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가정 유아의 어휘력, 언어 이해력 및 표현력에 영향 미치는 사회 인구학적 변인

        박화윤 ( Wha Youn Park ),조진희 ( Jin Hee Chough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5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유아의 어휘력과 언어의 이해력 및 표현력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인구학적 변인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만 4세와 5세 다문화유아 284명이다. 자료 수집은 장영애(1981)의 4-6세 유아용 언어능력검사의 수정에 의해 이루어졌고 수집된 자료는 t, F검증 및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유아의 어휘력은 연령, 성별, 교육기관, 가정방문교육경험, 어머니 국적에 따라 다르며 언어이해력은 연령, 교육기관, 가정방문교육경험, 어머니 국적에 따라 다르고, 언어표현력은 연령, 생활지역, 교육기관, 어머니 국적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유아의 어휘와 언어이해 및 표현력 모두에서 영향력을 가진 주변인은 연령이고 그 다음 상대적인 중요도는 어휘력은 어머니국적, 성별, 교육기관 순이고, 언어이해력은 어머니국적, 언어표현력은 생활지역, 어머니국적, 교육기관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유아의 언어발달을 위한 교육이나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할 때 연령은 물론 언어형태에 따라 사회 인구학적 변인이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demographic variables affecting the oral language abilities comprising vocabulary,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y analyzing data from 284 participating children aged four and five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Jeonbuk province. The language ability assessment developed by Jang Young Ae (1994) was revised for this study and al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Findings reveal firstly that the oral ability levels of the subjects are affected by demographic variables in the following ways: a) vocabulary abilities differed according to gender, age, preschool type attended, home-visit teacher education, and mother`s nationality: b) understanding of oral language differed by age, preschool type attended, home-visit teacher education ,and mother`s nationality while c) language expression differed according to age, location in province, preschool type attended, and mother`s nationality. Secondly, analysis finds age to be the most common correlating variable in all oral language areas. After age however, each language area was affected by correlating variables in different descending orders: a) vocabulary was affected in descending correlative order by mother`s nationality, child`s gender and preschool type attended b) understanding of language was affected in descending correlative order by the mother`s nationality and c) language expression was affected in descending correlative order by child`s residential district, mother`s nationality, and preschool type attended.

      • KCI등재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및 조직충성생동과 업무만족과의 관계

        오경숙(Oh, Kyoung Sook),조진희(Chough, Jin Hee) 한국생활과학회 2011 한국생활과학회지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loyalty, and working satisfaction of 162 teachers in daycare centers in Gyung-gi province. Three questionnaires abou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Allen and Mayer(1990) developed and Son Sobin(2002) revised, organizational loyalty behavior which Jo Bumsang(2004) revised, and working satisfaction which Kim Sunja(2005) developed, and the researcher revised were used for this study. For this study,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averag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eachers academic background. Seco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organizational loyalty was also average,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eachers age and academic background. Thir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satisfaction was below average level,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eachers working hours. La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loyalty behavior, and working satisfaction showed the positive relationship. In conclusion, the government and the director of daycare centers should support for the teachers psychological satisfaction becaus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sychological state is highly related to successful organization of daycare centers.

      • KCI등재

        다문화 가정 유아의 언어능력과 또래놀이 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 교실 문해환경과의 관계

        김규수(Kim, Kyu-Soo),조윤영(Joe, Yun-Young),조진희(Chough, Jin-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4

        현대 우리나라에 결혼이주 다문화 가정이 증가함에 따라 다문화 가정 유아의 언어능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전라북도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만 4, 5세 다문화 가정 유아 137명을 대상으로 기관에서의 또래 놀이 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 교실 문해환경에 따른 유아의 어휘력, 언어 이해력, 언어 표현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 가정 유아의 어휘력, 언어 이해력, 언어 표현력 수준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자가 언어능력 검사를 실시하였고, 또래 놀이 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담임교사에게 설문지를 돌려 즉시 수거하였다. 교실 문해환경은 관찰자가 해당 유아의 교실의 물리적 환경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다문화 가정 유아의 어휘력과 언어 이해력, 언어표현력은 또래 놀이 상호작용이 잘 일어날 때,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날 때, 물리적 환경이 충분히 제공될 때 높게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 가정 유아의 어휘력과 언어 이해력, 언어표현력과 또래 놀이 상호작용,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교실 문해환경과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s the number of children in multi- cultural families have been sharply increased in Korea,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and their ability in multi-cultural families became a very important issue. This research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language abilities and the interactive peer play,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lass literacy environment. The participants were 137 four and five-year-old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living in Jeonbuk province. The researcher examined the children’s language abilities-vocabulary, language understanding, and language expression and observed the class literacy environment. The homeroom teachers checked the questionairs for children’s interactive peer play, teacher-child relationship. The result of the research indicated that children’s language ability is highly related to the interactive peer play,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lass literacy environment.. In that, the level of all the language ability variables such as vocabulary, language understanding, and language expression were higher when the peer-play relationship,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lass literacy environment were well furnished. In conclusion, we should provide the appropriate educational environment to improve their language ability.

      • KCI등재

        5세 유아의 성별에 따른 리더십과 자아개념의 관계

        박화윤(Park Wha-Yun),마지순(Ma Ji-Sun),조진희(Chough Jin-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의 리더십과 자아개념이 성차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며 리더십과 자아개념은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J, I, G시에 소재한 5곳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만 5세 유아 137명이다. 유아의 리더십 측정은 이은미(2006)가 제작 사용한 것으로 담임교사에 의해 체크되었고, 유아자아개념은 송인섭(2004)이 개발한 것에 기초하여 이경화, 고진영(2006)이 보완한 도구로 유아와의 면담을 통해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리더십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하위요인인 친사회적능력에서는 여아가 남아보다 의의 있게 높게 나타났다. 자아개념은 여아가 남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하위요인인 친구관계 자아개념, 언어적 자아개념, 일반적 자아개념에서 높게 나타났다. 유아의 리더십과 자아개념의 관계는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성별에서는 여아의 리더십과 자아개념이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리더십과 자아개념과의 관계를 통한 유아교육프로그램발달에서 성별의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five-year-old children's leadership and self concept were related by their gender and w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leadership and self concept i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7 five-year-old children involved in 2 kindergartens and 3 daycare centers of Jeon-buk province. For this study, teachers checked leadership checklist(Eunmi Lee, 2006) and researcher interviewed young children with their self-concept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Kyunghwa Lee and Jinyoung Go(2006).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test, Pearson correl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t any difference in leadership by children's sex. But girls' scores were higher than that of boys in pro-social leadership among leadership factors. Girls' self concept was generally higher than boys', especially in friendship, language ability, and general self-concept among self concept sub-area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leadership and self concept was positively correlated. Especially, family relation self concept and language ability self concept were highly related to leader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