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 시인의 문학상담 교수 경험을 통한 문학 관념의 변화

        진은영,김경희 한국교육인류학회 2019 교육인류학연구 Vol.22 No.3

        이 연구는 습작활동과 제도적 문학활동 속에서 형성된 한 시인의 문학 관념이 문학상담 교수 경험을 통해 변화되는 과정을 자문화기술지의 방법론으로 기술한 것이다. 나는 이 연구를 통해 문학상담과 그 교육과정의 기반이 되는 문학 관념을 드러내고 문학상담 영역에서 문학활동이 지닌 의미를 성찰하고자 하였다. 또한 연상적 자문화기술지의 코딩 과정에서 요청되는 심미적 요소를 연구 과정에 적극적으로 반영하고자 하였다. 시인이자 교육자인 나의 문학 관념의 변화와 이 변화를 가능하게 한 문학상담 교육과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슬픔의 자기표현으로서 시작되었던 나의 시 쓰기는 시인으로 등단한 이후에는 탁월한 작품의 생산에 헌신하기 위한 활동이 되었다. 그러나 문학상담을 통한 문학적 상호작용의 경험은 탁월성의 추구를 넘어서 타자와의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장으로서의 문학에 관심을 갖도록 하였다. 이러한 변화를 가져온 문학상담의 교육과정은 학생들이 ‘살아있는 시’를 경험하는 시간으로서의 시 읽기 활동, 시인-되기의 시간으로서의 시 쓰기 활동, 그리고 이 두 활동을 기반으로 구현된 소규모 문학공동체 속에서 대화적 상호작용을 통해 각자가 자기를 자유롭게 형성해가는 활동으로 구성된다. 문학상담의 교육 경험에 대한 성찰은 소규모 문학공동체의 활성화를 통해서 문학 관념이 확장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예술가 교육자가 자신의 교육활동을 예술활동으로서 의미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As a poet-educator, I have experienced a transformation in my literary ideas. This paper describes the process through autoethnograpy. I show the literary idea that the education course on literary counseling can be based on, and examine theoretically the meaning that the educational practice of literary counseling has. Further, I try to actively implement the aesthetic character of writing that is required in the coding of evocative autoethnograpy. In my adolescence, my poetic activities started as an expression of sorrow. Since I started my literary career as a poet, I had been obsessed with the concept of excellence of literary works. But the literary interactions I have experienced as an educator-researcher in literary counseling, transformed my literary idea. As a result of this transformation, I have suggested that the educational process of literary counseling consists of three activities of students: reading poems as encounters with 'living poems,' writing poems as the process of becoming-poet, and based on these two activities, self-formation through dialogic interactions. This educational process on literary counseling shows the educational possibility of self-formation of subject, breaking from oppressive practices.

