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사회 연계 환경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조혜영(Hyeyoung Jo),한효원(Hyowon H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7

        목적 본 연구는 대안학교 아동의 지역사회 연계 환경 프로그램 효과성을 환경행동, 환경친화적 행동, 환경문제 감수성 및 인식을 중심으로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지 A대안학교에 재학중인 19명이다. SPSS 23.0을 이용하여 연구변인인 환경행동, 환경친화적 행동, 환경문제 감수성 및 인식의 사전⋅사후 평균점수의 경향성(M, SD)과 정규성(Kolmogorov-Smirnova, Shapiro-Wilk)을 검증하였다. 정규성이 만족되지 않아 비모수 통계 방법 중 사전⋅사후 짝지어진 표본 간의 차이를 분석하는 Wilcoxon 검증으로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변인의 경향성은 사전 평균점수(a), 사후 평균점수(b)로 구분하여 차이(b-a)를 분석한 결과, 모든 연구변인들에서 사전 평균점수에 비해 사후 평균점수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변인의 사전⋅사후 평균점수의 정규성이 만족되지 않아 비모수 통계 방법으로 차이를 검증하였다. 셋째, 모든 연구변인에서 사전 평균점수에 비해 사후 평균점수가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대안학교에서 운영하는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을 확대할 것을 시사하는 것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개선점을 파악하고 적용함으로써 최적화된 프로그램을 지원해 주어야 할 것이다. 지역사회 협력 강화를 통한 체험중심의 프로젝트 활동을 위한 방안을 중점으로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community-based environmental programs for alternative school children, focusing on environmental behavior, pro-environmental behavior,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awareness.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19 students from Alternative School A in Seoul. The trends (M, SD) and normality (Kolmogorov-Smirnov, Shapiro-Wilk) of the pre-post mean scores for the research variables, namely environmental behavior, pro-environmental behavior,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awareness, were verified using SPSS 23.0. Since normality was not met, the Wilcoxon test, a non-parametric statistical method that analyzes differences between paired pre- and post-samples, was used to verify effectiveness. Resul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rend of research variables was analyzed by differentiating between pre-mean scores (a) and post-mean scores (b), and examining the difference (b-a). The results showed improvement in post-mean scores compared to pre-mean scores for all research variables. Second, the normality of the pre- and post-test mean scores of the study variables was not satisfied, so nonparametric statistical methods were used to test for differences. Third, all study variables showed higher post-test mean scores than pre-test mean scores, and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mmunity engagement programs operated by alternative schools should be expanded to support optimized programs by identifying and implementing improvements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The proposal focuses on measures for experiential project activities through strengthened collabora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유아과학교육 필요성과 인공지능 지식, 과학교수태도 및 과학교수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조혜영(Hyeyoung Jo)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24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유아과학교육 필요성과 인공지능 지식, 과학교수태도 및 과학교수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도, 충청도, 경상도 지역의 유아교육과에 재학중인 224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SPSS 25.0과 AMOS 23.0을 활용하여 연구변인들간의 관계는 피어슨의 상관분석하였고, 구조방정식으로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았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연구변인의 경향성을 보면 모두 3.0점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고, 정규성은 만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내생변인인 과학교수효능감과 하위요인, 과학교수태도와 하위요인을 중심으로 모든 변인들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측정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모형의 경로계수를 보면, 유아과학교육 필요성은 인공지능 지식과 과학교수태도, 과학교수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지능 지식은 과학교수태도와 과학교수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분석 결과, 유아과학교육 필요성이 과학교수태도와 과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인공지능 지식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과학교육의 내실화 측면에서 인공지능에 대한 교육 적용 방안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need for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and their knowled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ttitudes toward science instruction, and self-efficacy in science teach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4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eoul, Gyeonggi, Chungcheong, and Gyeongsang provinces, and their data were analyzed for the research. The relationships among research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were explor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using SPSS 25.0 and AMOS 23.0. These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when examining the tendencies of research variables, all scored above 3.0 points, indicating a high level, and normality was considered satisfactory in the analysis. Secon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among all variables, with a particular focus on endogenous variables such as science teaching self-efficacy and its sub-factors, as well as attitudes toward science instruction and its sub-factors. Third, the measurement model was found to be appropriate. Examining the path coefficients of the structural model revealed that the perceived need for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artificial intelligence knowledge, attitudes toward science instruction, and science teaching self-efficacy.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knowledge were found on attitudes toward science instruction and science teaching self-efficacy. Mediation analysis revealed that knowled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partially mediated the influence of perceived need for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on attitudes toward science instruction and science teaching self-efficacy. These research findings suggest the need to consider incorporating educational approaches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to enhance the foundation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의 학습역량 및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조혜영(Jo, Hyeyoung),권희경(Kwon, Heek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7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습역량 및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A대학교 491명을 대상으로 SPSS 20.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몰입(인지, 감성, 행동)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학습역량(정보구성 능력, 자원활용 및 자아인식, 자기개선 및 사회성)과 자기효능감(자신감, 자기조절, 과제난이도선호)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학습역량이 학습몰입의 인지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자기효능감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학습역량이 학습몰입의 행동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자기효능감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반면, 학습역량이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의 감성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매개변인인 자기효능감이 학습몰입의 감성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학습역량과 자기효능감은 학습몰입에 중요한 요인임이 밝혀진 것이다. 따라서 대학생의 학습몰입을 높이기 위해 대학생 학습역량 강화와 자기효능감 증진에 대한 방안 모색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competence, self-efficacy and learning flow of university students. Methods 491 students from A University were analyzed with SPSS 20.0 and AMOS 18.0. Resul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cusing on learning flow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i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learning competence (information composition, resource utilization and self-awareness, self-improvement and sociality) and self-efficacy (confidence, self-regulation,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Second, it can be interpreted that self-efficacy is partially mediated in the process of learning competence influencing the perception in learning flow. It can be interpreted that self-efficacy is partially mediated in the process where learning competence affects the behavior of learning flow.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learning competence on the self-efficacy and the emotion of learning flow has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effect of the parameter self-efficacy on the emotion of learning flow has not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These results show that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competency and self-efficacy are important factors in learning flow. Therefore, i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strengthen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capabilities and improve self-efficacy to increase university students flow in learning.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아동복지학 전공자의 코로나19 이후 스트레스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동기, 중도탈락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조혜영(HyeYoung Jo),이희연(HeeYeon Yi)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10

