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우리나라 가계와 기업의 부문별 화폐수요 : 불확실성과 환율을 고려한 연구

        주한광(Han Gwang Choo),주상영(Sang Yong Joo) 한국경제학회 2002 經濟學硏究 Vol.50 No.2

        This paper investigates the long-run demand for M_1 and M_2 in Korean households and firms in the period form 1980.Ⅰ to 1998.Ⅳ. The data for sectoral money demand are calculated from the flow-of-funds table produced by the Bank of Korea. We find that in each case of sectoral M_1 and M_2 a stationary long-run money demand function exists when the inflation uncertainty and income growth uncertainty (and, in the case of firms` money demand, the exchange rate) are included in the function along with income and interest rate. The conditional variance estimate from the GARCH(Generalized Autoregressive Conditional Heteroskedasticity) model is used as a variable for uncertainty. Results show that both the inflation uncertainty and the income growth uncertainty increase the money demand while the exchange rate depreciation decreased it. Results from error correction models indicate that the model is stable in the sample period.

      • KCI등재

        The Analysis of Currency Substitution in Thailand

        Lee, Sung Ryang(이성량),Choo, Han Gwang(주한광)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사회과학연구 Vol.23 No.2

        이 논문은 태국이 변동환율제도를 도입한 1997년 1분기부터 2013년 4분기까지 분기별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태국의 화폐대체 변수를 실질소득과 이자율과 함께 화폐수요함수에 포함하여 화폐수요의 장기적인 관계를 측정하였다. 화폐대체 변수는 3개월 선물환과 현물환의 차이를 예상환율절하 변수로 활용하였으며 예상환율절하 변수는 화폐수요함수에서 설명 변수로 유의하였다. 그러므로 이는 태국의 화폐수요에서 화폐대체 현상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태국에 외부로부터 경제 충격이 올 경우 태국 중앙은행이 적극적인 통화정책으로 경제상황에 대처 할 수 있는데는 한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This paper examines the existence of currency substitution in domestic money demand for Thailand after Thailand adopted the flexible exchange rate system in 1997. By examining money demand in Thailand using a quarterly three-month forward exchange rate premium/discount as a proxy for expected change in exchange rate, the paper finds that currency substitution exists in the money demand function in Thailand.

      • KCI등재

        不確實性 및 換率과 韓國의 貨幣需要函數

        朱한광 한국국제경제학회 2002 국제경제연구 Vol.8 No.2

        이 연구는 화폐수요함수의 전형적인 설명변수인 실질소득과 이자율뿐 아니라 불확실성 또는 환율을 추가하여 1980.1~2001. Ⅳ의 표본기간 동안 한국의 화폐수요함수를 공적분 분석 및 오차수정 모형으로써 검정한다. GARCH (Generallzed Autoregressive Conditional Heteroskedasticity) 모형에 의해 도출한 인플레이션 및 소득증가에 대한 불확실성을 불확실성 변수로 삼고, 소비자물가지수 및 무역가중치에 기초한 실질실효환율을 활용한다. 검정결과에 의하면, M_1과 M_2 각각의 경우에 실질소득과 회사채수익률만을 설명변수로 고려할 때보다, 불확실성 변수 또는 실질실효환율도 고려할 때 더 안정적인 공적분 관계가 존재하며, 화계수요의 실질소득에 대한 탄력성은 대략 1 또는 1을 상회하는 양(+)이고, 회사채수익률 상승은 화폐수요 감소를 가져오고, 인플레이션 불확실성 및 소득증가 불확실성의 증가는 화폐수요 증가를 야기하며, 원화의 실질실효환율의 절하는 화폐수요 감소를 낳는다. 한편, 1997.Ⅱ 이전의 기간과 전체 표본기간을 비교하면 대체로 서로 비슷한 결과를 보이는데, 차이점은 M_1의 경우에 전체 표본기간에는 불확실성은 제외하고 실질실효환율만 추가할 때 유의한 안정적 화폐수요함수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This paper studies the long-run demand for Ml and M2 in Korea in the period from 1980. Ⅰ to 2001. Ⅳ by co-integration and error correction models. We find that in each case of M, and M2 a stationary long-run money demand function exists when we include the inflation uncertainty, the income growth uncertainty or the real effective exchange rates in the function In addition to the national Income and the interest rates. The conditional variance estimate from the GARCH (Generalized Autoregressive Conditional Heteroskedasticity) model is used as the uncertainty variable in the money demand function. We get the results that both the inflation uncertainty and the Income growth uncertainty Increase the money demand while the depreciation of Korean won's real effective exchange rates decreases the money demand.