      • KCI등재

        문학의 아토포스:문학, 정치, 장소

        진은영 한국문학연구학회 2012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8

        문학적 엔젤리즘은 작가가 갑작스러운 영감에 의해 작품을 창작을 한다거나 문학이 절대적 자율성을 지닌 그 자신만의 고유한 토포스를 갖는다는 관념들을 가정하고 있다. 피에르 부르디외는 문학의 자율성에 대한 그런 관념을 비판하면서, 문학의 자율성은 특정한 계급적 위치의 산물이며 이 때문에 상대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부르디외와 달리 타르드는 인간활동의 모방과 감염적 요소에 주목한다. 들뢰즈와 가타리는 타르드 사회학의 관점을 받아들여 문학적 활동의 악마적 전염성은 문학 공간의 토포스를 넘어 사회 전체의 토포스를 변화시키는 탈영토화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러한 탈영토화의 운동은 새로운 토포스를 만들어내면서 기존의 토포스를 지우는 아토포스적 활동에 다름 아니다. 이것은 문학적 소통의 벨레로폰주의적 성격에 의해 분명하게 드러난다. 문학적 메시지는 작가를 통해 투명하게 전달되는 것이 아니다. 문학의 소통과정은 배달부-작가를 살해하고 수신자-독자의 주체성을 변모시키면서 이루어진다. 여기서 작가와 문학텍스트는 편지를 전하는 자를 죽이라는 편지를 전하러 가는 벨레로폰의 운명을 지니고 있다. 최근 젊은 작가들을 중심으로 진행된 다양한 문학적 활동들(두리반, 마리 카페, 희망버스 참가자들의 낭독회)은 하나의 작품이 비문학적 장소와 결합하며 문학의 토포스를 변화시키고 새로운 정치성을 획득하는 과정에 존재하는 문학의 벨레로폰적 성격을 잘 드러내준다. In this article, I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opos and atopos of literature. The angelism of literature supposes the idea that a writer creates his or her work by a sudden inspiration and literature has its own topos characterized by "the absolute autonomy". P. Bourdieu criticizes such an idea on the autonomy of literature. According to him, the autonomy of literature is the nature derived from the economic position of writers (the bourgeoisie), and so it is relative to writer's social "disposition". Unlike Bourdieu's view, G. Tarde pays attention to the notions of imitation and infection. Based on Tarde's theory, G. Deleuze and F. Guattari argue the literature's diabolic potential of imitation and infection brings about the movements of deterritorialization that I think form atopos of literature. A writer's message is not delivered transparently to readers in literary space. A writer is like Bellerophon who delivers the sealed letter requesting that the postman should be put to death. The literary activity includes sender/writer's disappearance, postman's death, and receiver's becoming-vampire-reader's metamorphosis. Recently, the young writers in Korea have held the various events, such as the readings in Duriban or Cafe Mari and the Hope Bus Movement. The events demonstrate the Bellerophon Effects of literature. The literary works connected with the non-literary spaces are acquiring a new literary meaning, transforming the topos of literary space, and thus creating a new political space.

      • 나가르주나와 니체

        진은영 시와세계 2007 시와세계 Vol.- No.18

        니체의 영원회귀 사상은 과학이라는 근대적 니힐리즘에 내재한 실체론을 극복하고자 기획된 반실체론적 사유이다. 영원회귀는 제일원인인 신개념의 실체성을 거부할 뿐만 아니라 과학의 선형적 인과성이 지닌 실체성을 비판한다. 본 논문은 니체의 시적이고 암시적 단편 속에 표현된 영원회귀의 반실체론적 면모를 밝히기 위해 용수의 『중론』과의 비교를 시도하였다. 『중론』에서 용수는 아비달마 불교의 대표적 일파인 설일체유부의 인과적 연기론을 비판하며 인과의 상호의존성을 의미하는 공(空)사상을 주장하였다. 이와 같은 공(인과의 상호의존성)의 관점에서 시간을 고찰할 때 우리는 시간에 대한 근대과학의 실체론적 이해를 벗어난 새로운 이해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영원회귀가 반복의 시간이면서 동시에 변화와 생성의 시간이라는 니체의 역설적인 주장에 담긴 반실체론적 함축을 이해할 수 있다.

      • KCI등재

        니체의 텍스트를 활용한 문학상담 교수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진은영 한국교육인류학회 2020 교육인류학연구 Vol.23 No.3

