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청소년 후기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코로나19 전, 후인 2019년도와 2021년도 비교를 중심으로

        주은선 ( Joo Eun-sun ),이주은 ( Lee Joo-eun ),박선우 ( Park Seon-woo ),조민서 ( Cho Min-seo ),안호원 ( Ahn Ho-won ) 한국청소년학회 2023 청소년학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청소년 후기 삶의 만족도가 코로나19 전후로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통계청에서 실시한 2019년 사회조사와 2021년 사회조사를 사용하여, 2019년 2,242명(남자 1,083명, 여자 1,159명), 2021년 2,262명(남자 1,089명, 여자 1,173명)의 자료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여성은 가정 우선시 집단의 개인적 인간관계 만족도가 낮아졌고, 남성은 가정 우선시 집단의 개인적 인간관계 만족도가 상승했다. 청소년 후기 삶의 만족도와 성취 만족도는 2019년에 비해 2021년에 낮아지고 개인적 인간관계 만족도는 높아졌다. 다중 회귀분석 결과 청소년 후기의 삶의 만족도에 조사 연도(2021년)와 1인 가구, 대학 진학 이상, 전반적 생활 여건 변화, 개인적 인간관계 만족도, 성취 만족도가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코로나19 전후를 비교한 종단연구이며, 통계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통계청 사회조사 자료를 이용했다는데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각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what changes in life satisfaction in the late adolescents before and after COVID-19 and the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To this end, data from 2,242 (1,083 men and 1,159 women) in 2019 and 2,262 (1,089 men and 1,173 women) in 2021 were analyzed using the 2019 social survey conduct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ccording to the analysis, women's satisfaction with personal relationships in the family-first group decreased, and men's satisfaction with personal relationships in the family-first group increased. Life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satisfaction in the late adolescents decreased in 2021 compared to 2019, and 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increased.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survey year (2021), single-person households, college entrance, changes in overall living conditions, 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satisfaction affect life satisfaction in the late adolescen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is a longitudinal study comparing before and after COVID-19, and statistically reliable social survey data from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were used. Future research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 KCI등재

        결혼불만족이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

        서현자(Hyun Ja Seo),주은선(Eun seon Joo)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5 인간연구 Vol.0 No.28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 지역의 주부 396명을 대상으로 결혼불만족이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포커싱적 태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또한 주부의 결혼불만족과 스트레스 반응 관계에서 포커싱적 태도의 하위요인별 매개효과를 밝혀 주부의 효과적인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보다 구체적인 포커싱적 태도의 활용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불만족과 행동적 스트레스, 신체적 스트레스 및 정서적 스트레스 반응과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결혼불만족과 포커싱적 태도의 하위 요인 간의 상관에서는 체험과정 주의와 음미하기와 체험 지각하기에서만 유의한 상관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결혼불만족이 스트레스 반응(행동, 신체,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포커싱적 태도 중 체험과정 주의와 음미하기, 체험과정 수용과 행동하기, 적절한 거리두기는 매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체험 지각하기는 결혼불만족과 행동적, 신체적 그리고 정서적 스트레스 반응과의 관계에서 유의하게 부분매개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주부의 결혼불만족이 스트레스 반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그 과정에 체험 지각하기가 매개하고 있음을 밝혀냈다. 이 연구는 향후 주부의 결혼불만족이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포커싱적 태도의 교육 및 다양한 활용에 관한 후속 연구를 촉진시킬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housewives’ focusing manners on the effects of marriage dissatisfaction on stress reaction. In addition, the study sought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focusing manner by sub-factor in the marriage dissatisfaction and stress reaction relationship in housewives to explore the method of using a more specific focusing manner with the aim of effectively reducing such stress.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housewives’ marriage dissatisfaction will have a relationship with stress reaction(behavioral, physical, emotional) and the sub-factors of focusing manners. Second, the focusing manner will mediate the effects of housewives’ marriage dissatisfaction on stress reaction. To verify the above hypotheses, 396 mothers in the Seoul and Gyeonggi regions were surveyed using the Korean Marital Satisfaction Inventory(K-MSI), the Stress Reaction Scale, and the Korean Focusing Manner Scale(KFMS). Data were analyzed using a frequency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a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outlin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arriage dissatisfaction and behavioral stress, as well as between physical stress and emotional stress reaction. Howev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riage dissatisfaction and the focusing manner`s sub-contractors,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only among attention to the experience process, appreciation, and perceptions of experience. Second, the effects of marriage dissatisfaction on stress reaction(behavioral, physical, emotional), focusing manner, attention to the experience process and appreciation, acceptance of the experience process and behaving, and an appropriate distancing did not mediate. However, perceptions of experience significantl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rriage dissatisfaction and behavioral, physical, and emotional stress reactions. Thus, it was found that housewives’ marriage dissatisfaction influenced stress reactions, as well as that perceptions of experience mediated that process. This study will include further follow-up studies on the education about and diverse uses of focusing manners in the effects of housewives’ marriage dissatisfaction on stress reaction.

      • KCI등재

        디지털 조력이 기술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장애노인의 디지털 정보 활용에 미치는 영향: 2022년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임정미(Jung-Mi Lim),서현빈(Hyun-Bin Seo),주은선(Eun-Seon Joo)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12

        This study sought to empirically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echnological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assistance and digital information utilization by disabled elderly. The analysis data for this is the 2022 Digital Information Gap Survey by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NIA) and the analysis target is disabled elderly between 65 and 69 years of age. In this study, Process macro model 4 was us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assistance, technological self-efficacy, and digital information utiliz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higher the digital assistance of the disabled elderly, the higher the utilization of digital inform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more digital assistance disabled elderly receive, the higher their technological self-efficacy. Third, as a result of bootstrapping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 technological self-efficacy was found to have a full mediating effect in the impact of digital assistance on the utilization of digital information by disabled elder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technological self-efficacy and digital information utilization capabilities of disabled elderly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