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타버스를 이용한 현황분석과 사례를 통한 예술교육 개발 연구

        진승현 ( Jin Seunghyeon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1 예술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4차산업 시대의 예술교육에 대응할 수 있는 매체인 메타버스 플랫폼을 중심으로 현재 보급되여진 현황과 유저들의 대한 상황을 분석하고 그 분석된 자료들의 사례를 통해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의 플랫폼에서 예술교육과 온라인강의들이 어떻게 개발해야 할지를 파악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이라 하겠다. 전 세계적으로 메타버스의 활용도는 코로나 19 상황에서 더더욱 그 역할과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우리의 현실은 그 환경을 인지하기도 전에 널리 확산 되어 지고 있다. 특히 본 연구는 네이버의 자회사인 ‘네이버Z’를 통해 제페토라는 메타버스 서비스를 통한 안면인식과 3D기술 그리고 증강현실 등을 활용하여 아바타를 만들고 아바타를 활용해 다른 이용자들과 소통하고 가상현실을 경험하게 하는 서비스와 SK텔레콤에서의 메타버스 플랫폼인 ‘JUMP’를 출시, 그리고 NC 소프트의‘유니버스’등 여러 기업에서 메타버스 서비스를 개발하고 출시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플랫폼을 통한 여러분야에서 이뤄지는 메타버스의 활용에 대한 상황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교육의 현장에서는 현재 어디까지 활용 되어지고 있는지를 사례를 통해 분석하고 그 분석에 따라 어떻게 발전과 개발을 해야 하는지를 찾고 개선 및 성장하는 환경을 제안하고 그 제안을 토대로 메타버스 매체 미디어가 교육에 효과적인 환경 조성에 일조를 하길 기대해 본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supply status of metaverse platforms, a medium which can be utilized for art education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s well as status of users. Based on actual cases from the analyzed data, it ultimately aims to identify ways to develop not only art education but online lectures using the platforms of virtual reality (VR) and augmented reality (AR). As for the use of metaverse, the role of and dependence on metaverse are markedly increasing in the face of the COVID-19 crisis around the world. In fact, the influence of metaverse has been pervasive before we completely recognize its environment. In particular, ZEPETO, which is a metaverse service provided by ‘Naver Z’, a subsidiary of NAVER Co., Ltd., allows users to create avatars using the most advanced technologies including facial recognition, 3D, and AR and then communicate with other users and experience VR with these avatars. In addition, SK TELECOM Co., Ltd. launched ‘JUMP’ as a metaverse platform, and other companies have also developed and released metaverse services such as ‘UNIVERSE’ of NCSOFT.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how metaverse has been utilized in connection with such platforms in many different areas, to examine to what extent metaverse has been utilized in the field of education through multiple relevant cases, and to come up with how to develop metaverse platforms and propose an environment necessary for metaverse developmen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Based on such suggestions, it is expected that the metaverse media would contribute to creating an effective environment for education.

      • KCI등재

        건축물 화재통계자료를 활용한 스프링클러 작동확률 분석에 관한 연구

        진승현(Jin,Seunghyeon),김혜원(Kim,Hyewon),권영진(Kwon,Youngjin),서동구(Seo,Donggoo) 한국방재학회 202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1 No.1

        국내 성능설계 시 화재 시나리오의 경우 스프링클러가 미 작동한다는 것을 가정하여 설계를 하고 있어 화재 시나리오의 정확성이 저하될 것으로 판단된다. 국외의 경우 스프링클러의 작동확률을 고려한 설계를 위해 지속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특히 작동 이후 효과를 구분하여 작동확률에 대하여 분석하고 있다. 이에 국내 화재통계자료를 활용하여 스프링클러 작동 이후 효과를 고려하여 작동확률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소화성공 44%;억제성공 32%;미작동 24%의 작동확률을 도출하였다. 또한 국외 자료와 비교한 결과 작동유무에 대한 확률은 76%로 국외 연구 결과에 비해 낮게 분석되었다. 소화성공;억제성공;미작동에 대한 확률 결과를 비교했을 때 억제성공의 확률이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In Korea;considering that the accuracy of fire scenario evaluation is reduced by performance-based design;it is assumed that the sprinkler does not operate. In other countries;the design continues to be researched considering the operation probability of the sprinkler. In particular;the operation probability that divides the effect after operation is analyzed. Therefore;the operation probability was analyzed by considering the effect of sprinkler operation using domestic fire statistics. As a result;it was found that the probability of successful operation for fire extinguishment was 44%;the success of suppression was 32%;and failure to operate was 24%. As a result of a comparison with data from other countries;the probability of operating;76%;was lower than that of studies from other countries. When comparing the probability results for successful fire extinguishment;success of suppression;and failure to operate;it was confirmed that the probability of successful suppression was slightly different.

