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급경사지 정비사업에 따른 탄소배출량 산정

        주진걸(Jingul Joo),이정민(Jungmin Lee),박무종(Moojong Park) 한국방재학회 202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3 No.1

        기후변화로 인한 탄소배출저감이 국가적 과제로 대두되었다. 2050년 국가 탄소제로배출을 달성하기 위하여 재난관리 분야에서의 탄소배출량 평가 및 저감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재난관리 분야 사업에서 탄소배출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재난관리분야 사업을 세부 공정별로 구분하였으며, 각 세부공정에서 단위 공사량 수행을 위한 장비운영량과 재료 사용량 원단위를 표준품셈을 사용하여 제시하였다. 장비 운영과 재료 사용에 따른 탄소배출량은 국토해양부의 표준을 따랐다. 최종적으로 세부공정별 단위 공사량 수행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급경사지정비사업에 적용하여 탄소배출량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총 탄소 배출량의 89.4%가 시멘트 및 레미콘 등 콘크리트 타설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재난관리사업에서 재료 사용시 시멘트 및 콘크리트 사용량의 절감이 탄소배출량 감소에 필수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Reducing carbon emissions due to climate change has emerged as a national objective. To achieve carbon-free emissions nationally by 2050, evaluating and reducing carbon emissions is essential for efficient disaster management. In this study, a method for quantitatively evaluating carbon emissions in disaster management projects was proposed. Disaster management projects were divided into detailed processes, and in each process, the extent of equipment operation and amount of raw material used for unit construction work were presented using standard production of construction work. The carbon emissions resulting from equipment operation and material usage were based on the standards given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Finnally, amount of carbon emissions for unit construction volume during each detailed process were estimated. Using developed methods, carbon emissions were calculated at the steep slope maintenance project. The results indicated that 89.4% of the total carbon emissions were generated from pouring concrete, such as cement and ready-mixed concrete. Thus, reduction of cement and concrete usage is essential for reducing carbon emissions in disaster management projects.

      • KCI등재

        도로유출수로 인한 하천변 토양오염 연구

        주진걸(Joo,Jingul),김하룡(Kim,Hayong) 한국방재학회 202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1 No.6

        대표적인 비점오염원인 도로유출수는 하천 수질을 심각하게 악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수질오염을 저감하기 위하여 도로유출수를 토양에 침투시키는 방안이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고농도의 중금속과 석유계총탄화수소를 포함하고 있는 도로유출수는 토양오염을 야기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유출수가 유입되는 지점의 토양시료를 채취하여;인근의 오염되지 않은 토양과 카드뮴;납;아연 등 중금속과 석유계총탄화수소 농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로유출수가 유입되는 토양의 중금속 농도가 인근의 오염되지 않은 토양에 비해 최대 21배 높게 나타났으며;토양오염우려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도로유출수의 토양방류가 토양을 심각하게 오염시키고 있으며;이를 막기 위해서는 도로유출수의 직접적인 토양방류를 막아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Road runoff;a representative non-point source pollution;is known to seriously deteriorate the river water quality. In order to prevent river contamination due to road runoff;road runoff is infiltrated into the soil along the river. However;road runoff containing high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and total petroleum hydrocarbons (TPH) can cause soil pollution. In this study;soil samples were collected at the point where road runoff flows;and th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such as cadmium;lead;and zinc;and TPH in them were compared with that in uncontaminated soil. Consequently;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in the soil into which the road runoff flows was up to 21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nearby uncontaminated soil. In conclusion;the discharge of road runoff into the soil seriously pollutes the soil. Therefore;direct discharge of road runoff to soil should be prevented to prevent soil pollution.

      • KCI등재

        도시홍수 취약성 평가에 대한 연구

        박무종,송영석,주진걸,박민규,Park,Moojong,Song,Youngseok,Joo,Jingul,Park,Minkyu 한국방재학회 201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3 No.5

