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다중분산기법을 이용한 컨테이너터미널 본선작업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최형림(Hyung-rim. Choi),신계현(Gae-Hyun. Shin),권해경(Hae-Kyoung. Kwon),손정락(Jung-Rock. Shon),박상훈(Sang-Hun. Park),주이돈(Yi-Don, Joo) 한국항해항만학회 2009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3 No.10

        최근 컨테이너 선박은 조선 기술의 발달과 세계 경제교역 규모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대형화, 고속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머지않아 15,000TEU급 컨테이너 선박의 등장이 예상되고 있다. 동북아시아에서는 경제의 글로벌화에 따른 급격한 물류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물류 주도권 확보를 위한 물류거점화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주요항만에서는 대형 선사를 유치하기 위한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선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하기 위한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며 지금까지의 본선계획 시스템은 획기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기존 본선작업의 개선을 위하여 다수의 플래너를 이용한 양·적하 작업계획을 수행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하며, 플래너(Planner)간의 정보공유로 작업계획의 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다중분산 본선작업 계획 시스템을 제안한다. 그리고 이의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해 아레나(ARENA)를 통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자 한다. Container Vessel is becoming larger and faster thanks to the rapid growth of global trade and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refore, 15,000TEU vessel is expected to be ordered in near future. Every nations in north-east Asia are facing strong competition to be logistics hub to get the initiatives of logistics in response to the rapid change of logistics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globalization of economy and major ports in this region also are trying to catch big shipping line for their survival. Considering above circumstances of the advent of ultra-large container vessel and spoke-and-hub strategy, it is inevitably necessary to make a fast and accurate vessel job in the terminal in order to be a leading port To meet this objective, current vessel planning system has to be improved innovatively. Therefore, this thesis propose multi distributed vessel planning system which enables multi loading/discharging planning with several planner simultaneously for faster and more accurate than existing planning and enhances quality of planning through information sharing among planners. Also this thesis uses simulation through Arena to verify the efficiency of this multi-distributed vessel planning system.

      • KCI등재후보

        컨테이너터미널에서 e-RTGC의 도입효과에 관한 연구

        최형림(Hyung-Rim Choi),이승홍(Seung-Hong Lee),박용성(Yong-Sung Park),강무홍(Moo-Hong Kang),김희윤(Hee-Yoon Kim),최기남(Ki-Nam Choi),주이돈(Yi-Don Joo),하정수(Jeong-Su Ha) 한국산업정보학회 2009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4 No.5

        전 세계적으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그린 경영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의 지원에 따라 항만분야에서도 탄소배출량의 감소와 운영비용의 절감을 목적으로 운영을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Crane의 주 동력원을 화석연료에서 전기로 전환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 중에서도 e-RTGC는 이미 연구를 통해 그 우수성이 검증되고 필요성 또한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실제 터미널에 도입하였을 때 e-RTGC의 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연구는 전무하여 그 효과가 입증되지 못한 실정이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국내 여러 터미널에 e-RTGC가 실제로 도입되고 운영을 하게 됨으로써, 그 동안 부족했던 자료의 충족과 새로운 연구를 위한 활로의 개척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e-RTGC를 도입한 D터미널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연구를 진행하여, 컨테이너터미널의 e-RTGC 도입 시 고려되어야 하는 제약 요인과 실제 운영을 통해 얻은 효과와 문제점을 조사 및 분석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기대효과로는 e-RTGC로 전환하고자 하는 터미널에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요인과 실증분석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것과, 향후 e-RTGC의 발전 방향에 대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All over the world more and more attention is being paid to green management which enables environment-friendly sustainable development. To keep up with these global trends and in response to the government’s “low carbon green growth” policy, many efforts are being made in the port and logistics in order to drastically reduce carbon emissions and save operating expenses. To this end, the engine power source of the cranes in the container terminal is being replaced with electricity from fossil fuel. Among those cranes, especially e-RTGC has been proved to be practical and excellent in its performance through many previous studies. However, no empirical study has yet been made on its introduction effects when e-RTGC has been introduced to the container terminal. In the meantime, however, many domestic container terminals have introduced e-RTGC, and so some data have been accumulated for further research.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has tried to make an empirical study through the case study of D container terminal, checking the restriction factors to be considered at the time of e-RTGC introduction, and analyzing its introduction effects and problems. We have high expectations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key consideration factors and empirical analysis data to the decision makers who plan to introduce an e-RTGC system, and also will be used as a reference to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e-RTG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