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능형 알고리즘을 이용한 실내 조명 제어 시스템

        지선호(Sun-Ho Jee),조현찬(Hyun-Chan Cho),전홍태(Hong-Tae Jeon) 대한전자공학회 2010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10 No.6

        The more area is far from window, the more area is dark. So, some area is enough bright to work, but some area is not. Although the sun is shining, workers turn on the lamp to solve to imbalance. Following these reason, energy is consumed unnecessarily. In this paper, we suggest dynamic and smart lighting system with intelligent algorithm to solve imbalance of bright and energy waste.

      • 지능형 알고리즘을 이용한 Dynamic & Smart Lighting System 연구

        지선호(Sun-Ho Jee),조현찬(Hyun-Chan Cho)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9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19 No.2

        전자식 Dimming 안정기는 램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을 가능케 했다. 하지만 Dimming 컨트롤 스위치를 통해서 수동으로 컨트롤이 가능 할 경우에만 이러한 효과를 보는 것이 가능하고, 수동으로 제어하는 불편함 또한 감수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디머 장치들을 장치한 조명과 이 장치들을 컨트롤 할 수 있는 컨트롤러가 있는 시스템에 퍼지 이론을 적용한 지능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조명 시스템을 동적이고 능동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기존의 조명 시스템과 제안된 알고리즘이 적용된 조명 시스템의 실험결과의 비교를 통해 제안된 알고리즘의 유효성을 보였다.

      • KCI등재

        균일 방제를 위한 항공 살포시스템 구현

        지선호(Jee, Sun-Ho),전부일(Jeon, Bu-Il),조현찬(Cho, Hyun-Cha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1

        본 논문에서는 항공 방제 시 균일 방제를 통하여 병해충에 의한 농산물 생산량 저하 및 농약이 과도 살포된 농작물 생산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항공 방제가 실시되는 비행 고도 3m와 속도 15km/h를 유지하는 것은 사용자의 조종 습관 및 방법, 바람의 변화 같은 환경적 요인이 작용하여 대단히 어렵다. 따라서 무인 헬리콥터로부터 비행 데이터를 전송받아 비행 속도 및 고도의 변화에 따라 붐의 각도와 DC 펌프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살포 장치 및 제어기를 설계 및 제작하였고 무성 항공사의 무인 헬리콥터 Rmax에 탑재하여 살포 성능을 검증했다. 실험은 가로 10m, 세로 50m의 농지에서 감수지를 한 열에 1.25m 간격으로 9장씩 5열을 5m의 위치에서부터 10m 간격으로 배치하고, 방제 실험 시 제작된 항공 살포 시스템을 이용하여 살포하였다. 무인 헬리콥터는 최저속도 7.2km/h부터 최고속도 17.6km/h, 최저높이 2.32m부터 최고 3.47m까지 최고 10.4km/h 의 속도 변화와 1.15m 고도 변화를 보이며 비행하였고, 각 열이 평균 46423개의 입자개수의 분포로 7.5m의 유효 살포 영역을 형성함을 보여 제안된 항공 살포시스템이 균일 방제에 효과가 있음을 증명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event the decrease in crop output by disease and insect pests and excessive spraying of agricultural pesticides by application uniformity. A 3m height and 15km/h speed is difficult to maintain with an unmanned helicopter for aerial application, which has been affected by the controlling habits and methods or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changes in the wind. Therefore, in this study, an aerial application system was design to be attached to an unmanned helicopter, which can allow a controlled application width and spray rate automatically and verified experimentally using Rmax of MS-AVIATION. The size of agricultural land was 50 m2 and nine water sensitive cards were arranged at 1.25m intervals in 5 rows with each row having a 10m interval from the position of 5m. The unmanned helicopter was flying at speeds ranging from 7.2km/h to 17.6km/h and heights ranging from 2.32m to 3.47m. The proposed aerial application system allowed application uniformity by making a valid spraying area of 7.5 m2 with 46423 particles distributed on average.

      • KCI등재

        번식률 향상을 위한 무인 발정발현 관찰시스템 구현

        김석준(Kim, Suc-June),지선호(Jee, Sun-Ho),조현찬(Cho, Hyun-Chan),김춘수(Kim, Chun-Su),김현섭(Kim, Hyeon-Shup)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9

        본 논문에서는 무인 발정발현 관찰을 통해 다두 사육 시 발생하는 공태를 줄이고, 정확한 수정적기 판단을 통해 번식률을 향상하고자 하였다. 무리 생활을 하는 소의 특성상 운동량의 증가 유무만으로는 발정 발현의 판단이 어렵기 때문에, 소의 운동량 수집 센서와 개체 정보 종합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무인 발정발현 관찰시스템을 구축하고 운동량 정보와 번식 정보를 이용하여 발정 발현 관찰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시스템과 알고리즘에 대한 성능 검증은 수정 전 시스템을 통해 수정적기를 관찰하고, 수정하고 21일 후 재발정 여부를 확인, 다음 21일 후 초음파 진단을 통해 수태여부를 확인하여 적절하게 수정적기를 판단하였는지 검증하였고, 이를 규모가 유사한 실제 축산 농가 4곳에서 수행하였다. 각 농가의 총 사육 두수는 87, 81, 93, 82두이며 관찰된 발정 예정인 소는 14, 19, 15, 17두 이다. 이중 미약발정에 해당하는 3, 2, 1, 3두는 관찰에 실패하였으나 정상발정에 해당하는 11, 17, 14, 14두의 발정을 감지하였고, 인공 수정 후 10(91%), 17(100%), 13(93%), 14(100%)두의 소가 수태하여 제안된 무인 발정발현 관찰 시스템이 정상발정 시 수정적기 판단에 유효함을 보였다. In the paper, we reduce non-pregnant conditions and improve impregnation rate by unmanned estrus detection and decide proper time for artificial insemination. It is too hard to detect estrus only by using activities, we develop unmanned estrus detection system that consist of RF activity sensors, cow management program and estrus detection algorithm that uses information of activities and breeding. We verify performance by experiments in four similar scale stockbreeding farmhouse. Each stockbreeding farmhouse breeds 87, 81, 93, 82 cows and expected estrus cows are 14, 19, 15, 17. In expected estrus cow, we fail in weak estrus detection - 3, 2, 1, 3 cows, but detect successfully normal estrus - 11, 17, 14, 14 cows. After artificial insemination, 10, 17, 13, 14 cows became pregnant successfully confirming that proposed unmanned estrus detection system is effective for deciding proper time for artificial insemination in normal estrus.

      • 소 개체관리 및 번식률 향상을 위한 시스템 설계

        김석준(Suc-Jun Kim),지선호(Sun-Ho Jee),조현찬(Hyun-Chan Cho) 대한전기학회 2014 정보 및 제어 심포지엄 논문집 Vol.2014 No.10

        In order to desig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Korean cow which can be managed stockbreeding farmhouse and improving coefficient of reproduction, we observe Korean cow"s behaviors and set some important parameters like birth, date of fertilization, last delivery date, etc. In this paper, we designed unmanned heating observation system for reducing non-pregnant condition and management software for effective management in stockbreeding farmho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