은 수준이 $58.7\~83.5\%(8.4\~11.9mgC/m^3/h)$. 영향요인 중 가장 큰 요소는 냉각계통 통과시 입는 기계적인 영향으로 그 범위가 $21.1\~110.7\%$에 달하였다. 삼천포 화력발전소 냉각계통에 이한 식물성탄소에 해당하는 량으로 추계되었다.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cooling water system on the primary production of marine phytoplankton, a series of experiments were made at the cooling water system of Samchonpo Power Plant from May 1985 to May 1986. Mechanical and physiological perturbations of the entrained process are the most detrimental to the primary production of marine phytoplankton. Nevertheless the primary production is increased by the heated water within the upper limit of temperature tolerence of the phytoplankton. The cooling water system, on the average, reduces the gross production and net production by 4.6 to 12.1 and 8.4 to $11.9\;mgC/m^3/h$,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