        본 연구는 아동복지학 전공자의 코로나19 이후 스트레스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동기, 중도탈락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 대학교 아동복지학 전공자 13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SPSS 25.0과 AMOS 23.0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95% 신뢰구간 양측검정에서 부트스트랩(bootstrap) 추정방법을 이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주요결과는 첫째, 중도탈락의도를 중심으로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코로나19 이후 스트레스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하위요인인 문제해결, 진로계획, 목표설정, 정보수집, 자기평가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진로동기와 하위요인인 진로정체감, 진로통찰력, 진로탄력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측정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조모형을 확인한 결과, 코로나19 이후 스트레스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난 반면, 진로동기와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동기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난 반면,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진로동기가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코로나19 이후 스트레스가 중도탈락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진 않지만, ‘코로나19 이후 스트레스진로결정 자기효능감진로동기중도탈락의도’의 경로로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동기의 완전 매개효과임이 밝혀진 결과로 중도탈락의도를 상쇄하기 위해 이들 변인이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ost-COVID-19 stres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motivation, and school drop-out intention among child welfare majors. The subjects were selected from 137 child welfare majors at S Universit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were conducted using SPSS 25.0 and AMOS 23.0. The bootstrap estimation method in the 95% confidence interval two-sided test was used to determine significanc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lations between variables centered on school drop-out intention we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post-COVID-19 stress. Also,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ub-factors of problem-solving, career planning, goal setting, information gathering, and self-evaluation, and between career motivation and the sub-factors, career identity, career insight, and career resilience. Second, the measurement model was identified as a suitable model for analysis. According to the structural model, the effect of post-COVID-19 stress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significant, while its effects on career motivation and school drop-out intention were not. In addi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ignificantly affected career motivation but not school drop-out intention and the effect of career motivation on school drop-out intention was significant. Third, although post-COVID-19 stress was not found to affect school drop-out intention directly, it indirectly affected drop-out intention through the path post-COVID-19 stress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career motivationschool drop-out intention. This study describes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otivation and confirms that these variables are important factors of school drop-out inten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성인학습자의 플립러닝 인식과 수준, 협력적 자기효능감 및 융합전공 교육과정 인식 간의 구조적 관계

        조혜영(HyeYoung Jo),오세원(SeWon Oh),박현옥(HyunOk Park)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3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플립러닝 인식과 수준, 협력적 자기효능감 및 융합전공 교육과정 인식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충청권역 LiFE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A대학교에 재학 중인 성인학습자 177명이다. SPSS 23.0과 AMOS 22.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기간은 2022년 8월 부터 11월 까지 이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융합전공 교육과정 인식 요인을 중심으로 보면, 플립러닝 인식의 학습효과성 인식과 흥미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플립러닝 수준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협력적 자기효능감의 리더십 발휘, 의견교환, 의견평가, 의견통합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플립러닝 인식이 융합전공 교육과정 인식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협력적 자기효능감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플립러닝 수준이 융합전공 교육과정 인식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협력적 자기효능감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A대학교의 성인학습자를 위한 융합전공 교육과정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성인친화형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 플립러닝을 통한 혁신교수법을 적용하여 학습자 참여형 역량중심의 교육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flipped learning perception and the level of adult learners, cooperative self-efficacy, and convergence major curriculum perception. As subjects of the study, we enrolled 177 adult students of University A, which runs the LiFE project in Chungcheong Province. The study period was from August to November 2022.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s with SPSS 23.0 and AMOS 22.0. We obtained the following main results. First, focusing on the convergence major curriculum perception factor, the perception of learning effectiveness in flipped learning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level of interest. Leadership of cooperative self-efficacy, opinion exchange, opinion evaluation, and opinion integr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the measurement and the structural models were found to be suitable. We established that cooperative self-efficacy was completely mediated in the process of flipped learning perception, affecting the perception of the convergence major curriculum. Therefore, cooperative self-efficacy was partially mediated in the process where the level of flipped learning affected the perception of the convergence major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as they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convergence major curriculum for adult learners in University A. In addition,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an adult-friendly curriculum, we propose a plan for student-associated competency-based education by applying an innovative teaching method through flipped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