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국에서의 한국어 한자 교육과 한자 교재 개발 방안

        지수용 중국한국(조선)어교육연구학회 2009 한국(조선)어교육연구 Vol.6 No.-

        語言的閱讀能力和表達能力與己掌握的詞匯量有着密切的關系。 在韓國語詞匯體系中, 由漢字構成的漢字詞占有擧足輕重的地位。 因此, 要想提高學生的韓國語閱讀能力和表達能力, 就必鬚加强對韓國語漢字及漢字詞的敎育。 本文闡述了針對中國學生的韓國語敎育中, 專門進行韓國語漢字及漢字詞敎育的必要性以及具體的敎育內容和方法, 幷在此基礎上探討了适合中國學生的韓國語漢字敎材開發方案。

      • KCI등재

        중국 대학교 한국어 전공자를 위한 한국문학 교육 연구 - 독자적인 교과목으로서의 한국문학의 교육 목표와 과제 -

        지수용 한중인문학회 2016 한중인문학연구 Vol.52 No.-

        중국 대학교 한국어학과에서 독자적인 교과목으로 가르치는 한국문학은 그 교육 현장에서여러 가지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한국문학 교육에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할 것인가 하는 가장 핵심적인 문제를 놓고 혼선을 빚고 있다. 이런 현상이 나타나게 된 근본적인 원인은 독자적인 교과목으로서의 한국문학의 교육 방향과 목표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부족한 데 있다고 할 수 있다. 커리큘럼을 구성하는 각 교과목마다 자기의 핵심적인 교육 방향과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교육의 핵심적인 방향과 목표가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 각 교과목사이의 경계가 결정된다. 따라서, 교육자와 학습자가 교수-학습 현장에서 각 교과목의 핵심적인 교육 방향과 목표를 정확히 인지하고 그것을 실현해 나갈 때 효과적인 교육이 이루어지는것이다. 본고는 바로 이 점을 감안하여 중국 대학교 한국어 전공자를 위한 독자적인 교과목으로서의 한국문학이 지향해야 할 교육 방향과 목표가 무엇인지에 대해 검토하고, 이어서 그와관련된 교육 내용과 방법, 교사의 전문성과 교재의 지향점 등 문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Korean literature as a independent curriculum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of the chinese university has exposed many problems at the field of education. Above all, they have no decisions on the core problems that are what they to teach and how to teach. The fundamental reason for this phenomena is the lack of recognition on the directions and goals of the education of Korean literature as an independent curriculum. Each units that make up the curriculums have their core education direction and goals, and according to it the boundary between these units will be determined. Therefore, when the teachers and learners recognized correctly the core education direction and goals of each units of the curriculum and realized them, the effective education will be achieved. In this paper, I’ve examined what are the education direction and goals of Korean literature as the independent curriculum for th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in chinese universities, and argued, with this point, the contents of education and teaching methods,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directing point of textbooks etc.

      • 한국 전통연극의 미학적 특징 -중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지수용 중국한국(조선)어교육연구학회 2006 한국(조선)어교육연구 Vol.4 No.-

        每個民族的戱劇都有自己固有的發生和發展過程, 同時也具有自己固有的戱劇形式和審美特征, 韓國傳統戱劇也不例外。 韓國傳統戱劇包括假面劇, 傀儡系, 笑謔之戱等劇種。 本文將把韓國的傳統戱劇看作一個有机的整體, 去考察타所蘊含的美學特征。 這不僅有助于從宏觀的角度了解韓國的傳統戱劇及其審美特征, 而且也有助于了解導致這種審美特征的韓國傳統社會的社會環境和文化環境, 以及韓民族固有的民族心理傾向。 在硏究方法上考慮到中韓戱劇之間存在的特殊關系, 從比較的角度去探討韓國傳統戱劇的美學特征及其形成原因。

