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호문화적 대화의 관점에서 본 플라톤과 나가르주나

        조해정(Jo, Hae-Jeong)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코기토 Vol.- No.84

        이 글은 ‘중도의 존재론’을 매개로 하여 플라톤과 나가르주나 사유에 대한 소통 가능성을 검토한다. 존재론적으로 중도(中道, madhyamā-pratipad)의 의미는 유무중도(有無中道)를 가리키는데, 나가르주나와 플라톤에게 그것은 각각 연기적 존재, 현상적 존재에 해당된다. 중도의 존재론은 생성하고 소멸하는 이 세계의 존재를 대상으로 한다. 이 세계는 인간 삶이 영위되는 장소이기도 하므로 중도의 존재론은 삶의 문제와 분리되지 않는다. 이로부터 나가르주나와 플라톤의 만남은 최소한 두 가지 겹침을 출발점으로 삼을 수 있다. 하나는 이 세계의 존재를 대상으로 하는 중도의 존재론을 중심으로 한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철학의 사유가 인간 삶을 위한 탐구이고, 중도의 존재론이 철학의 사유에 속한다면, 플라톤과 나가르주나의 중도의 존재론에 대한 해석에서 삶의 문제와 분리되지 않는다는 관점이 일관되게 유지된다는 것이다. 출발점으로서의 겹침은 유사성과 차이를 모두 포괄한다. 유사성의 측면은 두 사유 모두 좋은 삶을 위한 진리 인식이라는 동일한 목표를 향해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삶이 영위되는 세계는 존재론적으로 중도라는 점에서 포괄적인 겹침을 말할 수 있다. 중도의 모든 존재는 그 경계가 비고 정성의 가변성으로 존재하고, 여러 인(因)과 연(緣)을 조건으로 생성, 소멸한다는 점에서 유사성의 겹침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플라톤의 진리 인식은 이 세계에서의 삶을 ‘잘’ 살기 위함인 반면, 나가르주나의 그것은 연기생의 조건으로부터 해방/해탈되는 데 있다. 해탈은 절대적인 자유 내지 종교적 구원이라고 할 수 있고, 그런 한에서 윤리적 주체로서의 의무를 일깨우는 플라톤의 사유와 대립하는 것처럼 보인다. This paper examines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ng Plato and Nāgārjuna’s ideas through ‘middle ontology’. The ontological meaning of middle-way (madhyamā-pratipad) refers to being located between existence and non-existence, and according to Nāgārjuna and Plato, it corresponds to a phenomenal existence, an existence of pratītyasamutpāda, respectively. The middle ontology targets the existence of this world that is created and disappears. This world is also the place where human life runs, so the middle ontology is not separated from the question of life. At least two overlaps can be used as a starting point in the encounter between Nāgārjuna and Plato. One is that it focuses on the middle ontology, which is the object of this world, and another is that a philosophical thought is a quest for human life; if the middle ontology belongs to a philosophical thought, it maintains a consistent view that it is not separate from the problems of the life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middle-way ontology of Plato and Nāgārjuna. The overlapping as a starting point encompasses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In terms of similarity, both point to the same goal of recognizing truth for a good life, and that the world in which life runs is ontologically moderate. All beings of middle-way can be said to be overlaps of similarity because their boundaries exist as non-fixed variability and are created and destroyed under various conditions. However Plato’s perception of truth is to live “well” in this world, while Nagarju’s is to be liberated from the condition of existence. The liberation of Nagarjuna can be called absolute freedom or religious salvation, and seems to be opposed to Plato’s idea to awaken his duty as an ethical subject.

      • KCI등재

        내부 센서와 저가형 GPS를 이용한 자율주행차량의 위치 추정

        조해준(Hae Joon Jo),곽성우(Seong Woo Kwak),양정민(Jung-Min Yang)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7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27 No.3

        본 논문에서는 저가형 GPS와 차량 내부 센서를 이용한 자율주행차량의 위치 추정 방법을 제안한다. 자율주행차량의 현재 위치를 추정하여 지역 맵을 구축하면 고가의 정밀 GPS에 의존하지 않아도 자율주행이 가능하다. 차량의 내부 센서에서 제공되는 속도, 조향각, 요우율과 저가형 GPS의 헤딩각으로부터 대략적인 위치를 예측하고 확장 칼만 필터를 이용하여 보다 정밀하게 차량의 현재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을 개발한다. 차량의 동적 특성을 모사하기 위해 두 바퀴 모델을 사용한다. 개발된 방법은 GPS 신호가 일정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여 자율주행의 신뢰성을 높인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estimate the position of a vehicle using low-cost GPS and internal sensors of a vehicle. This method realizes autonomous driving without resorting to high precision GPS. We develop an algorithm to localize a vehicle by fusing the information of velocity, steering angle, yaw rate delivered by internal sensors and the heading angle of GPS in the extended Kalman filter. The bicycle model is used to simulate the vehicle dynamics. The developed method can enable autonomous driving even when GPS signal is lost for some period of time.

