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조직에서 조직문화가 조직발전에 미치는 영향: OCB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주영종 ( Young Jong Joo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11 국가정책연구 Vol.25 No.2

        조직이론에서 조직발전은 조직구성원의 개인 행태 변화뿐만 아니라, 집단 행태와 조직체 행태 및 조직구조 등 여러 수준에서 변화를 촉진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파악이 되고 있다. 그러나 조직발전을 논의하기 위해서는 조직발전에서 논의되는 역할행동 외에도 역할 외 행동도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역할외 행동은 조직문화에 공식적이라고까지 논의하기 어렵더라도, 비공식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점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역할 외 행동을 일컫는 조직시민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조직시민행동은 조직문화와 조직발전의 관계에서 간접적이고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좋은 조직을 만들고자 하는 것을 조직발전이라고 할 때, 비록 조직시민행동이 직접적인 역할은 하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조직변화에 필요한 기여를 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Organization theory, organization development from the civil servant, as well as changes in personal behavior, group behavior and organizations at different levels, including behavioral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that will facilitate changes that are being identified. However, in order to discuss the development of the organization in the development of organizational behavior is discussed in addition to the in-role should include extra-role behavior. Organizational culture and behavior of these extra-role behavior not even officially. Although it is difficult to discuss, informally, is bound to be affected. Such a distinct behavior in this study referring to mediated effect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findings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in relation to the development of an organization partially mediated indirect effects showed that with. That is a good organization that wants to be known as organizational development, organizational behavior, though failing to direct the role, although the organization is required to contribute to change, suggesting that it ca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조직문화가 규제 행태에 미치는 영향

        조성한(Cho Sung-han),주영종(Joo Young-jong) 한국경제연구원 2008 규제연구 Vol.17 No.1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whether the organizational culture has an influence on regulatory behavior. Individualism/collectivism (private inclination) and authoritarianism/ democratism (structural inclination) are defined based on Triandis & Gelfand"s views. They are measured by the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Triandis et al. Psychological restriction is measured with Cable & Judge"s measurement tool as well as Alexandris & Tsorbatzoudis and Lousier"s measurement tools. Regulatory officers were surveyed using the questionnaire. The result has found that the regulatory behavior is influenced by the organizational culture. Structural cultural restriction and private cultural restriction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regulatory behavior with the intermediation of psychological factors.   본 연구는 조직문화가 공무원의 규제 행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권위/민주주의, 개인/집단주의 성향은 Triandis & Gelfand의 견해에 따라 정의하였으며, Triandis 등이 개발한 측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심리적 제약은 Cable & Judge 의 측도를 이용하였고, Alexandris & Tsorbatzoudis와 Losier 등의 측도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우리나라 중앙정부에서 규제관련 업무에 종사하는 직원 343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는 규제 행태가 문화의 영향을 받는다는 규제연구의 이론을 뒷받침하였다. 분석결과는 조직의 구조적?개인적 문화제약이 규제 행태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심리적 요인을 매개로 하여 조직구성원의 규제 행태에 미치는 영향이 높았다는 것을 밝혔다.

      • KCI등재

        공무원의 역량, 동기, 기회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공공봉사동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왕태규 ( Wang Tae Kyu ),조성한 ( Cho Sung Han ),주영종 ( Joo Young Jong ) 한국행정연구원 2018 韓國行政硏究 Vol.27 No.2

        본 연구는 공무원의 역량·동기·기회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함과 동시에 공공봉사동기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인적자본의 질적 수준이 조직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론적 가정 하에 조합모델로서의 AMO 이론을 적용해 조직성과에 공공봉사동기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의 공공조직에서도 공무원의 역량, 동기, 기회의 변수들은 조직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AMO 이론을 공공부문에 적용시키는데 있어서 공공봉사동기가 조절변수로서 어떻게 작용하는가에 대한 검증에 있어서는 ‘기회’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냈다. 이를 통해서 본 연구는 정책적 함의와 향후 연구방향 등을 제시하였다. The pressure to public organizations on performance has been increasing continuously. To improve performance, public organizations have applied a variety of performance management practices. Recently, AMO theory focusing on ability, motivation, and opportunity of organization members has received intensive attention from business administration literature. Along with AMO theory,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anagement practices to improve ability, motivation, and opportunity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MO variable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were tested. With 2016 Public Employee Perception Survey data, this study found that AMO management practices such as training, fair compensation, and job flexibility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organizational performance. Also, the analytical result showed that public service motiva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flexibil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s a result, this study recommends that enhancing training program, fair compensation, and job flexibility is necessary for public organizations to improve their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