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합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동향 분석

        조태곤 ( Tae Gon Cho ),김용욱 ( Yong Wook Kim ),우정한 ( Jeong Han Woo ),김경일 ( Kyung Il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5 No.1

        특수교육에서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이 강조되면서 통합교육에 대한 질적 연구 또한 증가되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통합교육 관련 질적 연구 동향 분석을 하고자 수행되었다. 먼저 현재까지 이루어진 통합교육 관련 질적 연구 논문 중에서 31편을 선정하여, 연구 유형, 연구 주제, 연구 참여자 수 및 유형, 자료 수집 방법 및 기간, 자료 분석 방법, 진실성 검증 그리고 학교 급별 유형 등 7가지의 분석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유형은 현상학, 근거이론, 사례연구, 기타의 연구 유형이 있었고, 연구 주제는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 관련 주제가 많았으며, 연구 참여자 수는 6~10명, 연구 참여자 유형은 교사가 주를 이루었다. 자료 수집 방법은 상호작용 자료 중 심층면담이 가장 많았으며, 자료 수집 기간은 1~5개월로 고르게 나타났다. 자료 분석 방법은 반복적 비교분석법, 전사ㆍ코딩ㆍ주제 생성의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고, 진실성 검증은 참여자 검토와 구성원 검토가 많이 사용되었다. 마지막으로 학교급별 유형 분석에서는 어린이집ㆍ유치원과 초등학교에서의 연구가 많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통합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clusive edu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education are emphasized, qualitative research for inclusive education is also increasing. This research was performed for analysis on the trend in qualitative research in inclusive education. First, 31 papers on qualitative research in inclusive education were selected. And selected papers were analyzed by analysis criteria of seven kinds: type of research, theme of research, the number and type of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methods and periods, data analysis methods, verisimilitude verification, and level of school. As a result, the type of research were phenomenology, grounded theory, case studies, other types. Themes of research were mostly related to a special classroom teacher and inclusive classroom teacher. The number of participants were mostly 6~10 people and in the type of participants, teacher were mostly. In the data collection methods, in-depth interviewing among interaction method were mostly, and data collection period were 1~5 months evenly. In the data analysis method, constant comparison method and method of transcriptionㆍcodingㆍtheme generated were mostly, and in verisimilitude verification, participant check and member check were mostly. Finally, in the level of school, research of nurseryㆍ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were mostly.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qualitative research in inclusive education are presented.

      • KCI등재

        학습부진으로만 인식된 학습장애 학생의 학습경험과 의미

        조태곤(Cho Tae-Gon),김용욱(Kim Yong-W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9

        Recently, the statistics has showed that the number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s steadily getting reduced. However, some reductions of prevalence in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may have been due to non-diagnosis of students with potential learning disabilities. In a learning structure centered on non-disabled students, students who have or are at risk of having a disability are more likely to have unequal learning experiences. So, this study was began from the question about what and how learning experiences students with non-diagnosis learning disabilities only recognized as an underachiever would receive in the classroo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about the learning experience and meaning of students with non-diagnosis learning disabilities only recognized as an underachiever. To achieve research results, observations, interviews, and related artifact (documen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various qualitative data analysis method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made up based on the descriptive / traditional writing method and the poetic writing metho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6 major categories and 16 subcategories. And researcher found emotional stability and individual guidance that should be first things to do in learning. However, emotional stability and individual guidance are not always possible due to the dilemma of an equivalent and limit of teachers. So, in order to overcome these, it is necessary for transition to learning for personal growth. 최근 학습장애 학생 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습장애 학생 수 감소의 이유 중 일부는 학습부진 학생 중에서 학습장애의 특성이 있으면서도 학습장애로 진단되지 못함에 있을 수 있다. 비장애 학생 위주로 형성된 일반학교의 학습 구조에서는 장애를 가지거나 혹은 그 위험성이 있는 학생들은 불평등한 학습경험을 가질 가능성이 높다. 이에 학습부진으로만 인식된 진단되지 않은 학습장애 학생이 교실에서 어떤 학습경험을 가지고 있을지에 대한 궁금증으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 연구는 학습부진으로만 인식된 학습장애 학생의 교실 속 학습경험과 그 의미를 알아보고자 관찰, 면담, 인공물(문서)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다양한 질적 자료 분석 방법(1·2차 주기 코딩, 지속적 비교·분석법, 낯설게 하기 등)에 따라 분석하는 과정을 거쳤다. 연구 결과는 사실적/전통적 글쓰기 방식과 시적 글쓰기 방식을 활용하여 진술하였다. 그 결과 학습부진으로만 인식된 즉, 진단되지 않은 학습장애 학생이 겪은 교실 속 학습경험과 의미는 6개의 대범주(수업에 참여하는 학습경험, 수업에서 소외되는 학습경험, 학습의 어려움을 감추는 경험, 학습에 있어 우선해야 할 것, 동등성의 딜레마와 교사의 한계, 개인이 성장하는 학습으로의 전환)와 16개의 하위범주로 도출되었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학습에 있어 우선해야 할 것으로 정서적 안정과 개별지도를 발견할 수 있었다. 하지만 정서적 안정과 개별지도는 동등성의 딜레마와 교사로서의 한계로 인해 항상 이루어질 수 없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개인이 성장하는 학습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인성 역량과 학력 향상을 위한 대안적 통합교육 수업 방안 모색 : 1수업 2교사제를 중심으로

