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고구마의 사료화에 관한 연구 1 . 고구마 사료의 시제

        조재선,변유량,권태완 ( Jae Sun Jo,Yoo Ryang Pyun,Tai Wan Kwon ) 한국축산학회 1976 한국축산학회지 Vol.18 No.3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produce feedstuffs in a small scale utilizing whole sweet potatoes including their leaves and vines. Sweet potatoes were ground, while the leaves and vines were air-dried to reduce the water content to 7.8% and chopped into small pieces. Then 11 parts of the former were mixed with 1 part of the latter by weight and pressed at 5,000 psi for 5 minutes. The pressed cake was further dried for 15 minutes at 80℃ in an oven, or sun-dried for 7 hours ai 18-21℃ and RH 76-83% on the concrete floor. Finally, the dried matter was ground into fine flour which can be readily used in formulated feeds. The final product contained 13% of moisture, 6% of protein, 2% of fat, 63% of nitrogen free extract, 10% of fiber and 6% of ash. Since more than half of the moisture of raw material was removed by pressing, the drying process was remarkably facilitated. However, there was some loss of nutrients in the resulted juice, during processing. The juice contained 10% of solids, 22% of protein, 17% of fat and 14% of nitrogen free extracts of the original cakes. It is desirable to develop a process by which nutrients in juice can be recovered in order to make this product more economical.

      • 전통.대륙.나라 - 김치는 우리 조상님들이 개발한 걸작품이다

        조재선,Jo, Jae-Seon 한국식품연구원 2008 한맛한얼 Vol.1 No.2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전통 발효식품 김치는 언제, 누가 만들게 되었을까? 원시 농경시대에 들어서서 농작물 재배가 어려운 겨울을 보내야 하는 지역에서는 겨울을 나기 위해 각종 식품 재료들을 저장하지 않으면 안 되었는데 아마도 여러 저장 방법 중 소금에 절이는 염장법을 주로 이용하였을 것이다. 채소류를 염장하여 저장하는 동안 젖산균의 발효작용에 의해서 젖산을 비롯한 각종 유기산이 생성되어 상큼한 맛이 나고 저장성이 증진된다는 것을 알게 되어 이러한 기술로 김치를 만든 것을 계승 발전시킨 것이 오늘날의 김치류이다.

      • 밤나무 꽃과 잎의 화학성분 및 항균활성 검색 -제1보. 화학성분 조성-

        조재선,조규성,Jo, Jae-Sun,Cho, Gyu-Seong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03 한국농화학회지 Vol.46 No.3

        밤나무의 밤꽃과 밤잎의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검색하기 위하여, 이들의 화학성분을 분석하였다. 유리당 함량은 밤꽃에는 sucrose와 maltose가 많은 반면, 밤잎에는 sucrose, glucose, fructose가 가장 많았다. 탄닌은 밤잎에 1.98%, 밤꽃은 0.16%로 밤잎이 12배정도 많았다. 지방산 조성은 밤꽂과 밤잎에 linoleic acid가 가장 많았다. 밤꽃의 불포화 지방산은 61.4%, 포화 지방산은 23.1% 였으며, 밤잎은 불포화 지방산이 76.4%, 포화 지방산이 17.1%로 나타나 밤잎이 불포화 지방산 함량이 높았다. 유기산 함량은 밤꽃에 malic acid, citric acid, succinic acid, oxalic acid의 많은 순이나, 밤잎은 succin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oxal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아미노산 조성은 밤꽃에는 aspartic acid와 proline이 가장 많았고, 밤잎은 aspartic acid가 가장 많았으며, 아미노산의 총함량은 밤꽃이 230.33mg/100g 인데 비하여 밤잎은 1,550.36mg/100g로 약 6.7배나 높았다. 무기질은 밤꽃과 밤잎 모두에 K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Ca, Mg, Fe, Mn, Al의 순으로 나타났다. 비타민은 밤꽃과 밤잎 중에ascorbic acid가 각각 5.2 mg/100 g 및 6.4 mg/100 g 함유하고 있었으며, 다른 비타민은 모두 trace로 나타났다. Chemical components relevant to the characteristic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Korean chestnut (Castanea crenata S. et Z.) leaves and flowers were analyzed. The composition of free sugar were sucrose, maltose in the chestnut flowers and sucrose, glucose, fructose in the chestnut leaves. The contains of tannin were 0.16% in the chestnut flower and 1.98% in the chestnut leaves. In fatty acids case, the linoleic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 in the chestnut leaves and flowers. The organic acids showed high composition to succnic and citric acid in the chestnut leaves. The ammo acid compositions showed high contents to aspatic acid, proline, glutamic acid, glycine and methionine in the chestnut leaves and flowers. The total amino aci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hestnut leaves than flowers. The major minerals contained in the chestnut leaves and flowers were K, Ca, Ng, Fe, Mn and Al. Ascorbic acids were detected highly in the chestnut leaves and flowers.

      • SCOPUSKCI등재

        고사리(Pteridium aquilinum) 뿌리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1. 전분의 일반 성상 및 화학적 특성-

        조재선,Jo, Jae-Sun 한국식품과학회 1978 한국식품과학회지 Vol.10 No.1

        고사리 뿌리 전분의 일반 성상 및 화학적 특성을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종 현미경으로 전분입자를 관찰한 결과 외형은 장방구형(長方求刑) 또는 누에고치형이었고 입자의 크기는 장경(長徑) $10\mu$, 단경(短經) $8\mu$이고 대부분이 직경 $5-12\mu$범위였다. 전분입자는 중앙에 hilum을 가진 단위(單位)으로서 십자형(十字形)의 birefringence를 보였다. 2. X-선분석에 의한 전분입자의 결정 구조는 전형적인 지하전분의 구조인 B형이었다. 3. 전분에는 인이 150ppm함유되어 있었으며 이는 대부분 amylopectin에 함유되어 있었다. 4. 전분의 비중은 1.49, amylose함량은 22%, ferricyanide number는 0.292, alkali number 11.03 그리고 blue value는 0.4이었다. 5. Amylose의 iodine affinity는 16.1, 분자량은 83,300, amylopectin의 분지도는 3.7%, segment당 glucose unit는 27이었다. The morphology and chemical properties of bracken (Pteridium aquilinum) root starch were investigated. The starch granules were mainly sphere and cocoon with the diameter of $5-12\mu$. Polarized micrograph indicated that the starch granule had a hilum at the center of granule, showing a crossed-birefringence. X-ray diffraction pattern demonstrated that the granules showed B-type. The density of the starch was 1.49 and the amylose content was 22%. The ferricyanide number and alkali number were 0.292 and 11.03, respectively. Proximate analysis showed that the starch contained 0.52% lipid, 0.63% ash and 150ppm phosphorus of which over 80% were found in the amylopectin fraction. The iodine affinity and molecular weight of amylose were 16.1 and 83,000 respectively. The degree of branching and glucose units per segment of amylopectin were 3.7% and 27,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