        내수배제 불량으로 인한 도시침수는 매년 심각한 인적, 물적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내수침수 피해 저감을 위한 방재정책을 수립하고, 방재대책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대상지역의 취약성을 적절하게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의 침수피해 취약지역을 평가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평가 모형은 산술적인 도시홍수 취약성 평가 방법과 Promethee를 이용한 도시홍수 취약성 평가 방법을 적용하였다. 평가인자로는 도시홍수에 직적접인 영향을 미치는 저지대 지역, 통수능력 부족관거 그리고 유출곡선 지수를 선정하였다. 평가 결과 과거 침수기록과 비교하였을 때 산술적인 도시홍수 취약성 평가 방법은 약 75%의 일치율을 Promethee를 이용한 도시홍수 취약성 평가방법은 58.3%의 일치율이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홍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활용한 산술적인 도시홍수 취약성 평가방법의 적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Urban flood inundation by poor interior drainage systems causes annually the significant loss of life and properties in Korea. The inundation vulnerability assessment is important for policy establishment and priority decision of disaster management policy. In this study, an assessment model was developed for urban vulnerable areas. An assessment model was applied to arithmetic Urban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Urban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using Promehtee(Preference Ranking Organization Method for Enrichment Evaluation). Assessment factors that directly affect urban flood were selected to lowland area, length of poor drainage sewer, and curve number. The results of assessment, inundation records are in concordance with arithmetic urban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method about 75% and urban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using Promehtee about 58.3%. In this study, arithmetic urban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method using assessment factors that directly affect urban flood was confirmed by accuracy.

      • KCI등재

        RCP 시나리오별 한반도 가뭄특성 분석

        김정호,김상단,주진걸,Kim, Jungho,Kim, Sangdan,Joo, Jingul 한국수자원학회 2016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9 No.4

        본 연구에서는 RCP 시나리오별 표준가뭄지수의 특성을 정량적인 측면과 공간적인 측면에서 상호비교 하였다. 이를 위해, 4개의 RCP 시나리오로부터 산정된 SPI를 기반으로 가뭄 특성을 정량적으로 비교하였고, 가뭄발생 횟수와 지속기간을 공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RCP 시나리오별 SPI의 거동 특성은 매우 상이하고, 모든 상관계수가 0.08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뭄의 정도, 발생횟수, 그리고 지속기간에 대한 상이한 공간분포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RCP 시나리오별 상이한 가뭄발생전망 특성의 가장 큰 배경은 다른 온실가스 배출농도 시나리오 기반의 일 강수량을 들 수 있으나, 온실가스 배출농도 규모에 따른 영향은 명확하지 않았다. 아울러,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단일 RCP 시나리오 자료만 이용한 가뭄발생 전망에는 상당한 불확실성이 따를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mplemented a comparison of SPI characteristics in terms of quantitative and spatial analysis depending on four RCP scenarios. For this purpose, we compared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of drought using standard precipitation index resulted from daily precipitation data reflecting future green gas concentration scenarios, and spatial distribution field of seasonal drought occurrence frequency and its duration, was analyzed to compare drought trends depending on the RCP scenarios. As a result, we found that SPI time series was quit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lower than 0.08. Depending on the RCP scenarios, spatial distribution results showed different trends in drought severity, frequency, and duration. The biggest reason of the difference is daily precipitation data based on the different greenhouse gas concentrations, but we could not find the effect of the concentration extent on drought occurrence projection.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is study, drought analysis results using single RCP scenario may have considerable uncertainty.

      • KCI등재

        Flow-3D 모형을 이용한 충주댐 보조여수로 계획 평가

        조문수(Moonsu Jo),주진걸(Jingul Joo),김하룡(Hayong Kim) 한국방재학회 202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3 No.5

        기후변화로 인하여 극한 강우사상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기존의 수리구조물들의 치수능력 증대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충주댐의 경우 증가된 확률가능최대홍수량에 대응하기 위하여 보조여수로의 설치가 계획되었다. 대형 수리구조물의 설계를 위하여 실제 모형을 사용한 수리실험이 다수 수행된 바 있다. 그러나 수리모형실험은 많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하고, 다양한 대안에 대한 검토가 힘든 단점이 있다. 최근 컴퓨터의 발달로 인하여 3차원 수치모형이 수리실험을 대체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Flow-3D 모형을 이용하여 충주댐 보조여수로 설치계획의 적절성을 검토하였고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개선안에서는 월류웨어의 폭이 확대되고 위치가 하류로 이동하였으며, 도류부 터널의 직경이 확대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충주댐계획에 활용되고, 다양한 3차원 수치모형의 적용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occurrence of extreme rainfall events is increasing owing to climate change. Therefore, projects to enhance the capacity of existing hydraulic structures are underway to address this challenge. In the case of the Chungju Dam, the installation of a supplementary spillway has been planned to accommodate the increased probability maximum flood. Hydraulic model experiments have been conducted for the design of large hydraulic structures. However, hydraulic model experiments have drawbacks, such as being time-consuming and costly, which make it challenging to consider various alternatives. Recently, with the advancement of computer technology, three-dimensional (3D) numerical models are replacing hydraulic model experiments. In this study, the suitability of the supplementary spillway installation plan for the Chungju Dam was evaluated using the Flow-3D model, and improvements were proposed. The proposed improvements include increasing the width of the spillway, shifting the location of the spillway downstream, and increasing the diameter of the tunnel.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valuable reference for planning the Chungju Dam and applying various 3D numerical models.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의 CBS 긴급재난문자 이해도 분석연구