      • KCI등재

        소크라테스의 ‘무지의 역설’과 나가르주나의 중관(中觀)

        조해정(Jo, Hae-Jeong) 새한철학회 2013 哲學論叢 Vol.71 No.1

        서양철학에서 ‘소크라테스의 무지’에 대한 해석 경향은 지식 ‘회의론’ 과 ‘실재론’이라는 두 흐름 중 어느 한 쪽으로 편향되는 양상을 보인다. 소크라테스의 무지 표명을 진지하게 받아들인다면 회의론의 입장에, 그렇지 않으면 실재론의 입장에 서게 될 것이다. 이러한 해석 경향은 두 가지 점에서 불충분하거나 한계를 가진다. 하나는 플라톤 철학에서 인간의 지혜란 ‘무지의 자각’이라는 것에 대한 철학적 함의를 제대로 밝히지 못한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이분법적 해석의 틀을 넘어서지 못한다는 것이다. 소크라테스의 무지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위해서 나가르주나와 플라톤에 대한 상호문화철학적 읽기를 시도하고자 한다. 나가르주나의 중관철학은 서양철학의 이분법적 해석 경향을 탈피하고, 소크라테스의 무지가 갖는 철학적 함의를 드러내는 데 유용하기 때문이다. 나가르주나의 ‘열반’의 관점에서 보자면, 소크라테스의 ‘무지의 자각’이라는 역설의 의미는 플라톤 철학에서 인간이 추구하고 도달해야 할 최고의 지식은 무엇인가라는 것이다. 그러나 소크라테스의 무지가 나가르주나의열반과상통할수 있다고해도, 두철학의 전개과정은 확연하게 구별된다. 서양철학에서 신과 인간의 경계는 날카롭게 구별될 뿐만 아니라, 직관적인 통찰을 지식으로 승인할 것인가의 문제는 예민한 사안이다. 하지만 명상수행에 의한 자각에 바탕하는 불교철학의 전통에서 직관적 지식에 대한 승인문제는 논란거리가 되지 않으며, 오히려 직관적 통찰은 신과 인간, 혹은 세속과 열반 사이의 합일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The interpretations on socratic ignorance in the European philosophy have had two tendencies, namely, skepticism and realism related to knowledge. If we accept socratic confession of ignorance positively, we take the position of skepticism, if not, we take the position of realism. But we have two problematic points in these interpretations. The one is not to reveal the meaning of socratic ignorance, the other is not to overcome the tendency of dichotomy. So I will try to read the text of N?g?rjuna and Platon “intercultural-philosophically”, to understand socratic ignorance in a different way. Because I expect to find a useful method to overcome the tendency of dichotomy through the N?g?rjuna"s M?dhyamika, and then I expect to understand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socratic ignorance. According to N?g?rjuna"s point of view of Nirv?na, I think, the meaning of the paradox of socratic ignorance is related to the end of the knowledge which we have to pursue. Although there are similar aspects between socratic ignorance and N?g?rjuna"s Nirv?na, they have been formed in different traditions each other. Because there is a great abyss between God and human being in European philosophy, moreover it is a very important issue to regard an intuitional insight as knowledge or not. But the issue hasn"t any problems in the tradition of Buddhist philosophy because Buddhist philosophy is grounded on the tradition of the meditation ascetic exercises. In this tradition it is not important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e knowledge itself, on the contrary it is important to unify a great abyss between the God and human being, this secular world and Nirv?na by intuitional insight.