        This paper is a reflective autoethnography on a professor’s teaching experience in a class on literary counseling. As a professor of literature counseling, I recently opened a class of 'Nietzsche and Literature Counseling' for literature counseling majors. I used Nietzsche's Thus Spoke Zarathustra as the main text for the class. In this paper, I describe the educational interaction with students in the class in metaphorical and confessional writing. Thereby, I try to uncover the value and meaning of Zarathustra in a class that teaches literary counseling practitioners to help hurt individuals heal and reflect on themselves in the functionalized environment of modern society. I also examine whether the class became a process of educational dialogue with students through my planned educational activ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I have found that Zarathustra is “a philosophical novel for a thousand paths and a thousand ways to health” and a text that enables reflection and self-education suitable for literary counseling practitioner education. To enable the students to understand Zarathustra in the class, it was necessary “to set up their own problems through literary activities” and “to learn the pedagogy of lento: learning to read slowly through Nietzsche’s aphorism” before they met the text. To the students who wanted not to attain 'petit bonheur' but to be 'dancing stars', the class provided the capacity to think freely and express themselves by “dancing with Zarathustra”. The dance consisted of their push and pull with the text: the students kept their distance from Zarathustra by asking “Is compassion to be rejected?” and approached it by hoping for dialogue among “the flowers that are boasting of themselves in full bloom all over”. The lessons of reading Zarathustra led me to reflection on becoming a teacher. Teachers should “plan for students to listen to the news shining like the stars”. Furthermore, examining the class by referring to an educational anthropologist's study on Zarathustra enriched a humanities scholar’s experience of becoming-teacher. 이 글은 내가 문학상담 교수로서 전공생들을 위해 개설한 <니체와 문학상담> 수업의 교수경험을 성찰적 자문화기술지의 방법으로 연구한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나는 이 수업의 교재였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가 문학상담자를 교육하는 데 어떤 의미와 가치를 갖는지를 밝히고, 나의 수업 계획이 학생들과의 교육적 대화가 이루어지는 데 어떤 역할을 했는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나는 수업에서의 교육적 상호작용을 비유적이고 고백적인 글쓰기로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 『차라투스트라』는 “천 개의 길, 천 개의 건강을 위한 철학 소설”로서 문학상담자 교육에 적합한 성찰성과 자기 교육의 관점을 가지고 있는 텍스트였다. 학생들이 『차라투스트라』를 제대로 이해하게 하기 위해서는 “『차라투스트라』를 만나기 전”에 “문학적 활동을 통해 자신의 고유한 문제를 설정”하고 “아포리즘을 통해 느리게 읽는 법”을 배우게 하는 “렌토의 교육학”이 필요했다. “작은 행복”이 아닌 “춤추는 별”을 원했던 학생들에게 수업은 “『차라투스트라』와 사유의 춤을” 추는 시간이었다. 이 춤은 『차라투스트라』로부터의 멀어짐과 그것으로의 다가감으로 이루어졌다. 학생들은 “연민은 꼭 거부되어야 하는가”라고 반문함으로써 『차라투스트라』로부터 멀어졌고, “한껏 자기를 뽐내며 지천으로 만발한 꽃들”의 대화를 희망함으로써 그것에 다가갔다. 무엇보다도 『차라투스트라』를 교재로 한 수업 경험은 내게 교사란 학생들이 “별빛과 같은 소식”을 듣게 하기 위해 “시간의 짜임”을 계획해야 하는 자임을 깨닫게 함으로써 교사의 역할과 교사-되기를 성찰하게 했다. 또한 연구 과정에서 교육인류학자의 차라투스트라와 함께 대화한 경험은 인문학자의 교사-되기 경험을 풍요롭게 만들어주었다.