      • KCI등재

        화재 확대 및 건축물 연면적을 고려한 건축물 용도별 화재위험분석에 관한 연구

        진승현(Jin,Seunghyeon),이병흔(Lee,Byeongheun),김혜원(Kim,Hyewon),구인혁(Koo,Inhyuk),권영진(Kwon,Youngjin),서동구(Seo,Donggoo) 한국방재학회 202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1 No.6

        국내 건축물의 화재위험평가를 위한 화재위험분석은 화재건수별 화재 확대;건축물 규모를 고려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화재 확대 및 건축물의 규모를 고려한 화재위험분석을 실시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규모가 화재확대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으며;화재가 확대된 화재 건수 및 건축물 연면적을 활용하여 화재위험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건축물 층수가 11층 이상이면 화재확대빈도가 증가했으며;연면적이 1,000 m² 이상 증가했을 때 소규모 화재발생 비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화재위험을 도출한 결과 건강관리시설(25.7 × 10⁻³인/년);의료시설(4.29 × 10⁻³인/년);위락시설(0.91 × 10⁻³인/년)의 화재위험이 높은 시설로 분석되었다. Fire risk analysis models utilized for the fire risk assessment of domestic structures do not usually take into account flame spread and building size. Therefore;in this study;the effect of the building size on flame spread was investigated. Results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fires increased when the building has 11 or more floors. Additionally;the rate of occurrence of small-scale fires also increased when the total floor area was greater than or equal to 1,000 m². From the risk analysis;the fire risk of health care;medical;and recreational facilities were calculated to be 25.7 × 10⁻³;4.29 × 10⁻³;and 0.91 × 10⁻³ persons per year;respectively. As such;these were classified as high-risk facilities.

      • 창고시설의 화재위험성 저감을 위한 수용품 및 방화구획 기준 구축에 관한 기초적 연구

        김윤성(YunSung Kim),진승현(SeungHyeon Jin),이병흔(ByeongHeun Lee),허예림(Yerim Huh),권영진(YungJin Kwon) 한국화재소방학회 2021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추계

        최근 한국에서는 대규모 물류창고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대형 물류창고의 증가는 화재위험성과 직결되는데, 리스크 매트리스를 통한 물류창고 위험도 평가결과 재산피해와 인명피해 모두 4등급 이상으로 측정되는 등 화재위험성이 높은 시설로 구분된다. 이러한 화재위험성 증가에 따라 국가적으로 정부 TF(Task Force)가 구성되었으며 물류창고 안전관리 지침 발간 및 화재안전규정이 강화되었다. 그러나 2020년 이천 물류창고화재, 2021년 쿠팡 물류창고 화재 등 대형화재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이를 저감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한국에서 발생한 대형화재를 분석한 결과 방화구획, 가연물 기준미비, 소방시설 설치 및 유지관리미비, 높은 화재하중 등의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또한 한국, 일본, 미국의 창고시설 화재안전대책에 대한 기준조사를 실시한 결과 미국 NFPA에서는 창고 내부에 저장되는 수용품 기준을 Class I~IV 등급으로 구분하였고 아울러 플라스틱, 고무 탄성 중합체 등 특수그룹을 더하여 7가지로 세분화 하고 있었다. 또한 일본의 NFC231C규정에서는 수용물품의 발열량과 수납용기의 재질, 포장재의 특성을 포함하여 규정수량 및 보관물품수량을 근거로 하여 I~IV등급으로 분류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현행 기준인 NFSC103은 단순히 특수가연물과 그 외의 것으로 구분하고 있다. 또한 창고시설은 같은 면적이더라도 수용품 및 적재방식에 따라 화재위험성에서 매우 차이가 발생하는데, 모든 창고시설을 대상으로 일률적인 소방시설 및 건축설비 기준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에서는 창고시설의 내부 수용품에 따른 차등적인 화재안전설계를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창고시설에서 발생한 대형화재를 분석하여 창고시설의 방화적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그 문제에 대한 기준적인 문제점을 살펴보기 위해 미국, 일본, 유럽의 기준과 비교하였다. 또한 위에서 도출된 수용품 및 방화구획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축소실험 및 화재⋅피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실정에 맞는 기준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고층건축물 수직공간의 화재 시 압력차 분석을 위한 실험적 연구

