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가정과교육의 핵심 개념과 세 행동체계를 통합한 교육과정 설계

        주수언,유태명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6 實科敎育硏究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학의 역사적 맥락에서 중요시 여겨지던 핵심 개념을 도출하여 가정교과에서 추구하는 가치를 높이고 가정학에서 다루어졌던 핵심 개념을 세 행동체계와 통합하여 가정교과의 내용 요소들의 분절성을 개선한 가정과 교육과정 설계안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과거와 현재에 이루어진 미국과 우리나라에서의 가정교과 교육과정 논의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현행 교과서와 전공서적을 통하여 가정교과의 내용체계를 살펴보고, 통합 지향적 국내⋅외 교육과정 선례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하여 가정학의 하위 영역에서 공통적으로 중요하게 다뤄지는 핵심개념을 파악하였다. 핵심개념은 7개의 핵심개념(인간발달/생애주기/복지, 대인관계, 관리, 의사결정, 가치, 문화적 관심사, 사회적관심사/지속가능/정책/안전)으로 범주화하였다. 초안은 가정학의 식, 의, 주, 가족, 소비 영역과 가정학의 핵심 개념이 스트랜드되는 2차원적인 형태로 제안되었다. 이 초안은 도출된 핵심개념들이 가정과교육에 타당한가와 핵심개념들이 현재와 미래의 가정과교육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에 대하여 전문가 집단으로부터 그 타당성을 검토 받아 수정·보완되었다. 그 결과 통합 지향적 교육과정의 특색을 더 강조하고, 기존의 가정교과에서 다루어졌던 식, 의, 주, 가족, 소비 영역에서의 분절된 주제중심 교육과정의 틀과 차별성을 두기 위하여 핵심개념과 세 행동체계(기술적 행동체계, 의사소통적 행동체계, 해방적 행동체계)가 스트랜드되는 설계안이 제안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llustrate home economics curriculum design plan, which improves the fragmentation of content structure through integration of core concepts that has been considered important in historical context of home economics and three systems of action. Initial examination on the previous and current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content structure of home economics from the current textbooks and academic books and literature, and successive case of precedents of integration-oriented domestic and overseas curricula was carried. From the initial examination, seven core concepts which have commonly dealt with importance in sub-areas of home economics were derived. The phase 1 curriculum design was developed in a two-dimensional matrix intersecting five areas of home economics (food, clothing, housing, family, and consumption) and seven core concepts of home economics. This design plan was revised and refined based on the deliberation with expert groups as to whether the derived core concepts were valid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how the core concepts could contribute to current and future advance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Based on the deliberation on phase 1, the phase 2 curriculum design was finally developed intersecting core concepts (human developm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 management, decision making, value, cultural concern, and social concern) and three systems of action (technical action, communicative action, critical action) to assign more importance to characteristics of integrated curriculum and ensure differentiation from the subject-oriented conventional home economics curriculum.

      • KCI등재

        중학교 가정과 소비생활 영역의 핵심 교육내용 분석 - 1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 내용을 중심으로 -