      • KCI등재

        영화 <패터슨>에 나타난 시(詩)와 예술의 공공성

        진은영,김경희 한국문학치료학회 2019 문학치료연구 Vol.50 No.-

        Jim Jarmusch’s Paterson (2016) is a movie about the way poetry exists in public life. This movie illuminates the publicness of poetry by demonstrating how a poet interacts with his everyday life, and confirms the basic premise of literary therapeutics: “human activity is literature in itself.” This paper examines the two ideas of art represented by Paterson and Laura in the movie, in light of the concepts of “work” and “action” proposed by Hannah Arendt in The Human Condition. From Laura’s perspective, art is an activity by which artists must present to the world a completed work for which they try to gain the public admiration for it, thereby proving excellence (virtuosity) of the work and guaranteeing its permanence. This perspective shows the idea of art as “work” that produces excellent and permanent things, separated from the context of everyday use. On the other hand, Paterson's poetry writing is not separated from everyday life. Various people he meets in public places speak with each other, and he attentively listens to them. Paterson’s idea of art corresponds to “action”, which Arendt regards as human activity that constitutes the public realm. According to Arendt, men enter into the relations with others by expressing themselves through speech and action in the public realm. Since various people with different purposes and interests exist in this realm, the results of a person’s actions do not achieve his or her original intention or idea as it is; they are always fabricated by relations. Crucial to art-as-action is the disclosure of the agent, not the excellence and permanence of the results of action. This idea of art accords with the poetics of William Carlos Williams, which is one of the prime motives for Paterson; William Carlos Williams thinks that poetry must be composed in the course of the poet’s immediate contact with things and environments. Paterson illuminates the public position of poets as one in which they realize the plurality of the public realm by being listeners of all beings, opening up their senses to the events and the voices of everyday life. Poetry achieves publicness through listening and responding activities. Such poetry writing strengthens the ability to interact with other narratives, which is required for constructing a healthy narrative of self. 짐 자무쉬의 <패터슨>(2016)은 공공의 삶에서 시가 존재하는 방식을 다루고 있는 영화이다. 이 작품은 시인과 그의 일상적 삶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보여줌으로써 시의 공공성에 대해 새롭게 조명하고, “인간 활동 그 자체가 문학”이라는 문학치료의 기본 전제를 확인시켜준다. 본 논문에서는 한나 아렌트가 『인간의 조건』에서 제시한 ‘작업(제작)’과 ‘행위’ 두 개념에 비추어 주인공 패터슨과 그의 아내 로라가 각각 형상화하고 있는 예술 관념을 검토하였다. 로라에게 예술이란 예술가가 고독한 작업의 과정을 거쳐 완성한 독창적인 작품을 세상에 공개하여 공적인 찬사를 획득함으로써 그것의 탁월성을 입증하고 영속성을 확보하려는 활동이다. 이는 아렌트가 사용의 맥락으로부터 분리되어 영속성을 갖는 사물을 생산하는 활동으로 보았던 ‘작업(제작)’으로서의 예술 관념을 잘 보여준다. 반면 패터슨에게 시 쓰기는 공공의 장소에서 만나는 다양한 사람들의 말 건넴과 그에 대한 귀 기울임으로 이루어지는 일상적 삶과 분리되어 있지 않다. 패터슨이 보여주는 예술 관념은 아렌트가 공적 영역을 구성하는 인간 활동으로 본 ‘행위’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공적 영역은 복수의 인간이 말과 행위를 통해 자신을 표현함으로써 타자와 관계 맺는 영역이며, 이 영역에는 서로 다른 의도와 관심을 가진 타자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개인의 행위의 결과물은 항상 자신의 의지나 의도 그대로 관철되기보다는 여러 관계들이 직조해낸 결과물로 남는다. 이런 예술 관념은 영화의 주요 모티브가 된 윌리엄 칼로스 윌리엄스의 시학에도 부합한다. 윌리엄스는 시란 시인이 일상의 사물이나 환경과의 직접적인 접촉에서 오는 상호작용을 통해 쓰여야 한다고 믿었다. <패터슨>에서 조명하고 있는 시인의 공적인 자리는 일상에 덮쳐오는 사건들과 목소리들에 감각을 열어둔 채 모든 존재들의 청자가 됨으로써 복수성을 실현하는 자리이며, 경청과 응답의 활동으로 시 쓰기를 수행하는 것은 시가 공공성을 지니게 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시 쓰기는 문학치료가 주요 목표로 삼는 건강한 자기 서사의 구성에 필수적인 다른 서사들과의 접속 능력을 확보하게 해준다.