      • KCI우수등재

        아시아 후발 개도국들에서의 구매력평가설, 실질환율과 원유가격

        주한광 한국경제학회 1999 經濟學硏究 Vol.47 No.4

        이 논문은 1977년 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10개 아시아 후발 개도국들의 명목 환율과 국내외 상대물가에 대해 Johansen의 공적분 검정을 이용하고, 실질환율에 대해 단위근 검정을 이용하여 장기적 구매력평가설을 검정한다. 환율로는 이 기간 동안 불안정적이었던 미국 달러 대신에 독일 마르크와 일본 엔화에 대한 각 국의 환율을 이용한다. 절반 가량의 경우에 구매력평가설이 성립하고, 한 나라의 경우에 실질환율이 안정적임을 알 수 있다. 더 나아가 원유가격이 안정적이었던 1980년대 중반 이후의 기간을 따로 분석하면 대부분의 경우에 구매력평가설이 성립하고, 실질환율이 안정적임을 발견할 수 있다. 그리고 세계시장의 원유가격이 실질환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던 점을 감안하여 분석하면 실질환율과 원유가격 사이에 유의한 공적분 관계가 존재하고, 또한 원유가격으로부터 실질환율로의 인과관계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요컨대 장기적으로 환율이 상대물가 이외에 원유가격과 같은 실질변수에도 크 게 영향받으며 이 때문에 원유가격 변동이 주는 충격을 적절히 흡수하는 정책이 시행될 필요도 있다는 것을 시사해주는 것이다.

      • KCI등재

        우리나라의 기업화폐수요 : 실질실효환율을 고려한 공적적분분석

        주한광 한국국제경제학회 1999 국제경제연구 Vol.5 No.2

        이 논문은 1980. I - 1998. IV의 우리 나라 기업부문의 화폐수요를 분석한다. 한국은행의 『자금순환표』에서 구한 분기별자료를 이용하여 기업부문의 M₁, M₂, MCT, M₃가 각각 실질소득, 이자율, 실질실효환율과 장기적 관계가 있음을 Johansen-Juselius공적분기법을 통해 검정한다. 기업화폐수요의 실질소득에 대한 탄력성은 화폐수요의 종류에 따라 1 미만, 1, 또는 1 이상으로 각각 달랐다. 그리고 네 종류의 화폐수요에서 모두 이자율상승이나 실질실효환율의 절하가 화폐수요 감소를 낳음을 밝혔다. 한편, 외환위기 이전인 1996. IV까지의 기간이나 자본자유화가 활발해지기 이전인 1992. IV까지의 기간을 각각 분석하여 도출되는 공적분계수들을 비교하더라도 기간별 상이점이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우리 나라 경제 전체에 대하여 적응하였을 때에도 대체로 이와 유사한 사실을 밝혔다. 기존의 연구와 비교할 때 특히 원화가치의 하락이 화폐수요의 감소를 가져온다는 사실은 주목할 사항으로서 정책적 합의도 크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한국 상장회사 주식의 발생자본손익과 가계소비

        김흥린,주한광,이재기 한국국제경제학회 2001 국제경제연구 Vol.7 No.3

        본 연구는 1975년 1반기(6월)∼1999년 2반기(12월) 기간동안 한국상장회사주식의 발생자본손익을 연도별이나 반기별 자료를 이용하여 소유자 전체 및 각 소유주체별로 추정하였으며, 이 중 반기별 투입자료를 사용하여 추정한 개인보유 상장주식회사 발생자본손익이 한국의 가계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OLS 그리고 공적분검정 및 오차수정모형을 통하여 究明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 나라의 경우도 개인보유 주식발생자본손익이 소비지출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특히 내구재(및 준내구재)소비지출이 여타 부류의 소비지출에 비해 소득 또는 개인보유 주식발생자본손익의 영향을 더 크게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단기동태식의 오차수정항의 조정계수의 절대값은 내구재(및 준내구재)소비지출이 여타 부류의 소비지출에 비해 작은데, 이는 내구재 소비의 경우에 장기균형으로의 조정기간이 비내구재 소비 및 전체 소비의 경우보다 더 길다는 것을 뜻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