      • 은 나노입자를 이용한 화학발광법에 의한 L-alanine의 정량

        조해진 ( Hae Jin Jo ),장택균 ( Taek Gyun Jang ),최종하 ( Jong Ha Choi ),서정기 ( Jung Kee Suh ),전치완 ( Chi Wan Jeon ),김영호 ( Young Ho Kim ),이상학 ( Sang Hak Lee ) 한국공업화학회 2011 응용화학 Vol.15 No.1

        A chemiluminescent method with silver nanoparticles for determination of L-alanine has been presented. The chemilumiscence intensity was further enhanced by silver nanoparticles in the luminol system by its catalytic role. The silver nanoparticles enhanced chemiluminescent method is applicable for the determination of an amino acid such as alanine. When alanine was introduced to the luminol system with silver nanoparticles, chemiluminescence intensity was reduced with the concentration of the added alanine. The effects of pH, concentrations of luminol, hydrogen peroxide and silver nanoparticles on the chemiluminescence intensity were investigated. The calibration curve for L-alanine was linear over the range from 6.60×10(-8) M to 4.00×10(-7) M, coefficient of correlation was 0.996 and detection limit was 3.5×10(-9) M under the optimal conditions of 4.0×10(-3) M, 4.0×10(-2) M, 4.0×10(-4) M, 12.8 for the concentration of luminol, H2O2, silver nanoparticles and pH, respectively.

      • KCI등재
      • KCI등재

        불교와 상호문화철학 : 공(Sunyata)과 폴리록(Polylog)

        조해정 ( Jo Hae-jeo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9

        이 글은 나가르주나의 공(Sunyata)과 빔머의 폴리록(Polylog)을 중심으로 한 중관철학과 상호문화철학의 만남을 시도한다. 중관철학과 상호문화철학의 만남 가능성은 상호문화철학의 중심 개념들이 서구의 전통적인 개념틀을 벗어나는, 불교적 중도 개념에 근접해 있다는 사실에 있다. 문화들 사이의 상호의존과 영향관계를 나타내는 상호문화성은 고정된 정태적인 문화 개념에 의해서는 성립 불가능하다. 상호문화성은 문화가 작동되는 장소와 결부된 맥락적이고 유동적인 문화 개념을 바탕으로 해서만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상호문화적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중첩(겹침, Uberlappung)의 개념 또한 고정된 개념적 동일성과 차이에 대한 규명과는 거리가 멀다. 중첩은 서로 다른 문화들 사이를 연결하는 유비적 개념이다. 중관철학의 공의 언어는 이러한 전통적인 서구의 사유 틀을 벗어나는 상호문화철학의 개념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폴리록은 빔머의 상호문화철학적 사유를 상징하는 개념이다. 빔머의 기획에서 폴리록은, 한편으로는 모든 문화전통들이 동등성으로 참여하는 새로운 세계철학사 다시 쓰기라는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방법이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모든 문화들의 폴리포니(Polyphonie)로 이끄는 규제적 이념이기도 하다. 빔머는 폴리록에 의지하여 동등한 문화들의 만남을 위한 선행적인 조건으로서 모든 중심주의를 비판하는데, 그 비판의 이면은 역사적으로 유럽중심주의에 의해서 제외되었거나 폄하되었던 전통들을 복원하여 문화들의 폴리포니로 이끄는 과정이기도 하다. 즉 빔머의 기획은 중심주의 비판과 폴리록으로 요약될 수 있고, 이는 나가르주나의 자성론에 대한 비판과 연기의 드러냄이라는 공의 이중적인 사용과 유비된다. 이러한 공과 폴리록 사이의 유비를 통해서 동서의 서로 다른 문화들 사이의 대화 가능성 및 비서구의 불교철학에 의한 서구 읽기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encounter between Buddhism and intercultural philosophy focusing on the emptiness(Sunyata) of Nagarjuna and the polylogue(Polylog) of F. M. Wimmer. The possibility of the encounter Buddhism and intercultural philosophy lies in that the central concepts of intercultural philosophy approach to the middle-way(中道, Madhyama Pratipad) that is different from the typical Western thought tradition. Interculturality, which represents interdependence and influence relation between cultures can not be established by the fixed static cultural concepts. Interculturality can be established only on the basis of the contextual and fluid cultural concepts associated with the place where culture operates. Furthermore, the concept of overlapping(Uberlappung) that enables intercultural dialogue is also different from identifying the fixed conceptual identities and differences. The concept of overlapping is simultaneously such an analogical concept that connects among the different cultures. The terminology of the emptiness(Sunyata) in Buddhism will helpful in comprehending the concept of intercultural philosophy thsat repudiate the traditional thinking structure of the West. Polylogue(Polylog) is the concept symbolizing the intercultural philosophical thought of F. M. Wimmer. According to Wimmer`s thought, on the one hand, Polylogue(Polylog) is a method to reach the goal of rewriting the new world philosophy history in which all cultural traditions are equivalently involved, while on the other hand, is also a regulatory idea leading to the polyphony of all cultures. F. M. Wimmer criticizes All kinds of centralism for the precondition of the encounters of equal cultures from the perspective of polylogue(Polylog). The other side of that criticism is the identical process leading to the cultural polyphony through the restoration of traditions that had been historically excluded or devalued by Euro-centrism. In conclusion, the thought of F. M. Wimmer can be summarized as the critique of centralism and polylogue(Polylog), it can be analogous to the complex usage of the emptiness(Sunyata) which is critique of substantive language and the exposing the theory of causality(緣起, Pratitya Samutpada). By observing such an analogy between the emptiness(Sunyata) and polylogue(Polylog), I want to verify if there is a possibility of dialogue among the different cultures between the East and West and the possibility of Western reading by non-Western Buddhist philosophy.

