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소아 Henoch-Schölein purpura에서 전환성장인자-β 프로모터유전자의 유전학적 다형성과 신장침범의 관련성

        이승호,지화영,김황민,예병일,Lee, Seung Ho,Jee, Hwa Young,Kim, Hwang Min,Yeh, Byung Il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8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1 No.5

        Purpose : Several cytokines play important roles in the inflammatory process of Henoch-$Sch\ddot{o}lein$ Purpura (HSP). It is likely that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TGF-{\beta}$) is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HS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GF-{\beta}$ promoter polymorphism is associated with the renal involvement of childhood HSP. Methods : Thirty-four patients younger than 15 year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HSP, as well as 27 controls, were examined. Patients and controls were genotyped for $TGF-{\beta}$ C-509T by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RFLP). Results : The T allelic frequencies in patients and controls showed no difference (45% vs. 48.8%). No allele or genotyp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 of HSP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observed. The frequencies of $TGF-{\beta}$ 509 genotypes TT, TC, and CC were no different between patients and controls (26% vs. 22%). The TT genotype of polymorphism of the $TGF-{\beta}$ C-509T gene had no relation to the susceptibility of children to HSP and renal involvement in HSP. Conclusion : $TGF-{\beta}$ T allele may not be related to the susceptibility of children to HSP. The TT genotype of polymorphism of the $TGF-{\beta}$ C 509T gene does not appear to have an influence on renal involvement in childhood HSP. 목 적 : HSP는 소아에서 흔한 전신성 혈관염으로 명확한 병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염증성 시토카인들이 발병기전에 관여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그중 전환성장인자-${\beta}$가 HSP의 발병기전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환성장인자-${\beta}$ 프로모터 유전자의 유전학적 다형성과 HSP 환자에서의 신장 침범과의 관련성을 조사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 법 : 2003년 6월부터 2005년 6월까지 연세대학교 원주기독병원 소아과를 방문하여 HSP로 진단받은 15세 이하 환아 34명과 같은 기간 본원을 방문한 정상 대조군 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환성장인자-${\beta}$ 다형성 유전자 표현형은 PCR-RFLP로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시행하였다. 결 과 : HSP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전환성장인자-${\beta}$ 프로모터 유전자 다형성의 T 대립유전자 빈도는 각각 45%, 48.8% 였으며, T 대립유전자 빈도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37). TT 유전자 표현형도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빈도의 차이가 없었고(26% vs. 22%, P=0.37), 환자군 중 신장 침범에 있어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29% vs. 20%, P=0.77). 결 론 : 전환성장인자-${\beta}$ 유전자 다형성의 TT 표현형과 T 대립유전자의 빈도가 HSP 환아의 질병 감수성이나 신장침범과의 연관성을 보임을 관찰할 수 없었으며 HSP 환자들에게 있어서 보다 큰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전환성장인자-${\beta}$와 신장침범 및 질병 감수성과의 연관성을 명확히 하는데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