      • KCI등재

        판소리의 장르적 성격에 대하여 -중국 곡예(曲藝)와 관련하여-

        지수용 ( Ji Su Yong ) 판소리학회 2012 판소리연구 Vol.34 No.-

        판소리의 장르적 성격에 관한 논의는 판소리의 질서나 미학적 원리의 구명과 직접 연관되어 있는 작업으로서 판소리 연구에서 선행되어야 할 부분이다. 사실상 판소리의 장르적 성격에 관한 문제는 판소리 연구의 초기에서부터 지금까지 끊임없이 논란의 대상으로 되어왔다. 이러한 논란을 일으키게 된 데는 판소리 자체의 복합적인 성격이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하 였겠지만, 보다 근본적인 원인은 판소리를 바라보는 시각에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본고는 우선 판소리 구성 요소에 대한 분석적 접근을 통하여 기존 연구에 존재하였던, 판소리 구성 요소의 어느 한 측면에서 판소리 장르의 단서를 찾아내던 문제점을 지적하고, 판소리 장르의 성격을 구명하기 위해서는 판소리를 문학적 요소, 음악적 요소, 그리고 연극적 요소가 유기적으로 어우러진 공연예술 양식으로 보고, 그것에 대한 통합적인 조명을 진행함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이어서 판소리와 다른 공연예술 양식과의 차이점을 밝히기 위하여 판소리의 근본적 예술특징을 이루는 구두(口頭)로 된 배우의 ‘설창’ 연기에 초점을 맞추어 판소리 장르의 단서를 찾아내고자 하였다. 한편, 판소리를 바라보는 시야를 넓히기 위하여 ‘판소리는 한국만의 독특한 예술 장르’라는 기존 관념을 극복하고 오늘날 전승되고 있는 판소리의 양식 자체는 다른 민족, 다른 지역에도 보이는 보편적인 양식이라는 전제 하에 중국 ‘곡예’와의 비교 검토를 시도하였다. 중국 ‘곡예’와의 공시적 및 통시적 차원에서의 비교 검토는 판소리의 장르적 성격 구명에 유익한 방법론을 제시해 주었는 바, 양자의 비교검토를 통하여 오늘날 우리가 접하는 판소리는 한국의 오랜 설창예술 전통 속에서 싹트고 성장해 오다가 18세기에 비로소 꽃을 피운 한국적 특색이 짙은 설창예술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지금까지의 판소리 연구에 나타난 문제점을 지적하고, 앞으로의 판소리 연구에서는 어디까지나 설창예술의 미학적 원리에 좇아 판소리 구성 요소에 대한 분리적 연구와 통합적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판소리로 하여금 본연의 모습으로 되돌아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하였다. 아울러 판소리와 기타 나라의 유사한 예술양식과의 비교 검토도 판소리의 미학적 특징을 구명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Ascertaining the genre features of Pansori is directly related to the research of structure and aesthetic principle of Pansori. Therefore, ascertaining the genre features bears the brunt of the research of Pansori. Actually, arguments about the genre features have never ceased since Pansori became the object for study. An important reason of these arguments is compound factors of Pansori and we hold the opinion that the root cause is the deviation in the view of investigating this artistic form. This paper points out some problems existing in discussion of the genre features that investigating the genre features of Pansori from structure factor of one Pansori through analysing several structure factors of Pansori. We emphasize that Pansori should be known as a performing art including literature, music, drama and we should investigate its genre features as a whole. Then this paper focuses on the most fundamental artistic characteristic that actors giving verbal performances-“Shuochang”(說唱, the Style of song-narrative) and tries to find the pointcut of ascertaining the genre features of Pansori for clearing the difference between Pansori and other performing arts. Meanwhile, this paper breaks the inherent concept that Pansori only belongs to Korea and considers Pansori as a widespread art around the world for expanding the vision of investigating Pansori. On this premise, we make a comparison between Pansori and chinese quyi from different aspects and find a methodology of ascertaining the nature of genre of Pansori. We conclude that Pansori is a “Shuochang” art fulling of korean characteristics that matured in the 18th century and inherit the traditional Korean “Shuochang” art. Finally, this paper points out some problems in formerly research of Pansori. We emphasize that the research of Pansori should be followed to aesthetics rules no matter individually or integrally to revert its origin. The comparative research of Pansori and other national “Shuochang” art will contribute to the discussion of specific aesthetic features of Pansori.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