        김성수(Kim Sungsoo),주진걸(Joo Jingul)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2

        긴급재난상황시 다수의 주민들에게 신속하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CBS 재난문자방송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CBS 재난문자방송은 간략하고 쉬운 문장으로 구성되어있으나, 외국인 및 북한이탈주민은 적절하게 이해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에게 28개의 CBS 표준문안을 보여주고, 이해도를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남한에 10년 이상 거주한 북한이탈주민은 대부분의 문안을 정확하게 이해하였으나, 5년 미만 거주한 북한이탈주민은 한자어와 외래어가 포함된 어휘의 이해를 곤란해 하였다. 또한, 남한 거주 기간이 긴 북한이탈주민일수록 잠재적인 미래의 북한이탈주민이 표준문안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는 실제 북한이탈주민의 경우 표준문안 이해정도가 CBS 담당자의 기대치보다 낮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결과는 긴급 재난상황의 전파체계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BS are widely used to provide information to a large number of residents in emergency situations. Although texts of CBS consists of simple and easy sentences, foreigners and North Korean defectors may not understand properly. In this study, 28 CBS standardized alerting texts were shown to North Korean defectors and the degree of understanding was measured on 5-Likert Scale. Although North Korean defectors who lived in South Korea for more than 10 years correctly understood most of the texts, defectors who lived for less than five years had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vocabulary including Chinese and other foreign words. In addition, the North Korean defectors with a longer residence period in South Korea believed that potential future North Korean defectors would be able to understand the standard text better. This shows that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standard text can be lower than the expectations of the CBS staff in case of North Korean defe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applied to the propagation system of emergency disaster situations.

      • KCI등재

        물사용 실태 및 물 절약 인식조사

        송영석(Song, Youngseok),주진걸(Joo, Jingul) 한국방재학회 202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1 No.6

        본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에서 설문조사를 통해 물 사용실태 및 절수인식을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샤워 및 빨래를 할 때, 가장 많은 물 낭비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절수설비와 더불어 절수형 세탁기 및 식기세척기의 보급이 필요하다. 물 절약은 68.4%가 실천하고 있으며, 이유는 국가의 미래에 대한 걱정과 경제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물 절약을 실천하지 않는 이유는 익숙하지 않거나 불편하기 때문으로 나타났는데, 절수설비 보급 등 생활속에서 불편없이 물 절약을 실천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물 수요관리를 위한 전략 수립에 활용 될 수 있을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water utilization status and water saving awareness investigation were analyzed through a survey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Consequently, it was observed that most water is wasted when showering and doing laundr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ly water-saving washing machines and dishwashers along with water-saving devices. A total of 64% of the respondents conserve water in their daily lives, and the reasons are worries about the future and economic reasons. Water saving is not practiced because it is unfamiliar or uncomfortable. Therefore, methods are necessary to save water without inconvenience in daily lives. It is judg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establish strategies for water demand management.