        조태곤 ( Cho Tae-go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19 인성교육연구 Vol.4 No.2

        최근 통합교육의 관점은 ‘모두를 위한 교육’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통합교육의 관점에서 인성 역량과 학력 향상을 위한 대안적 통합교육 수업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1수업 2교사제에 참여한 담임교사 및 협력수업교사, 일부 학생에 대한 연구자의 경험을 토대로 자문화기술지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1수업 2교사제에서 맞닿은 상황은 ‘수업을 할 수 있어요’, ‘학생이 공부를 하네요’, ‘뭘 해야 하나요?’, ‘선생님 왜 가요?’라는 네 가지 주제로 드러났으며, 이를 통해서 대안적 통합교육 수업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수업협력교사는 ‘개별요구’를 가진 학생을 지원한다. 둘째, 수업협력교사는 교실 안과 밖, 방과 후에 학력증진과 인성함양을 지원한다. 셋째, 수업협력교사는 정규교사는 물론 상담, 학습지도 및 특수교육과 관련된 전문성이 필요하다. 넷째, 수업협력교사는 학교시스템을 통해 다단계 지원을 할 수 있다. 향후 통합학급을 효과적으로 경영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정규수업 및 방과 후 수업 활동에 특수교육 및 통합교육 정규교사를 수업협력교사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Recently, the perspective of inclusive education is 'Education for A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about alternative instruction from the perspective inclusive education for improving personality and education attainment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e method of autoethnography was used based on the researcher's experience for class teacher, co-teacher and some students in co-teaching.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ituation encountered in co-teaching was revealed in four themes: 'I can study,' 'Student is studying,' 'What should I do?', 'Why do teacher go?'. Through this, ways about alternative instruction from the perspective inclusive education was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co-teacher support students with 'individual needs'. Secondly, the co-teacher supports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level and character development in and out of the classroom and after school. Third, the co-teacher should have expertise related to counseling, instruction, and special education as well as the qualifications related regular teachers. Fourth, the co-teacher provide multi-level support through the school system. Subsequent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using regular teachers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and inclusive education as co-teachers for regular classes and after school activities in inclusive classes.

      • KCI등재후보

        특수교육에서의 인성교육 연구동향 분석 및 시사점

        조태곤 ( Cho Tae-go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21 인성교육연구 Vol.6 No.1

        특수교육은 일반교육보다 여러 가지 요인들에 있어서 인성을 함양하기에 불리한 환경에 놓여있기 때문에 특수교육에서 인성교육은 더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특수교육에서의 인성교육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특수교육에서의 인성교육 관련 논문 35편을 대상으로 연도별, 연구주제별, 연구대상별, 연구방법별 기준에 따라 연구동향을 분석하였고, 그 결론 및 제언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2014년 이후 특수교육에서 인성교육 연구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둘째, 연구주제는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이 가장 많이 수행되었다. 셋째,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연구와 지적장애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다. 넷째, 연구방법은 양적 연구가 가장 많이 수행되었다. 향후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으로 다양한 연구주제 및 연구방법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하고, 연구대상에 있어서 유아 및 다양한 장애영역에서 연구가 활발해질 필요가 있겠다. Character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is more important than general education because special education is placed in a disadvantageous environment for developing character in various factors than general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research trend of character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and intends to provide basic data for cunducting research in the future based on the result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according to standards by year, research topic, research subject, and research method for 35 papers related to character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and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since 2014, interest in character education research in special education has increased. Second, in the research topic, character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verification were performed the most. Third, in the research subjects, elementary school research and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were performed the most. Fourth, in the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was performed the most. As a suggestion for future follow-up research, research on various research topics and research methods should be carried out, and research on infants and various types of disabilities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as a subject of research.