        허예림 ( Yerim Huh ),김혜원 ( Hyewon Kim ),진승현 ( Seunghyeon Jin ),권영진 ( Youngjin Kwon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0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 No.1

        As buildings in South Korea become more skyscrapers, the risk of fire is also emerging. Thus, regulations, regulations, and guidelines are being improved to prevent the spread of smoke in the event of a fire in high-rise buildings, but research on smoke flow and pressure distribution in vertical spaces is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temperature of each floor in the vertical spac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ire is measured through the miniature model experiment, and the pressure difference is calculated to establish the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of domestic air supply facilities in the future. Thus, a scale model of one-sixth the size of the actual building was produc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and the pressure difference was derived by substituting the value for the expression. The pressure difference varie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cause of the fire, and it is believed that the differential pressure and conditions of the building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before calculating the supply volume for the analysis of the pressur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ause of the fire in the event of fire.

      • KCI등재

        화재시뮬레이션(FDS)을 활용한 제천스포츠센터 화재확산경로 추정에 관한 연구

        최윤주(Yunju Choi),김윤성(Yunseong Kim),진승현(Seunghyeon Jin),구인혁(Inhyuk Koo),권영진(Youngjin Kwon) 한국방재학회 202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3 No.2

        2017년 제천스포츠센터 화재로 인하여 약 80명의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특히 2층과 3층에서 화재피해 형태가 상이하게 발생해 일반적인 화재사례와 차이점이 나타났다. 이후 발간된 화재백서 및 보고서 등에서는 주요 화재확산경로를 화물용 승강기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화재로 인한 소손 피해, CCTV 및 재실자 증언 등의 자료에 따르면 화물용 승강기가 2층과 3층에서 상이한 피해를 야기한 화재확산경로가 아닐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재확산 경로를 명확히 추정하기 위하여 화재사례 및 화재시뮬레이션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화물용 승강기보다 주 계단이 주요 화재확산경로로서 더욱 신빙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2017, a fire at the Jecheon Sports Center resulted in approximately 80 casualties. Interestingly, the extent of fire damage on the second and third floors differed from the general type of fire damage. The white papers and reports of the Jecheon Fire Department indicated that the primary spread path of the fire was a freight elevator. However, analysis of the damage caused, CCTV footage, and victim testimonies suggested that the freight elevator may not have been the primary fire spread path on the second and third floors. Therefore, further investigation was needed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fire. In this study, fire simulations were conducted using a Fire Dynamics Simulator (FDS) and compared with actual fire cases, which enabled us to predict the fire spread path accurately. It was found that the main stairway was more likely to have been the main fire spread path than the freight elevator.