      • KCI등재

        소규모배수로의 흐름상태를 고려한 저감시설의 설치기준 연구

        송영석(Song, Youngseok),주진걸(Joo, Jingul),김하룡(Kim, Hayong),정상만(Jeong, Sangman),박무종(Park, Moojong) 한국방재학회 2020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0 No.6

        산지지역, 도시지역 등에 설치된 배수로는 물의 공급 및 배수를 위한 다양한 역할을 하지만 저감시설이나 유지관리에 대한기준은 미흡한 실정이다. 소규모배수로의 경우 유입되는 유송잡물이 퇴적되면 통수능력부족에 따라 월류피해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배수로의 유송잡물 차단을 위한 저감시설을 개발하고 수리실험을 통해 포착효율을 분석하여 설치기준을고려한 산정식을 제안하였다. 다양한 실험조건을 수립하여 총 90조건, 900회의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유량, Froude Number 등의 흐름상태를 고려한 저감시설의 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소규모배수로의 설치기준을 고려한 산정식을 개발하기 위해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종속변수는 포착효율이며 독립변수는 유량, Froude Number, 저감시설의 한 칸의 유효단면적을적용하였다. 소규모배수로의 설치기준을 고려한 산정식은 E=1.337-5.074×Q-0.156Fᵣ-132.710A이며 유의성은 높은 것으로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규모배수로를 대상으로 목표 포착효율에 적합한 저감시설의 적용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While drainage installed in mountainous and urban areas play various roles for supplying and draining water, the standards for reduction facilities and maintenance are insufficient. In the case of small drainage, if there is an inflow of deposited debris, overflow damage occurs due to lack of water supply capacity. In this study, a reduction facility was developed to block the transport of debris in a small drainage. The equation considering installation standards was proposed by analyzing capture efficiency through hydraulic experiment. By establishing various experimental conditions, a total of 900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90 different conditions. The reduction effect of reduction facilities was analyzed by consideration of flow conditions such as discharge and Froude Numbe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velop an equation that considers the installation standard of a small drainage. The dependent variable was capture efficiency,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discharge, Froude Number, and an effective cross sectional area of reduction facilities. The equation considering installation standard of small drainage is E=1.337-5.074×Q-0.156Fᵣ-132.710A and the significance is hi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applied to reduction facilities suitable for target capture efficiency targeting small drainage.

      • KCI등재

        농업가뭄의 재해예측을 위한 가뭄지수 설정 연구

        송영석(Song, Youngseok),주진걸(Joo, Jingul),김하룡(Kim, Hayong),정상만(Jeong, Sangman),박무종(Park, Moojong) 한국방재학회 2020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0 No.6

        본 연구에서는 1965년부터 2018년까지 농업가뭄피해가 가장 많이 발생한 경상남도를 대상으로 재해예측을 위한 가뭄지수를설정하고자 한다. 가뭄지수는 SPI를 대상으로 지속기간(3, 6, 9, 12개월)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농업가뭄이 발생한 지속기간의피해특성을 산정하였다. 경상남도의 농업가뭄 피해기간에 대한 지속시간별 SPI는 최소 -2.0 이하, 최대 -1.0 이상으로 약한가뭄과보통가뭄이 분석되었다. 그러나 장마기간의 호우영향으로 SPI12는 평균 -1.06이며 농업가뭄의 피해영향은 미미하였다. 농업가뭄의 피해기간과 지속기간별 SPI의 상관관계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피해발생을 판단하기에는 지속기간별 SPI의 차이가크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가뭄의 재해예측을 위한 기준을 과거 농업가뭄의 피해발생기간에 지속기간별 SPI의 최소가뭄지수를 연도별 대표 가뭄지수로 산정하였다. 재해예측을 위한 가뭄지수의 기준은 과거 피해가 발생한 연도의 지속기간별SPI의 평균인 -1.64로 설정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drought index for disaster prediction in Gyeongsangnam-do, where the most agricultural drought damage occurred from 1965 to 2018. The drought index was analyzed for each duration (3, 6, 9, 12 months) targeting the SPI. Damage characteristics of the duration of agricultural drought were calculated. SPI for each duration of agricultural drought damage period in Gyeongsangnam-do was at least -2.0 or less, and the maximum was -1.0 or more, and weak and moderate drought were analyzed. However, due to the heavy rain effect during the rainy season, the average SPI12 was -1.06, and the impact of agricultural drought was negligible. It was analyz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amage period of agricultural drought and the SPI by duration was high. However, there is not much difference in SPI for each duration to determine the occurrence of damage. In this study, the criterion for disaster prediction of agricultural drought was calculated as representative drought index by year as the minimum drought index of SPI for each duration of damage occurrence period of past agricultural drought. The Standard of drought index for disaster prediction was set to -1.64, the average of the SPI for each duration of year in which damage occurred in the pa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