      • KCI등재후보

        하갈에게서 본 탈북여성들의 희망: 창세기 16장을 중심으로

        남해 ( Jo Nam-hae ) 기독교통일학회 2017 기독교와 통일 Vol.8 No.2

        하갈이 여종이라는 신분상의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항상 피해자의 입장에 있는 것은 아니었다. 여주인이 여종을 괴롭힐 수 있는 부당한 권력을 행할수 있다는 것은 쉽게 납득할 수 있지만, 여종이라는 약자의 신분에 있어도 얼마든지 여주인을 악하게 괴롭힐 수 있다는 사실이 놀랍다. 여주인이 되었던, 여종이 되었던 신분의 고하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에게는 본능적으로 자신에게 유리하도록 남을 괴롭히려는 잘못된 시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었다. 특히 탈북여성들이 처해있는 열악한 상황을 고려해 볼 때 자칫하면 피해 의식에 사로잡혀서 원망과 분노에 휩싸일 위험성이 있다. 그러나 남을 탓하고 원망하는 것으로 상황이 해결되지 않는다. 자신의 삶을 행복하게 만들어가는 주체는 자신이라는 것을 명심하고 보다 근본적인 방법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하나님이 하갈에게 알려주신 방법을 보면 타락한 죄성에 근거한 악한 시각을 버리고 하나님의 공의로운 시각을 갖는 것에서부터 출발하고 있다. 고통스러웠던 사건을 보다 객관적인 시각으로 봄으로써 상대방의 잘못만 보는 것이 아니라 자신도 잘못이 있다는 것을 깨닫게 하셨다. 자신을 괴롭혔던 여주인의 잘못을 비난한다고 해서 자신의 잘못이 덮어지는 것은 아니었다. 상대방을 비난하기에 앞서서 각자에게 주어진 책임과 의무를 다하는 신실한 삶을 살아야 했다. 뿐만 아니라 인간의 존엄성을 존중하는 성숙한 인격과 선한 수고를 통해서 자신이 속한 공동체에 유익을 끼치는 존재가 될 때 기대했던 행복한 삶을 살수 있게 될 것이다. The fact that Hagar had a low social status as a servant maid does always not mean that she was a victim in life. It did not come as a surprise that even a weak person like Hagar could be a perpetrator by bullying her mistress Sarai. Regardless of a social status, whether being a mistress or servant, all people have instinctive tastes for harassing others in order to gain their own advantage grounds. Therefore we can not always side with the weak by covering up his or her bad behaviour. When we take a look at bad circumstances of those women who defected from North Korea, they might be caught in delusion of persecution and thereby led to possess feelings of resentment and rage against the society. But blaming others was not a proper solution to the conflict. We have to think about fundamental ways to escape from those bad situation by keeping in mind that it is one’s own self to make one’s own happiness. Again we have to remember that we can not escape from our own conflict and pain without discarding those blame on others. God ‘s method toward Hagar was that God made Hagar discard negative views on her miserable life and instead rely on righteous view of God. Retaining fair and objective view on the troubles of Hagar could make us realize not only other people’s wrong-doings but also our own faults. Hagar’s blame on her mistress, Sarai, who had harassed her, was not a solution for covering up her own mistakes. Instead of criticizing others, we have to make an effort to perform our duties and responsibilities to be faithful to our lives. Furthermore, we should try to make an effort to become a beneficial figure in our society through exercising matured attitude and benevolent effort for esteeming human dignity. Then happy life come tr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