      • KCI등재

        개구부에 설치되는 유리의 화재위험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지우(Han, Jiwoo),김혜원(Kim, Hyewon),이병흔(Lee, Byeongheun),진승현(Jin, Seunghyeon),권영진(Kwon, Youngjin) 한국방재학회 2020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0 No.1

        본 연구는 건축물 화재 시 개구부를 통한 화재확산방지를 위하여 개구부에 설치되는 유리 종류별 내화성능을 분석한 시험적연구이다. 강화유리, 접합유리, 복층유리, 일반유리 등 4가지 재료를 대상으로 유리구획 부분의 내화시험(KS F 2845)을 실시하였으며, 유리 종류별 화재에 대한 위험성을 분석하기 위해 건축물 용도별 화재실 온도예측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리종류중 접합유리가 617 ℃에 파열되었고, 열에 가장 잘 견디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구획화재온도를 예측한 결과 약 2분만에 617 ℃에 도달하는 것을 확인되어 화재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개구부에 설치되는 유리에 성능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 This is an experimental study that analyzes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the types of glass installed in an opening to prevent a fire from spreading through the opening. The fire resistance test for glazed elements (KS F 2845) was performed on four materials: laminated glass, general glass, double-layer glass, and toughened glass. To analyze the risk of fire of each glass type, the temperature prediction of the fire room in the building was analyzed. As a result, the laminated glass ruptured at 617 ℃, and it was found to be the most resistant to heat amongst all the glass types. Additionally, the temperature of the fire in the compartment was predicted to reach 617 ℃ in 3 min. A performance review is required for the glass installed in the opening to prevent the fire from spreading.

      • 화재이론에 기초한 천장재 종류별 위험성 분석에 관한 연구

        김혜원 ( Kim¸ Hyewon ),김윤성 ( Kim¸ Yunseong ),이병흔 ( Lee¸ Byeongheun ),진승현 ( Jin¸ Seunghyeon ),구인혁 ( Koo¸ Inhyuk ),권영진 ( Kwon¸ Youngjin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1 No.2

        In general, when a building fire occurs, the heat flow rises by buoyancy, which affects the temperature rise of the ceiling. In addition, when the ceiling ignites, the fire spreads rapidly due to horizontal spread and radiant heat. According to the fire investigation, most of the large fires have a common characteristic that the fire spreads to the ceiling and causes many casualtie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fire risk of ceiling materials used in buildings to prevent the spread of fire to the ceiling. Therefore, in this study, combustion characteristics such as the amount of heat released and ignition time of each SMC, DMC, and gypsum board were checked using a Cone Calorimeter, and the ignition temperature was calculated by substituting them into the fire theory. As a result, the ignition temperature of SMC was 449K, that of DMC was 1492K, and that of gypsum board was 677K.

      • KCI등재

        화재 시 고층건축물의 연돌효과에 따른 압력차 분석에 관한 연구

        김혜원(Kim,HyeWon),구인혁(Koo,InHyuk),김윤성(Kim,YunSeong),이병흔(Lee,ByeongHeun),진승현(Jin,SeungHyeon),권영진(Kwon,YoungJin) 한국방재학회 202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1 No.1

        국내의 고층건축물이 지속적으로 증가되어 감에 따라 연돌효과와 관련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화재 시에는 실내의 온도가 높아지면서 연돌효과가 커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화재 시 온도변화에 따른 연돌효과의 영향을 분석해야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CONTAMW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개구부의 개폐여부와 화재가 발생하여 화재실의 온도가 성장기의 온도로 상승한 경우를 설정하여 화재 시 온도상승에 따른 건축물 내의 압력차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개구부의 개폐여부에 따라서는 개방 시에는 0~100 Pa 정도로 각 층마다 균일한 압력차를 보였다. 하지만 화재실을 가정하였을 때는 화재층의 압력이 250 Pa 정도로 높아지며;각 층마다 압력차의 변동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As the number of high-rise buildings in Korea continues to increase;interest in the stack effect is increasing. In particular;in the event of a fire;as the indoor temperature increases;there is the problem that the stack effect increases. Accordingly;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stack effect resulting from temperature change during a fire. In this study;by using CONTAMW simulation;the opening was opened or closed. In the case where the temperature of the fire room rises to the temperature of the growth period caused by a fire;the pressure difference in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increase during a fire was confirmed. As a result;depending on whether the opening was opened or closed;the pressure difference was uniform for each layer;ranging from 0 to 100 Pa when opened. However;assuming a fire room;the pressure in the fire layer increased to approximately 250 Pa;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ressure difference varied greatly for each flo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