        주수언,박명숙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5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re content of consumer area from 1st to 2009 revised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with the aim of proposing guidelines. An in-depth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twenty two Home Economics textbooks that have been used in middle schools, beginning with the first curriculum until the revised 2009 curriculum with word clou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irst period of the textbooks emphasized thrift-related concepts such as budgeting and saving money. The second and third period in Home Economics textbooks focused on household work and resource management. From fifth period, the content of textbooks were emphasized learning how to find relevant information and making rational decisions as a consumer. The 2007 revised and 2009 revised period in Home Economics have focused on rational decision-making by adolescents, while taking into account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The content of textbooks now introduces students to the notions of ethical consumerism and eco-friendly consumption across domains such as clothing, food, and housing. The curriculum and content of textbooks in Home Economics should emphasize the concepts related to ethical consumption. 본 연구는 중학교 가정과 교과서 중 소비생활 영역의 교육내용 변천 및 내용특성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소비생활 영역의 교육과정 편성 및 교육내용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1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가정과 교과서 중 소비생활 영역이며, 분석 방법은 내용분석법과 워드 클라우드 기법을 사용하여 각 시기별 소비생활 영역의 교육내용 변천 및 특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교육과정 시기에 따른 가정과 교과서 소비생활 영역의 핵심 교육내용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2: 교육과정 시기에 따른 가정과 교과서 소비생활 영역의 내용특성은 어떻게 변천하였는가? 분석결과 시기별 소비생활 영역의 교육내용 변천과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차시기는 경제생활 중심의 절약과, 2-4차시기는 가사노동 및 자원관리를 교육내용으로 강조하고 있다. 이는 시기적으로 볼 때 우리나라가 1962년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시작으로 자원관리를 통한 근검절약을 강조하는 시기와 교육내용을 함께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4차시기 교과서에 소비생활 단원이 중단원으로 도입되고 5차시기에 소비생활 영역이 독립단원으로 분리되어 강조되었다. 이는 1987년 소비자보호법이 개정되고, 한국소비자보원이 설립되는 등 정부차원에서 소비자보호에 대한 관심이 성숙단계에 이른 시기이다. 이를 바탕으로 6-7차 시기에는 청소년의 소비생활이 강조되었다. 셋째, 2007개정 교육과정 시기는 2007년 소비자보호법이 소비자기본법으로 전환되고, 소비자 주권을 강조하는 등 소비자교육 패러다임이 전환된 시기로 소비자권리와 함께 책무가 강조되고 있다.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위한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가정생활 영역 분석 연구 - 청소년의 소비 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

        주수언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6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8 No.2

        This study analyzes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Adolescence consumption life’ unit using framework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to examine correlation with the current Home Economics ESD, and aims to provide the base data for the composition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that can help the students cultivate the capability for leading sustainable life from the future oriented perspective and for the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This study analyzes the ‘Adolescence consumption life’ unit in the Home Economics textbook of the 12 type revised curriculum of 2009. As for the analysis method, Romey’s content analysis method is used to carry out in-depth analysis of the ESD content elements. The analysis demonstrates the following. First, content elements extracted commonly from the ‘Adolescence consumption life’ unit are analyzed with the ESD’s criteria of analysis (environment, economic and social domain), which led to the composition with the sub content elements following 23 related topics. Secondly, content elements of 12 types of Home Economics textbook’s ‘Adolescence consumption life’ unit used in middle school are analyzed in three domains, which led to social domain (68%), economic domain (58%) and environmental domain (40%) in the order mentioned. This focused on the role of the Adolescent-consumer on the active consumer that is presented in the 2009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and it is possible to see that this is very closely related to the right to organize and to be active in terms of the human safety, consumption culture, social interest and group. 본 연구는 중학교 가정과 교과서의 ‘청소년의 소비 생활’ 단원을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프레임워크(framework)로 분석하여 현재 가정교과의 지속가능발전교육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향후 미래지향적 관점으로 지속가능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 있는교육과정 구성과 교육내용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12종 2009 개정 교육과정의가정교과서 중 ‘청소년의 소비 생활’ 단원이다. 분석방법은 Romey의 내용분석법을 사용하여 ESD 내용요소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청소년의 소비 생활’ 단원에서 공통으로 추출된 내용요소들을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분석준거(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영역)로 분석한 결과 23개의 관련 주제에 따른 하위 내용요소들로 구성되었다. 둘째, 중학교 12종 가정교과서의 ‘청소년의소비 생활’ 단원 내용요소를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세 영역으로 분석한 결과, 사회적 영역(68%), 경제적 영역(58%), 환경적 영역(40%)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청소년 소비자의 역할이 주체적인 소비자에 중점을 두었고, 이와 관련된 내용들이 인간의 안전, 소비문화, 사회적 관심, 단체를 조직하고 활동할 권리 등과 상당히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