      • KCI등재후보

        인성함양을 위한 초등 통합학급 학생의 정서조절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조태곤 ( Cho Tae Gon ),민천식 ( Min Chun Sik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21 인성교육연구 Vol.6 No.2

        이 연구는 인성함양을 위한 정서조절프로그램이 초등 통합학급 학생들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한 실험연구로써,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초등 통합학급 2학급을 대상으로 비동일 통제집단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연구를 통해서 획득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정서조절능력 점수를 활용하여 SPSS 26 프로그램으로 비모수통계인 Wilcoxon 순위검정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인성함양을 위한 정서조절프로그램은 초등 통합학급 학생들의 인지적, 행동적, 체험적 요인을 포함하는 정서조절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study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emotion regulation program for character development on th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f students in an elementary inclusive classroom.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study conducted a pre-post-test with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in two inclusive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For data processing,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of non-parametric statistical method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6 program based on the pre-post emotion regulation ability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conclusion is that the emotion regulation program for character development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including cognitive, behavioral, and experiential factors of students in elementary inclusive classroom.

      • KCI등재

        학교교육 기반 학습장애 및 위험군 학생을 위한 협력적 교육지원 방안 연구

        조태곤(Tae-Gon Cho),권기홍(Ki-Hong Kwon),김경일(Gyeong-Il Kim),승예린(Yerin Seung),이경미(Kyoung-Mi Lee) 한국학습장애학회 2024 학습장애연구 Vol.21 No.1

        2023년 국내 학습장애학생 수는 전체 특수교육대상자 중 가장 낮은 비율을 보였다. 학교 현장에서는 학습장애 선별과 진단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와 함께 이들 학생 및 위험군의 조기 발견 어려움과 교육지원의 기회에서조차 자연스럽게 배제되는 현실에 안타까워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교육을 기반으로 학습장애 및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을 위한 협력적 교육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헌자료에 대한 SWOT 분석과 학습장애 학술 및 행정, 현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타당도 검증 및 실현방안 설문 조사를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 내, ‘1수업 2교사제’, ‘정다운 학교’, ‘기초학력전담교사 & 채움교사’ 에서는 협력 지도를 위한 전문성 연수와 해당 영역의 교사 증원 및 수급 확대가 언급되었다. 둘째, 학교 내 ‘교과보충’에서는 지도교사의 전문성 확대, ‘부모교육’에서는 ‘학습장애와 위험군 학생’에 대한 주제로 개별연수의 필요성이 언급되었다. 셋째, 학교 외 ‘학습종합클리닉’에서는 학습코칭단, 학습상담사의 전문성 확대가 언급되었다. 넷째, 제도적 차원에서 학습지원 대상 학생의 선정방안 및 기초학력 정의에 대한 제고가 제안되었다. 본 연구는 현재 학습장애 및 위험군 학생에 대한 교육지원의 한계를 극복하고 실질적인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국내 실시되는 교육 정책 속에서 협력적이며 보편적인 교육지원 방안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가진다. In 2023, the number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Korea showed the lowest percentage among all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this regard, educational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continue to voice concerns about the professionalism in screening and diagnosing learning disabilities, which is currently depriving early detection and opportunities for educational support of students with or at-risk learning disabiliti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collaborative educational support for students with or at-risk learning disabilities in school-based education. A SWOT analysis of the literature and a survey for validation and implementation were conducted among academic, administrative, and field experts in learning disabilit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in-class level, professional training for collaborative teaching and increasing the number of teachers were mentioned in the ’co-teaching system’, ‘leading inclusive school’, and 'basic education teachers and supplementary teacher' sections. Second, the need to enhance the expertise of teachers in ’supplementary education’ at the in-school level and the need for individual training about students with or at-risk learning disabilities in ‘parent education’ were mentioned. Third, expanding the expertise of learning coaching teams and learning counselors was mentioned for out-of-school ‘learning clinics’. Fourth, at the system level, it was suggested to improve the identification of students in need of support and the definition of basic education in order to provide appropriate educational support to students with or at-risk learning disabilities. This study has implications in that it explored the current educational support system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within the education policy in Korea to overcome the limitations and provide practical support.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ed school-based plans for collaborative educational support and a universal educational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