      • KCI등재

        The Politics and Aesthetics of the Wound: Performative Narratives of the People by <i>Zainichi</i> Korean Artists

        진은영,심보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15 Korea Journal Vol.55 No.1

        This paper examines the artworks of the artists in the Asia, Politics, Art Project (APAProject) from the perspective of “performative narrative of the people,” a notion suggestedby Homi Bhabha. The APA Project shows how the artworks of diasporic artistsinscribe otherness within the otherwise homogeneous space of the nation. The participantartists, as the second and third generations of zainichi Korean, do not hold thememory of traumatic events suffered by the first minority generation. However, theirworks utilize postmemory based on dim images of memories inherited from theirfamily histories. The elements, such as a grandmother’s chimajeogori and the lyrics ofan old Korean song, are woven by Oh Haji into unique narratives that are distinctfrom the “pedagogical narrative of the people,” emphasizing unity and continuity of thenation-state. Kim uses chimajeogori in a multi-layered manner to reveal the existentialconditions of students bounded by a violence that has historical roots, but she doesnot treat it as a simplistic oppositional sign against the dominant national ideology. These minority writers/artists and their works are illustrative cases of performative narrativesthat use and reconstruct images in the history and everyday life of a minority,splitting the homogeneous space of the nation and suggesting new public and diasporicspaces within it.

      • KCI등재

        니체와 문학적 공동체

        진은영 한국니체학회 2011 니체연구 Vol.20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e communistic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sovereign individual’ in Nietzsche’s thoughts, by examining his thinking about death, community and art. In his early writings, he thought that individuals had to be redeemed from meaninglessness of life by devoting themselves to their states as the illusion of totality. The community that he pictured may be called an immanentist community in the words of Jean-Luc Nancy. Later, such an idea had been transformed into the aesthetic idea of community,from which the illusory redemption was rejected, and the sovereign individuals were emphasized instead. This later thought of Nietzsche tends to be regarded as an anti-communism. However, in order to understand rightly Nietzsche’s view, we have to distinguish it from Heidegger’s. Heidegger valued the authenticity of individuals, criticizing the life of ‘Das Man’ bound to the illusion of totality. It’s not to say Nietzsche’s view is entirely different from Watsuji Tetsurō(和辻哲郞)’s in which an ethical projection into totality is seen as the realization of sovereignty. Sovereignty of individual in Nietzche’s thought can be considered as the communicative activity that, Jean-Luc Nancy and Maurice Blanchot think, has the ecstatic singularity and impersonality. The sovereign individuality as aesthetic existence is not anti-communistic existence but both constant process and the results of communistic activities. 이 논문의 목적은 죽음, 공동체 및 예술에 대한 니체의 사유를 검토함으로써 그가 말하는 ‘주권적 개인’의 공동체적이고 미학적인 성격을 밝히는 것이다. 니체의 초기 사상에 나타난 내재주의적 공동체 관념은 후기의 디오니소스적 생성 긍정의 철학 속에서 새로운 미학적 공동체 관념으로 변모한다. 초기에 그는 개인들이 국가라는 전체성의 가상에 대한 헌신을 통해 삶의 무의미로부터 구제되어야 한다고 보았지만, 후기에는 가상적 구제를 거부하고 주권적 개인을 강조한다. 이러한 후기 견해는 탈공동체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그의 견해는 전체성의 가상에 구속된 세인의 삶을 거부하며 개인의 고유성을 회복하려는 하이데거의 입장과 다르다. 또한 전체성으로의 윤리적 기투를 고유성의 실현으로 보는 와쓰지의 입장과도 전혀 다른 것이다. ‘주권적 개인’에 대한 니체의 견해는 오히려 낭시와 블랑쇼가 말하는 탈자태적 단독성과 비인칭성을 지닌 소통적 활동성과 같다. 예술적 실존으로서의 주권적 개인성은 단순한 탈공동체적 실존이 아니라 공동체적 활동의 부단한 과정이자 결과물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